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택
인가
가옥
홈
저택
가정
사옥
d라이브러리
"
집
"(으)로 총 4,003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브라의 새사냥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파헤쳐놓은 꿀벌의
집
에서 흘러 나오는 유충을 먹는다. 대신 라텔은 꿀을 먹는다. 벌
집
안내새는 다른 새보다 피부가 두꺼운 벌의 침세례를 막을 수 있다.(4) ② 코알라는 일생의 대부분을 나무위에서 생활하기 때문에 거의 물을 먹지 않는다. 단지 유칼리나무 잎에 함유된 수분과 잎 표면에 묻은 ... ...
KIST(한국과학기술연구소)설립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써서 기업에서 연구를 따오느냐를 배워야한다"고 설득했다. "회계감사를 못받겠다" 고
집
연구원을 뽑은 뒤 또 한차례 법 때문에 진통을 겪었다. 육성법이 국회를 통과하면서 골격이 전부 바뀌었는데 그 중에는 연구계획승인과 회계감사를 받아야한다는 항목이 들어있었다. 그래서 대통령한테 달려가 ... ...
2000년대 여는 미래 상품들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개발된 지역에서는 이리듐 시스템보다 낫다고 할 수 있다. 이리듐 시스템으로는 인구 밀
집
지역의 폭주하는 통신량을 다 감당할 수 없기 때문이다"라고 설명한다.그렇긴 해도 이리듐 시스템은 미국내의 모든 도시와 마을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개방담당자에 따르면 모든 국가에 이 시스템을 ... ...
91년 국내 화제의 발명품 총
집
합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온 방안에 놓인 조립식 벽돌금형과 화공약품으로 인해 발디딜 틈이 없었다. 급기야는 온
집
안 구석구석까지 넘쳐나자 다섯살짜리 아들은 그를 '벽돌아빠'라고 부르기도 했다.그러던 어느 말, 계속된 실험에 지쳐 잠시 휴식을 취하던 김씨의 머리에 번쩍 스치는 것이 있었다."그래! 바로 그것이다. ... ...
여성 천문학자들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순간은 페루에 있는 하버드 천문대에서 우리 은하계 밖에 존재하는 수많은 별들의
집
단인 마젤란성운을 연구하던 1912년에 있었다. 마젤란성운의 별들은 모두가 우리로부터 거의 비슷한 거리상에 위치해 있는데 이는 전체(지구로부터)거리에 비해 별들간의 사이가 짧기 때문이다.그녀는 그 성운 속의 ... ...
영계백숙과 개장국은 건강의 담보물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중남미 및 북극권(北極圈)을 포함하고 있다.일본인들도 개화이전의 봉건시대에는 개를
집
아 먹었다. 그러다가 개띠 해에 태어난 어느 장군(쇼군)이 개를 잡아 먹으면 사형에 처한다는 포고를 내린 뒤부터 개고기를 금기하는 버릇이 생겼다는 설도 있다. 장군의 지극한 사랑을 받아 번식한 개들이 ... ...
무사개미와 개미귀신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던져 올린다. 이렇게 구멍을 판 뒤 명주잠자리 유충(개미귀신)은 그 구멍 밑에서 머리와
집
게 모양의 큰 턱만을 내밀고 웅크리고 있다.개미와 그밖의 먹이가 구멍 가장자리를 지나다가 모래가 무너져 밑바닥으로 떨어지면 냉큼 잡아먹는다. 일단 떨어진 먹이가 기어 오르려고 버둥거리면 개미귀신은 ... ...
2 머리카락 굵기로 전화 2억회선 구성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거의 비슷한 가격으로 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일본이나 미국은 2015년 경까지는 가정
집
까지의 모든 전화선을 광섬유케이블로 바꾸려고 하고 있다.우리나라도 실현시기는 이보다 다소 늦어지겠지만 유사한 계획을 가지고 있고 일산 분당의 신도시 지역부터 광섬유에 의한 전화선을 공급하려 하고 ... ...
카파토키야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가미한 흔적을 여기저기서 엿볼 수 있다. 예컨대 사람들은 주변의 땅과 바위를 파고 깨서
집
과 기도원 회의장 식품저장소 무덤 등을 만들었다. 그런데 주변에 숲이 형성돼 있지 않았기 때문에 이러한 작업은 대개 신속히 진행됐다. 환상의 관광명소로 떠올라세계각국의 지질학자에게 큰 관심을 ... ...
하루에 수t이 쏟아진다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보면 한점에 모여 마치 그 점에서 유성들이 발생돼 방사되는 듯한 느낌을 준다. 이때
집
중적으로 많이(시간당 수십~1백수십개 정도) 보이는 현상을 유성우라 하며 방사점을 '복사점'이라 한다.지구궤도 근처를 지나가는 궤도를 가진 혜성이나 소행성들이 자신의 궤도에 많은 입자들을 흩뿌리고 ... ...
이전
357
358
359
360
361
362
363
364
3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