d라이브러리
"바로"(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 [상수의 탄생10] 고전물리학의 균열을 메운 보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반면 진동수가 기준 이상으로 큰(파장이 짧은) 빛은 아주 약하게만 쪼여도 전자가 바로 튀어나왔다. 빛을 파동으로 해석하는 고전전자기학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현상이었다. 예컨대 아무리 붉은 빛을 강하게 쪼여도 흐르지 않던 전류가, 아주 약한 푸른 빛을 쏴 주자마자 흐르기 시작하는 현상은, ... ...
- PART 2. 화학상 DNA가 끈질긴 생명력을 지닌 이유과학동아 l2015년 11호
- 하루에도 수없이 일어나는 흔한 사건이다. 이 오류를 인지하고 복구하는 시스템이 바로 DNA 불일치 복구다. 이때 중요한 건 ‘메틸화’다. 모드리치는 DAM 메틸레이스라는 효소를 연구하면서 메틸기가 ‘수정할 부분’을 가리키는 일종의 표지판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DNA를 자르는 ... ...
- [친절한 우아씨의 똑똑한 데이트 11] 사랑은 도파민으로부터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뇌에 들어오는 감각 정보의 약 80%를 차지하는 시각 정보를 아예 차단하는 곳이야.” 바로 서울 신촌에 있는 ‘암흑카페’입니다. 스마트폰처럼 빛을 내는 소지품을 모두 맡긴 채, 칠흑 같은 어둠 속에서 식사하고 대화를 나누는 이색 카페이지요. 소년과 소녀가 토마토 소스 파스타를 시켜놓고 ... ...
- 천문학자 김담, 조선의 우주를 열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1604년 조선 일관들의 초신성 발견과 김담을 연관지은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세종은 1449년 말에 혜성이 나타났다는 보고를 받고 이순지와 김담에게 혜성을 관측하라는 명을 내렸다. 이 혜성은 조선시대에 아홉 번째로 나타난 혜성이었는데, 약 한 달 동안 지속된 뒤 1450년 ... ...
- Part 3. 몸은 메가이터가 될 준비가 돼 있지 않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다른 잡식동유도물 사이에 소화생리학적 유사함을 뛰어넘는 큰 차이점이 하나 있다. 바로 인간의 ‘의지’다. 인간은 본능적 반응을 조절하는 의지력이 탁월하다. 맛있는 음식이 눈 앞에 있으면 열량 섭취가 많아져도 더 먹고자 한다. 식사를 마친 뒤에 달콤한 케이크 같은 후식을 더 먹을 수 있다. ... ...
- [노벨과학상 2015] PART 1 물리학상 ‘유령입자’의 변신을 확인하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만들어진 중성미자가 변환함을 분명히 밝혀내는 데 성공했다. 지하 검출기를 기준으로, 바로 위쪽 대기에서 약20~30km를 날아온 중성미자는 이론이 예측한 양 그대로였다. 하지만 지구 반대편 대기에서 날아온 중성미자는 1만2000km의 먼 거리를 날아오면서 진동변환에 의해 절반으로 줄어들었던 ... ...
- 알고 나면 깜짝 놀랄걸? 아주 사소한 과학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갑자기 생긴 넓은 빈틈을 활액이 모두 채울 수 없어 공기가 함께 밀려 들어온답니다. 바로 이때 ‘뚜두둑’ 하는 소리가 나는 거예요.이번 연구 결과로 손가락 관절 사이의 공기가 빠져나가면서 소리가 난다는 상식이 뒤집혔어요. 또한 습관적으로 손가락 관절을 여러 번 꺾더라도 관절에 상처가 ... ...
- [생활] 작가의 꿈이 현실로! 이야기 만드는 소프트웨어수학동아 l2015년 11호
- 스파이 브릿지>, , , 의 공통점은? 바로 드림웍스가 제작한 영화 또는 애니메이션이라는 점이다. 그런데 드림웍스에서는 시나리오를 쓸 때 ‘드라마티카 프로’라는 소프트웨어(SW)를 사용한다. 이야기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서다. 드라마티카 프로는 영화, ... ...
- 수능 보는 로봇, 머릿속에 무슨 일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1800년 가량이 흐른 2015년, 그 때보다 더 치열한 전쟁이 여기저기서 일어나고 있었으니, 바로 입시다. 매년 수십만 명의 수험생이 대학 입시를 위해 밤낮을 가리지 않고 공부했는데, 이게 웬걸. 듣도 보도 못했던 수능 로봇이 등장했다. 옆 나라 일본에서도, 바다 건너 미국에서도 대학 입학시험을 ... ...
- “디젤도 할 말 있다” 클린 디젤의 꿈과 현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추가로 장착해야만 한다.유로6의 질소산화물 배출 기준은 1km 주행 시 80mg으로, 바로 앞선 유로5 디젤차의 배출 기준(180mg/km)보다 훨씬 엄격하다. 미세먼지 배출 기준 역시 1km 주행시 5mg에서 4.5mg으로 더 낮아졌다. 이는 현행 가솔린차(직접분사엔진) 미세먼지 배출 기준(1km 당 4mg)과 비교해도 크게 ... ...
이전3593603613623633643653663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