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바로"(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오지 연구원이 된 동물들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중국 상해 인근에도 서식지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동 경로도 한국에서 중국으로 바로 넘어가는 것이 아니라 북한에서 세 달 가량 머문 뒤 다시 중국으로 내려가는 형태였다.한국환경생태연구소가 개발한 위치추적기는 무게가 27g 정도밖에 안 된다. 때문에 가창오리 같은 작은 종을 제외하면, ... ...
- [Editor’s note] 끝과 시작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장식하는 마지막 괘다. 이름은 ‘미제(未濟)’. 아직 완성되지 않았다는 뜻이다. 이 괘는 바로 앞에 놓이는 63번째 괘 ‘기제’와 짝을 이룬다. 기제의 뜻은 완성이다. 그러니까 주역의 세계에서는, 완성 이전과 이후가 순서상 완벽히 뒤바뀌어 있다. 그 이유는 짐작하기 어렵지 않다. 완성된 것, 끝난 ... ...
- [Life & Tech] 바이오 기업 ‘테라노스’ 논란과학동아 l2015년 12호
- 받고 깜짝 놀라 병원에 방문했지만, 병원에서는 모두 정상 진단을 받았다. 홈즈는 다음날 바로 사실이 아니라며 WSJ의 보도를 반박했지만 그녀와 테라노스에 대한 의심은 커져가고 있다.바이오 스타트업의 딜레마일각에서는 핵심 기술의 보안유지가 스타트업의 특성이라며 테라노스를 옹호하는 ... ...
- 제2회 전시물 스토리텔링 대회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2호
- 다양한 전시물을 나만의 이야기로 풀어내서 사람들에게 소개할 수 있는 대회가 열려요. 바로 ‘제2회 전시물 스토리텔링 대회’랍니다. 이번 대회의 주제는 ‘내가 꿈꾸는 사이피아(SCIPIA)’예요. 사이피아란 과학(Science)과 유토피아(Utopia)를 합쳐서 만든 합성어로, ‘과학이 만들어가는 이상적인 ... ...
- 킁킁~, 비 냄새의 정체를 밝혀라!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2호
- 다른 식물의 잎을 차례로 적시기 시작했어요. 색소 물방울들 중 큰 것은 50cm 정도 떨어진 바로 옆 식물의 잎으로 떨어졌지만, 밀리미터 크기의 작은 물방울들은 최대 10m 떨어진 식물들까지 날아갔답니다.부루이바 교수는 “잎에 있던 미생물이 빗방울에 녹아들어 있다가, 다른 빗방울을 맞은 뒤 ... ...
- 하트 성게의 ‘종잇장 갑옷’ 경량재료에 아이디어과학동아 l2015년 12호
- 공극이 많은 탄산칼슘으로 이뤄진 분필이 매우 잘 부서지는 것과 상반되는 이유가 바로 탄산칼슘 지지대라고 밝혔다. 하트성게의 껍질에는 1mm2 당 5만~15만 개의 지지대가 있었다. 연구를 진행한 더크 무터 교수는 “하트성게의 껍질은 외력에 의한 압축과 마찰에 대응하는 기계적 성질이 ... ...
- [Knowledge] 땅에 적응한 하늘의 파충류, 익룡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쓰러진 거대한 책을 연상시키는 이 지역의 석회암은 기원전부터 건축 재료로 사용됐다. 바로 이곳에서 익룡의 존재가 처음으로 확인됐다.괴물 같은 동물 화석이 나왔다!익룡 화석이 졸른호펜에서 처음 발견된 때는 정확하지 않다. 1767년에서 1784년 사이로 추정될 뿐이다. 이 화석을 처음 연구한 ... ...
- Part3. 미래엔 소프트웨어가 사라질까과학동아 l2015년 12호
- 방식의 5세대 컴퓨터가 개발되고 있기 때문이다. 소프트웨어가 마주할 다음 위기는 바로 이 5세대 컴퓨터에 적용할 소프트웨어가 없다는 점에서 비롯된다.먼저 양자컴퓨터를 보자. 양자의 특성을 이용하는 소프트웨어는 ‘도이치-조사(요사) 알고리듬(1992년 개발)’, 쇼‘ 어 알고리듬(1994)’, ... ...
- 핵테러, 실험실에서 원천봉쇄한다과학동아 l2015년 12호
- 불순물로 섞여 들어가지 않았을까. 역시나, 분석결과 미량의 몰리브덴이 발견됐다. 바로 이 공장에서 유출된 제품이었다.마지막으로 언제 유출된 제품인지 파악해야 한다. 핵연료는 나이테처럼 시간을 자신의 몸속에 기록한다. 우라늄이 시간이 지나면 다른 물질로 바뀌기 때문이다. 공장에서는 ... ...
- 미래 에너지 기술 이끌 인재와 만나다과학동아 l2015년 12호
- 그 결과를 사용자의 스마트폰 앱으로 보내 칼로리 소비량과 이산화탄소 절감량 등을 바로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생산한 전기량을 직접 확인하고 충전한 전력량으로 인센티브를 제공해 서비스 이용에 흥미를 갖도록 유도한다는 점이 특징이다. 박문수 평가위원장(한국생산기술연구원 ... ...
이전35535635735835936036136236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