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양"(으)로 총 8,094건 검색되었습니다.
- 금성의 '미니일식'을 만나자! 태양일식 관측기과학동아 l2012년 06호
- 안심하고 관찰할 수 있다. ND5 기준이면 일반 조명의 빛은 전혀 보이지 않고 태양의 모양만 또렷하게 보인다.일식에 대한 원리 설명이 들어 있고, 약간의 공작을 해서 완성하는 제품이라 수업에 활용하기에 좋다. 당일은 공휴일이니 수업 시간에 미리 만들고 일식에 대해 학습한 뒤 관찰하면 좋을 ... ...
- 내과의사 '니아니 다 보이오'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06호
- 각각 어떤 사진을 나눠 줄까?”문제 1다섯 명의 손을 찍은 X선 사진이 있다. 손가락 모양을 잘 보고 각 사진의 주인공이 누구인지 맞혀 보자. 하운스필드의 물건악당 업새블라는 다시 1968년 영국으로 도망쳤다. 그곳에는 컴퓨터단층촬영을 발명한 고드프리 하운스필드가 살고 있었다.“뢴트겐의 ... ...
- 세계의 지하철 구조, 수학적으로 서로 비슷해수학동아 l2012년 06호
- 발표됐다. 영국의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의 연구팀은 전 세계의 지하철 노선도가 그 모양이 다르더라도 공통점이 있을 것이라고 추측했다. 이에 런던, 파리, 서울과 같이 역이 100개 이상인 주요 도시 14곳을 선택하고, 수학의 네트워크 이론을 이용해 지하철 구조를 비교해 보았다. 네트워크 ... ...
- 6화 폴과 폴의 대결!수학동아 l2012년 06호
- 폴이 망설이자 피타가 폴을 재촉하며 폴의 어깨에 폴짝 올라탔다. 폴은 하는 수 없이 별 모양 빛으로 다가갔다.“아, 더이상 위험한 건 싫은데….”폴이 빛으로 다가가자 피타와 함께 사라지는 동시에 빛도 꺼지고 말았다.“팟!”시끄러운 소리에 폴이 눈을 떴다.“응? 여긴?”그 곳은 교실이었다. ... ...
- 유리의 무한변신과학동아 l2012년 06호
- 판유리와 색색의 판유리를 열로 가열해 서로 붙인 뒤, 굳어진 유리를 주사기와 시험관 모양으로 연마했다.] [시냅스 | 마우로 보나벤투라 - 몸 속 구석구석 거미줄처럼 퍼져 뇌로 신경신호를 전달하는 시냅스를 형상화했다. 붉은 유리 선 하나를 중심으로 마치 가지가 뻗어나가듯 유리 선 중간 중간 ... ...
- 토론하고 설득하고 ‘꿀벌은 정치가'과학동아 l2012년 06호
- ‘이사’를 본격적으로 연구하기 시작했다. 연구 방법은 의외로 단순하지 않다. 다양한 모양과 크기를 한 벌통을 놓고 실험을 하고, 이 ‘새 집터’를 살펴보는 정찰벌들의 춤 횟수와 격렬한 정도를 기록했다. 놀랍게도 실리 교수는 이들 정찰벌이 보고 온 것들을 서로 보고하고, 일종의 논쟁까지 ... ...
- [정보] 돌고 도는 정다면체 순환의 비밀수학동아 l2012년 06호
- 유일하다.각각 모양이 다른 정다면체가 어떻게 서로를 품을 수 있는 걸까? 지금부터 수학동아키트를 이용해 그 비밀을 하나씩 파헤쳐 보자. 정다면체 순환의 비밀 1 내 안에 너 있다!기본적으로 정다면체는 각 면의 중심을 잇거나 모서리의 중점을 이으면 그 속에 새로운 정다면체를 만들 수 있다. ... ...
- [정보] 부등식, 방향을 정하면 문제없어!수학동아 l2012년 06호
- 모조품의 무게가 금반지보다 많은지 적은지는 미처 알아내지 못했어. 게다가 9개 반지의 모양과 크기가 모두 같아 눈으로는 구분할 수 없다네. 내 힘으로는 도저히 모조품을 찾아낼 수 없어, 자네에게 도움을 청하네. 제발 도와 주게!수동이는 양팔 저울을 3번 사용하여 모조품 반지를 찾았다고 ... ...
- 서울·런던 지하철 왜 비슷할까과학동아 l2012년 06호
- 도시계획법, 경제상황, 지리조건, 기존 교통망 등 조건이 다르기 때문에 각기 고유한 모양의 지하철 망(네트워크)을 이루고 있다.그러나 연구팀이 역의 집중도와 연결 상태를 분석한 결과, 몇 가지 공통점을 발견했다. 먼저 모스크바의 지하철을 제외한 나머지 큰 도시의 지하철은 모두 ‘중심’과 ... ...
- 지하수의 저주, 싱크홀과학동아 l2012년 06호
- 싱크홀이 만들어진다. 오래전 도쿄 한복판의 오차노미즈역에 지름 10m 정도로 깔대기 모양의 싱크홀이 출현했다. 싱크홀 위로 앙상하게 걸쳐져 있던 철로 모습이 아직도 생생하다. 당연히 지나치게 지하수를 뽑아 썼기 때문에 생긴 결과였다. 이를 과잉양수라고 한다.지하수를 너무 뽑아 쓰면 멀리 ... ...
이전35835936036136236336436536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