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약"(으)로 총 10,715건 검색되었습니다.
- [재미] 도넛처럼 생긴 적혈구의 비밀수학동아 l2016년 04호
- 500만 개나 들어 있어요. 같은 양의 피 안에 다른 혈액세포인 백혈구가 약 8000개, 혈소판이 약 40만 개 들어 있는 것과 비교하면 적혈구가 상당히 많이 들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혈액 내 세포 중 90%를 차지하는 셈이지요. 그만큼 적혈구가 하는 일이 매우 중요합니다.적혈구가 어떻게 온몸에 ... ...
- [과학뉴스] 염증 치료물질, 우울증도 고칠까과학동아 l2016년 04호
- 항우울제는 약을 투여하고 효과가 나타날 때까지 몇 주가 걸리기도 했는데, TPPU는 바로 약효가 나타났다. 또 TPPU를 먹인 쥐들은 뇌 염증을 유발하는 스트레스를 줬을 때도 우울증 증상을 나타내지 않는다는 것도 확인했다.UC데이비스 의대 정신의학및행동과학과 로버트 헤일스 교수는 “일생 동안 ... ...
- [Knowledge] 공룡의 그늘 밑에서 살아 남아라!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악어는 공룡의 그림자 밑에서 지내야 했다. 놀랍게도 이들은 기상천외하게 적응했다. 약 2억 년 전, 초대륙 판게아(Pangaea)가 갈라지기 시작했다. 거대한 땅덩어리가 갈라지면서 그 사이로 새로운 바닷길이 열렸다. 다양한 기후대가 형성되기 시작했고, 이런 기후변화는 과거보다 다양한 환경을 ... ...
- [Knowledge] 사람은 이름을 남기고, 명견은 명견을 남긴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생산했다. 이들은 높은 성적으로 훈련을 통과해 현재 인천, 김포, 제주 공항 등에서 활약하고 있다. 국립축산과학원도 2012년부터 지금까지 33마리의 복제견을 만들어 소방서와 군부대 등으로 보냈다. 올해 태어난 5마리는 공군과 경찰청, 관세청에 추가로 보낼 예정이다.남윤석 국립축산과학원 ... ...
- [Tech & Fun] 셜록홈즈 ‘세 사람의 징후’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있죠. 칼로 관통 당하면 폐에 손상을 입어 호흡에 문제가 발생할 확률이 높습니다. 만약 이런 일이 발생한다면 공격을 당한 사람이 모를 수 없죠. 아슬아슬하게 폐를 공격하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허리띠를 풀기 전까지 당사자가 모를 수는 없습니다. 유 교수는 “지혈은 상처에 집중적으로 큰 압박을 ... ...
- [과학뉴스] 매머드 화석에 인류가 남긴 흔적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일은 매우 드물어요. 보통 과학자들은 극지방에서 사람이 살았던 시기를 지금으로부터 약 3만 5000년~3만 년 전으로 추정하고 있거든요. 연구팀은 이번 발견을 통해 인류가 지금까지 알려졌던 것보다 1만 년이나 이른 4만 5000년 전부터 극지방에 살았을 거라고 추정했답니다. 또한 이 흔적이 발견된 ... ...
- [과학뉴스] 작은 카멜레온의 강한 힘!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벌레가 카멜레온의 끈적끈적한 혀에 달라붙게 되지요. 연구팀은 전체 카멜레온 종의 약 10%에 해당하는 20종의 카멜레온을 이용해 실험을 했어요. 카멜레온이 사냥할 때 내미는 혀의 길이와 속도를 측정해 분석한 결과, 몸집이 가장 작은 ‘람폴레온 스피노서스’가 가장 빠른 속도로 혀를 뻗는다는 ... ...
- 붉은 원숭이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멸종 위기 등급에서 ‘위기’ 상태에 놓여 있어요. 사람들이 이 원숭이를 약으로 쓴다고 무차별적으로 사냥해 많은 수가 죽임을 당했기 때문이에요.붉은꼬리원숭이는 케냐와 앙골라, 우간다 지역에 살아요. 주로 열대 우림 지역에서 많이 살지만 늪지대나 강가, 다른 숲 지역에서도 종종 발견되곤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한밤중에 벌어진 파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되기까지는 55일 정도가 걸려요. 융합 개념 파헤치기 개구리의 다양한 발생전세계에는 약 6400종이 넘는 개구리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요. 이들 대부분은 앞서 배운 것과 같이 체외수정을 해요. 그런데 지난 해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학교의 짐 맥과이어박사팀이 체내수정을 하는 신종 ... ...
- Part 1. 아인슈타인이 남긴 마지막 퍼즐 풀었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이름으로 중력을 뺀 나머지 세 힘을 통합적으로 기술하는 데 그치고 있다. 만약 우주 초기 중력파를 관측할 수 있게 되면 힘의 통합과 관련된 연구에 새로운 돌파구가 마련될 수도 있다. 우주의 95%를 채우고 있는 암흑물질과 암흑에너지도 중력파로 연구할 수 있는 대상이다.앞으로 더 많은 중력파 ... ...
이전35435535635735835936036136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