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약"(으)로 총 10,715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자단 소식] 롯데월드 아쿠아리움을 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4호
- 파우더를 한 티스푼 넣습니다. 그리고 원하는 향의 에센스와 색소액을 넣습니다. 약 1시간이 지나면 크리스탈 파우더가 에센스와 물을 흡수하여 구슬처럼 커지면서 방향제가 완성됩니다.모든 체험을 마친 뒤에는 아쿠아리움을 둘러보았습니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긴25m의 거대한 수조 ... ...
- 생존전략 1. 화려한 꽃 미인계수학동아 l2016년 04호
- 식물학자 미하일 차일라캰은 나팔꽃을 이용해 실험을 했다. 나팔꽃을 깜깜한 곳에 약 10시간 동안 뒀다가 밝은 곳에 내놓으니 꽃눈에서 꽃이 피었다. 그런데 밝은 곳에 내놓기 전에 잎을 모두 따버리면 꽃이 피지 않았다. 그는 햇볕을 받으면 잎에서 개화호르몬이 만들어져 줄기를 타고 끝부분으로 가 ... ...
- [Knowledge] 삶과 죽음이 함께 하는 공간 ‘시체농장’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있기 때문에 이곳에 시신을 유기하면 범행을 감출 수 있을 거라 생각한 모양인데, 만약 드라마와 같은 일이 실제로 벌어진다면 어떻게 될까? 법의인류학센터의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한 나는 그 범행이 24시간 내에 밝혀질 거라고 확신한다.시체농장은 여느 대학 실험실처럼 일반인의 출입을 ... ...
- [Knowledge] 공룡의 그늘 밑에서 살아 남아라!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악어는 공룡의 그림자 밑에서 지내야 했다. 놀랍게도 이들은 기상천외하게 적응했다. 약 2억 년 전, 초대륙 판게아(Pangaea)가 갈라지기 시작했다. 거대한 땅덩어리가 갈라지면서 그 사이로 새로운 바닷길이 열렸다. 다양한 기후대가 형성되기 시작했고, 이런 기후변화는 과거보다 다양한 환경을 ... ...
- [Knowledge] 사람은 이름을 남기고, 명견은 명견을 남긴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생산했다. 이들은 높은 성적으로 훈련을 통과해 현재 인천, 김포, 제주 공항 등에서 활약하고 있다. 국립축산과학원도 2012년부터 지금까지 33마리의 복제견을 만들어 소방서와 군부대 등으로 보냈다. 올해 태어난 5마리는 공군과 경찰청, 관세청에 추가로 보낼 예정이다.남윤석 국립축산과학원 ... ...
- [과학뉴스] 구름은 빙하를 녹이는 담요?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수학적으로 계산했어요. 그 결과, 하늘에 구름이 덮인 흐린 날이 맑은 날에 비해 빙하가 약 30%정도 빨리 녹는다는 사실이 밝혀졌답니다. 구름이 빙하를 담요처럼 덮어 지표면에서 반사되는 태양 에너지를 가두기 때문이에요.리프지크 교수는 “지구 해수면 변화와 기후 변화를 예측하기 위해선 ... ...
- [News & Issue] 아홉 번째 행성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6년 03호
- 태양계 내부로 들어와 붙은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오르트 구름은 태양으로부터 약 1000~10만AU 떨어진 곳에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혜성의 구름이다.이 세드나가 바로 ‘행성 X’ 가능성을 부활시킨 주인공이다. 세드나를 필두로 근일점이 30AU(해왕성 궤도)보다 크고 장반경이 150AU보다 큰 천체가 ... ...
- [Tech & Fun] 음주 기자 친구의 술 체질 허와 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2B 수용체가 제대로 기능을 하지 못한다는 거지. 연구팀은 “핀란드 전체 인구의 약 2.2%가 세로토닌 2B 수용체 돌연변이를 타고난 것으로 조사됐다”고 말했어. 자, 어때? 이제 너의 술 체질을 알 것 같아? 완전 체질이라고? 지금 마시러 가자고? 콜~ ... ...
- [수학뉴스] 중력파, 한 세기 만에 그 베일을 벗다수학동아 l2016년 03호
- 그러나 이번에는 중력파를 사진으로 찍듯 직접 포착했기 때문에, 중력파가 아닐 확률은 약 500만 분의 1로 아주 낮답니다.가브리엘라 곤잘레스 루이지애나주립대 물리천문학과 교수는 “이 발견으로 ‘중력파 천문학’이라는 새로운 분야를 시작할 수 있게 됐다”고 밝혔습니다. ... ...
- [동아리탐방] 특별한 경험을 선물받다! 인천당하중 ‘당찬’수학동아 l2016년 03호
- 결과 차가 많을 때는 분리신호가 효과적이라는 점과 도로의 최고 속도를 시속 약 10km 줄여도 이동시간은 2분밖에 차이가 나지 않는다는 점 등을 알아낼 수가 있었다. 또 횡단보도의 길이가 길면 길수록 빨리 걸어야 한다는 것도 밝혔다. 거리가 14m일 때는 걸음의 속도가 초속 0.54m이면 됐지만, 41m일 ... ...
이전35435535635735835936036136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