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양"(으)로 총 8,094건 검색되었습니다.
- 김산수의 산학유랑기수학동아 l2012년 07호
- 놓네.포산결일은 세로로 십은 가로로, 백은 서고 천은 넘어져 있네.천과 십은 서로 같은 모양이고 만과 백은 서로 바라보네.6 이상의 숫자는 모두 5를 나타내는 산대가 위에 있네.6은 같은 산대가 쌓인 것이 아니고 5는 산대 하나가 아니네.십이 되면 자리를 나아가고 십이 안 되면 제자리에 나타내네 ... ...
- 원자들이 사랑에 빠졌어요과학동아 l2012년 07호
- 관찰할 수 있는 방법을 ‘사이언스’에 발표했습니다. 그래핀이란, 육각벌집 모양으로 결합한 탄소 원자들이 한 층으로 된 매우 얇은 막입니다.방법은 이렇습니다. 먼저 두 장의 그래핀막 사이에 백금원자가 든 용액을 넣습니다. 그래핀막 사이에 액체가 스며들어가면 반데르발스 힘(분자와 ... ...
- 자연은 디자인이다과학동아 l2012년 07호
- 속 생명이 탄생한 것이다. 리처드 도킨스 역시 진화론의 자연선택에 의해 복잡한 거미 모양의 인공 생명체가 탄생할 수 있음을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증명했다.규칙 몇 가지에서 복잡한 유기체가 탄생하는 과정은 촛불시위나 웹처럼 집단지성에 대한 이야기로 옮겨간다. 단순성에서 시작해 ... ...
- 스릴 만점! '나만의 롤러코스터'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07호
- 지지대를 세운다.❷ 공이 지나갈 수 있도록 스티로폼 레일을 두 줄로 연결한다.❸ 모양을 잡아가며 레일을 수수깡 지지대에 연결한다. STEP 3 미션 수행하기박사님, 아무래도 이상해요. 공이 한 바퀴를 다 돌지 못하고 자꾸만 멈춰요. 회전 레일의 지름을 더 작게 만들어 볼까요? STEP 4 한 걸음 더 ... ...
- 토끼풀vs괭이밥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07호
- 까리 까리 헤까리오로라~. 나는 헷갈려 공화국의 교과서 마녀 헷갈리나! 헷갈리는 과학상식이 있으면 언제든 찾아오렴!모두 더 헷갈리게 해 줄테 ... 수 있지. 까리 까리 헤까리~. 하지만 붉은 토끼풀 꽃은 자운영과, 괭이밥은 꽃과 잎 모양이 사랑초와 아주 비슷해. 이제 더 헷갈리지~. 깔깔깔 ... ...
- 특명! 오感감을 속여라!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07호
- 사운드볼은 소리의 이런 특성을 이용한 것이랍니다. 사운드볼 바깥으로 나가는 소리는 모양이 반대인 파장끼리 겹쳐져 아주 작아져 잘 안 들리게 돼요. 코를 속여라!짝사랑 해결사, 나만의 향기 칙칙!이번에는 냄새 하나로 모든 사람의 마음을 조종할 수 있는 분을 소개하겠습니다. 향기의 신, ... ...
- 어벤져스 대작전 대칭 몬스터를 찾아라!수학동아 l2012년 07호
- 수+면의 개수를 말한다.◀ 끈 이론에서는 일정한 조건을 주면 시간에 따라 쌍곡면의 모양은 조금씩 바뀌는데, 어느 순간 벽을 만나면 그 모습이 확 바뀐다. 이 때 벽을 기준으로 두 쌍곡면의 불변량은 거울대칭을 이룬다. 수학자들은 이 벽을 지나갈 수 있는 수학공식을 찾기 위해 연구한다.끈 이론의 ... ...
- 스파이더맨과 애니멀 어벤져스과학동아 l2012년 07호
- 선택했어. 헐크의 뇌를 조종해서 스스로 항복하게 하는 거지. 연가시는 굵은 철사줄 모양의 선형동물로 길어도 70cm 정도야. 몸집은 헐크에 비할 바가 아니지. 하지만 강력해. 사마귀나 메뚜기, 꼽등이에게 기생하는데 자신이 알을 낳을 때가 되면 물가로 유인하는 신경조절물질을 분비해서 숙주가 ... ...
- 수학으로 더욱 화려하게! 분수 디자이너 류경민수학동아 l2012년 07호
- 올리고, 배관이 원하는 위치까지 물을 실어 나르고, 노즐(물이 나가는 분출구)이 원하는 모양으로 물이 나가도록 해야 돼요. 그런데 이 모든 게 가능하려면 수리적 계산이 필요하답니다.예를 들어 노즐에서 물줄기가 지름 10mm로 높이 10m까지 올라가게 해야 원하는 연출이 가능하다면, 펌프에서 ... ...
- 별별 수학 올림픽, 최고의 수학자는 누구?수학동아 l2012년 07호
- 줄어들 수 있는 크기가 유한한 도형은 구’라고 추측했어요. 이것이 참이라면 우주의 모양을 예측할 수 있어 많은 수학자들이 이 문제에 매달렸지만 실패했지요.그러다가 2003년 제가 인터넷에 간단한 논문을 올렸는데, 수학자들이 꼬박 3년 간 검증한 끝에 마침내 푸앵카레 추측이 풀렸다고 ... ...
이전35635735835936036136236336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