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에네르기
힘
활력
원기
기력
파워
energy
뉴스
"
에너지
"(으)로 총 7,168건 검색되었습니다.
정확도 높고 자원 소모량 줄인 '양자컴' 오류수정 알고리즘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08.05
기대된다. 서울대는 정현석 물리천문학부 교수와 스리크리슈나 옴카 연구원팀이 적은
에너지
를 쓰면서도 빠르고 정확하며 오류 수정이 가능한 양자컴퓨팅 방법을 설계하는 데 성공했다고 4일 밝혔다. 양자컴퓨터는 정보 및 연산의 기본 단위로 ‘양자비트(큐비트)’를 사용하는 컴퓨터다. 보통 ... ...
고체로켓 사용제한 풀렸다지만 로켓 쏠 하늘이 없네
2020.08.03
항천과학공업그룹에서 분사해 나온 스타트업 아이스페이스와 엑스페이스, 갤럭틱
에너지
가 개발에 뛰어들었다. 미국 스타트업 아드라노스는 발사시 나오는 유해 성분을 줄인 고체로켓을 개발해 올해 2월 100만 달러(약 12억 원)의 투자를 받았다. 다만 풀어야 할 과제도 많다. 한국은 과학로켓을 한 번 ... ...
한·미 4세대 원전 '고온가스로' 개발 속도 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03
열의 온도를 850~950도까지 올린 4세대 원자로다. 물을 산소와 수소로 분해할 때 필요한 열
에너지
를 만들 수 있어 온실가스 없이 수소를 만드는 기술로 꼽힌다. USNC는 핵연료 및 초소형 모듈 원자로 기술을 보유한 미국의 원자력기업이다. MMR의 개념설계를 완료하고 기본설계를 진행하고 있다. MMR ... ...
[과학게시판] 치매극복연구개발사업단 출범·제7회 KAIST 국제핵비확산학회 개최
동아사이언스
l
2020.08.02
의미, 핵비확산 강화 방안을 논의한다.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과 브렌트 박 미국
에너지
부 국가핵안보국 차관보가 축사자 및 연사로 참여하며 국제원자력기구(IAEA)와 유엔 포괄적핵실험금지조약기구(CTBTO) 등 20여 개 국내외 원자력 및 핵비확산 기관이 참여한다. 자세한 내용 확인은 KAIST ... ...
[표지로 읽는 과학]위성 오작동 유발하는 태양 플레어 예측 모델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02
예측이 이뤄졌다. 쿠사노 교수 연구진은 태양의 각기 다른 곳에서 방출되는 자기
에너지
가 서로 재연결될 때 생기는 자기 유체역학적 불안정성의 임계 조건값을 도출하고 대규모 태양 플레어를 예측하는 물리학 기반의 모델을 제시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진은 도출한 임계값 모델의 정확도를 ... ...
[과학게시판] 중소·중견기업 지원 '태양전지 플랫폼센터' 구축 外
동아사이언스
l
2020.07.30
연구원을 기업에 1:1로 매칭시켜 애로기술 해결을 지원하고 교육과 실습도 진행한다.
에너지
연은 "장비 공동사용을 통해 기업의 비용 부담은 20분의 1, 공정시간은 25분의 1로 낮출 수 있다"고 밝혔다. ■국가과학기술인력개발원은 재취업을 준비하는 경력단절 여성과 취업과 창업을 희망하는 여성을 ... ...
ITER사무총장 "우리는 한 팀. 누구도 진보 막을 수 없어"
동아사이언스
l
2020.07.29
-일정이 처음엔 열정을 반영하고 있었다. 첫 플라스마를 2020년 발생시키고 2025년
에너지
를 생산한다고 했는데, 내가 산업계와 전문가들의 조언을 구해서 ITER 회원국들에게 불가능하다고 설명했다. 그 결과 2025년 첫 플라스마 발생으로 현실화했다. Q. 코로나19 팬데믹이 지구를 휩쓸고 있다. ... ...
인공태양을 만드는 한국의 기업만 224곳
동아사이언스
l
2020.07.28
ITER 장치 조립이 시작되면서 처음으로 조립에 들어갈 예정이다. 현대중공업 제공 핵융합
에너지
실용화를 위해 프랑스 카다라슈에 건설중인 ‘국제핵융합실험로(ITER)’가 이달 28일 착수식을 갖고 본격적인 장치 조립에 나선다. 각국이 맡은 품목을 개발해 조달하는 형태로 제작되는 ITER에서 한국은 ... ...
'으르렁'대는 미국·중국도 손잡는 초대형R&D 프로젝트 ITER란 무엇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20.07.28
연료가 무한하며 원자력발전소에서 나오는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이 발생하지 않는 미래
에너지
원으로 꼽힌다. 한국은 초전도핵융합연구장치(KSTAR) 개발 과정에서 얻은 핵융합 연구역량을 바탕으로 초전도도체, 진공용기, 열차폐체 등 주요 품목 9개의 개발 및 제작을 맡고 있다 ... ...
"ITER 장치 조립 착수는 핵융합
에너지
가시화 선언"
동아사이언스
l
2020.07.28
지금까지 지구에 존재하지 않았던 장치를 개발하는 과정이다. 유 소장은 “실제로
에너지
를 생산할 정도의 크기로 핵융합로를 만드는 것은 인류가 처음 해보는 일”이라며 “특히 초고밀도의 품질이 필요하고 각 나라가 국제협력으로 만드는 데다 기존 장치처럼 ‘표준화’가 안 돼 있다는 점이 큰 ... ...
이전
357
358
359
360
361
362
363
364
3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