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약"(으)로 총 10,715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 태양계에서 가장 거대한 얼음 화산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라이트몬스(Wright Mons)’의 사진을 1월 15일 홈페이지에 공개했다.라이트몬스는 너비가 약 160km, 높이가 4km로 지구에서 가장 높은 에베레스트산보다 4.5배 더 높다. 전문가들은 라이트몬스 가운데 움푹 파인 지점이 분화구로 보이며, 이것이 최근까지도 활동한 얼음화산이라고 추측했다.얼음화산은 ... ...
- PART 1. 북한은 정말 수소폭탄을 터트렸을까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많은 양의 우라늄과 플루토늄이 필요하고, 반응을 시작할 때도 적지 않은 화약이 필요하기 때문에 소형화가 어렵다. 반면 증폭형은 소형화가 쉬워 대륙간탄도미사일에도 장착이 가능하다.폭발 규모로 어렴풋이 추측하는 것 외에, 보다 확실한 방법은 없을까. 대기 중 제논의 동위원소 비율을 통해 ... ...
- [Tech & Fun] Science Fiction_귀향과학동아 l2016년 02호
- 고지하기 전까지는, 만약 등대를 세운 외계인과 만날 경우 반드시 옛 육체를 이용할 것.계약서의 중심 조항을 만든 이들이 정말로 무슨 생각이었는지는 알 수 없다. 명목상으로는 학자들의 제안이었다고 한다. 우리 은하계에서 최초로 외계인과 만날 때는 본 모습이어야 한다는 게 그들의 ... ...
- [지식] 인터뷰_이훈희 교수수학동아 l2016년 02호
- 나라에서 공부를 해보셨다고 했는데, 외국에서 연구를 할 때 한국과 차이가 있었나요?약 20년 전만 해도 한국의 연구 환경이 척박했다고 하지만, 지금은 큰 차이가 없다고 생각해요. 예를 들어, 예전에는 외국 교수의 연구 결과를 보기위해 논문을 입수하는 것조차 힘들었죠. 그런데 지금은 전자 ... ...
- [수학동아클리닉] 수학체험활동_사라진 어진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6년 02호
- 세어 보세요. 모두 홀수입니다. 그 이유는 창호의 중심을 쉽게 찾기 위해서입니다. 만약 가로살의 개수가 짝수라면 중심을 찾기 위해 결국 자를 써야 합니다. 자와 같은 도구가 없었기 때문에 이런 방법을 쓰게 된 것입니다.그리고 그으려는 금의 개수만큼 못이 박힌 ‘그므개’라는 도구를 써 창호의 ... ...
- 1인용 이동수단이 뜬다! 스마트 모빌리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전기차예요. 보통 초소형 전기차는 길이 2.3m, 너비 1.2m, 높이 1.5m 정도 크기에 무게는 약 70kg이에요. 한 사람 또는 두 사람이 붙어서 탈 수 있는 정도의 작은 크기지요.초소형 전기차는 복잡한 도심에서 끌고 다니기에 알맞아요. 몸집이 작기 때문에 좁은 공간에도 쉽게 주차할 수 있거든요. 무게도 ... ...
- [비주얼 과학교과서]드디어 기숙사 입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결과가 있어요. 환경부와 서울대 산업협력단의 연구에 의하면, 우리나라의 표토가 약 26조 4000억 원의 가치를 지닌 것으로 평가됐어요. 유기물과 미생물이 풍부한 표토는 생태계를 유지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거든요.양분을 제공하고 오염 물질을 정화시키고, 탄소와 물을 저장하는 등 표토의 ... ...
- [News & Issue] ‘알파벳’이 알려주는 약 제때 먹는 법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베일에 싸여 있던 구글의 지주회사 ‘알파벳(Alphabet)’이 향후 어떤 사업을 펼칠지 힌트가 될 특허기술을 공개했다. 알파벳의 생활과학 사업부인 ‘ ... 시너지 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된다. 스마트 콘택트렌즈는 현재 구글과 세계적인 제약회사인 노바티스가 공동 개발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 ...
- [News & Issue] 블랙홀이 먹을 수 있는 최대 질량 태양 500억 개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정도로 블랙홀이 커졌을 때는 무게가 어느 정도인지 계산했다. 결과는 태양 질량의 약 500억 배. 블랙홀이 태양 질량의 500억 배에 이르면 더 이상 먹어치울 것이 없어 성장을 멈춘다는 뜻이다. 킹 교수는 영국 과학매체 ‘뉴사이언티스트’와의 인터뷰에서 “(이런 블랙홀은) 다른 블랙홀과 병합하지 ... ...
- [Knowledge] 파충류의 속사정2 하늘의 거인 케찰코아틀루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보여주는 발자국 화석들이 발견됐다.안타깝게도 이 날짐승들의 공존은 지금으로부터 약 6600만 년 전, 백악기 대멸종 사건으로 끝나버렸다. 익룡은 멸종해버렸고, 오늘날에는 새들이 그 뒤를 이어 하늘을 지키고 있다. 이들은 과거의 익룡처럼 아주 다양한 크기와 형태로 진화했다. 하지만 새가 ... ...
이전35835936036136236336436536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