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시간"(으)로 총 14,019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알파고 제로, 공식을 깨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Search)’ 알고리즘이라고 한다. 문제는 이런 방식으로 모든 경우의 수를 다 따지는 것은 시간 상 불가능하다는 사실이다. 바둑 한 경기 당 경우의 수가 10170개 이상 존재한다. 따라서 실제로는 트리의 모든 분기를 다 시도하지 않고 확률적으로 일부만 따지는 ‘몬테카를로 방식’과, 트리의 끝까지 다 ... ...
- [Future] 인기 웹툰, 과학기자가 쓴다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동공 지진’을 측정할 수 있는 시선 추적 기술이 있어도 재밌겠네요. 수학 시험 시간에 긴급 재난 문자처럼 단체로 알람이 울려댈 겁니다. 웹툰은 시즌 5 마지막 즈음에서 개발자만 알고 있는 ‘창’과 ‘방패’ 기능을 공개했습니다. 방패는 나의 좋아하는 마음을 숨길 수 있는 기능이고, 창은 ... ...
- [Career] 원자로 안전 책임질 설계 프로그램 ‘맥카드’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맥카드(McCARD)’라는 입자해석 프로그램을 만들었다. 이렇게 하면 4개월이 걸리던 계산 시간을 1초로 대폭 줄일 수 있다. 맥카드는 2016년 완공된 요르단 연구용 원자로(JRTR)의 설계에 사용됐다. 심 교수는 “10년에 걸쳐 힘들게 만든 프로그램이지만, 연구 목적에 한해 무료로 배포하고 있다”며 ... ...
- [인터뷰] 상산젊은수학자상 수상자➊ 오세진 교수수학동아 l2017년 12호
- 드는 암컷을 보면 암컷이 깜박거리는 모습을 흉내 내면서 유혹하려고 해요. 그래서 시간이 지나면 반딧불이 모두 똑같이 깜박거려서 주위가 확 밝아졌다가 어두워지기를 반복하지요. 생물학자 또는 물리학자가 주기적인 자연현상을 설명하는 모델을 제안하면, 저 같은 수학자는 그 모델의 방정식에 ... ...
- 반려견 표정의 시그널수학동아 l2017년 12호
- 때 뇌하수체를 거쳐 혈액으로 분비되는 호르몬입니다. 주인이 반려견과 눈을 마주치며 시간을 보낼 때 사람과 반려견 모두의 옥시토신 수치가 증가했지요. 사람의 옥시토신 수치가 높을수록 반려견의 수치도 더 높아졌습니다. 브라이언 해어 미국 듀크대학교 개인지센터 연구원은 반려견이 주인과 ... ...
- Part 3. 손님이 기다리게 하지마라수학동아 l2017년 12호
- 나타난 시간을 모두 더하면 20분이므로, 3명이서 공평하게 나눈다면 각자 일하는 시간은 6~7분이다. 종업원A가 야채를 볶고 종업원B가 갈릭새우를 만들고 사장이 나머지를 하면 각각 7분, 6분, 7분 일하므로 최적의 분배법 중 하나다. 이를 ‘간트 차트’라고 불리는 일정표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다. ... ...
- [DJ CHO의 롤링수톤] 김소희의 ‘춘향가’ 판소리 명창의 비법수학동아 l2017년 12호
- 문 교수는 목소리 주파수와 강도의 상관관계에 주목했습니다. 주파수는 단위 시간 안에 몇 개의 주기나 파형이 반복되었는가를 나타내는 수입니다. 주파수의 단위는 Hz로, 1초당 1회 반복하면 1Hz입니다. 예를 들어 100Hz는 성대가 1초에 100번 진동한다는 뜻이지요. 폭포 앞 득음이 과학적인 진짜 ... ...
- [가상인터뷰] 나무를 올라타는 염소가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배설하기보다는 침으로 뱉어낸다는 사실을 알아냈어요. 염소는 소나 낙타처럼 오랜 시간 되새김질을 하는 동물이어서 삼킨 열매의 씨앗을 뱉어내기까지 최대 6일이 걸렸지요.또 연구팀은 염소가 뱉어낸 씨앗의 생존 능력을 측정했는데, 71.5%의 씨앗이 싹을 틔울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었어요. 즉, ... ...
- [Issue] 동물정신과 측면에서 본 공격성과 치료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아니라 ‘아픈’ 개일 수도개가 사람과 함께 살게 된 지는 1만 년이 훨씬 넘었다. 그 긴 시간을 거치며 개는 사람의 삶에 도움을 주는 방향으로 진화하며 가축화됐다. 사람을 물고 공격하도록 진화했다면 지금처럼 가깝게 살지 못했을 것이다. 물론 사람이 아닌 동물을 대상으로 더욱 흥분된 반응을 ... ...
- [Future] 남극 펭귄 ‘제니’ 관찰카메라 24시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그때는 장치가 무척 작았어. 카메라 한 대가 둥지 7개 정도밖에 못 찍는 거래. 게다가 한 시간마다 찍는 거라더니 기온이 너무 낮아서 기기가 고장을 일으켰다나? 그래서 불규칙적으로 촬영하는 바람에 과학자들이 난감해 하더라. 그 기기들은 얼마 못가서 사라졌어. 이제 우리 동네 엿보기를 포기한 ... ...
이전35835936036136236336436536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