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비율
한도
범위
노정
역정
여정
여행길
d라이브러리
"
정도
"(으)로 총 15,438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마이크로 로봇이 뜬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3호
그 중에서도 마이크로 로봇은 손가락에 올라가는 크기에서부터 눈에 보이지도 않을
정도
로 작은 로봇을 의미해요. 마이크로(Micro)라는 말이 ‘아주 작은’이란 뜻을 가지고 있거든요.마이크로 로봇은 처음에는 사람이 갈 수 없는 곳에 들어가거나 눈에 띄지 않게 정찰을 하는 목적으로 개발되었어요. ... ...
Part 4. 기계와 생물의 결합, 바이오 마이크로 로봇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3호
이용해 만든 로봇이랍니다.예전에는 곤충의 머리에 전극을 심어 움직임을 조종하는
정도
였어요. 하지만 현재는 생물의 세포를 이용한 마이크로 로봇들이 개발되고 있지요. 살아 있는 세포로 마이크로 로봇을 움직이게 하거나, 세포가 하나의 로봇이 되어 다양한 기능을 하게 만들고 있답니다 ... ...
[과학뉴스] X자 모양의 붉은 거미 성운 포착!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3호
이번에 발견된 붉은 거미 성운은 ‘행성상 성운’ 중 하나예요. 태양의 0.4~8배
정도
질량을 가진 별들은 수명이 다했을 때, 반지름이 크고 표면온도가 낮은 적색거성으로 진화해요. 이때 적색거성의 바깥 가스층이 우주공간으로 날아가 반지름이 약 1012~1013km인 원형 구름 형태를 이루면 행성상 성운이 ... ...
[가상 인터뷰] 돌도끼를 만드는 원숭이가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3호
카푸친원숭이가 만든 석기 총 111개를 모았답니다. 전체 석기들의 평균 크기는5cm
정도
였으며, 그 중 약 54%는 한쪽 면이 날카로운 돌도끼 형태였어요.연구팀은 이 석기가 약 250만에서 170만 년 전의 구석기인들이 만들어 사용했던 ‘올도완’과 비슷한 날카로운 면을 갖고 있다고 분석했답니다 ... ...
[숲이야기] 광릉숲의 겨울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3호
마찬가지로 흔한 텃새인 곤줄박이는 손에 잣을 들고 있으면 날아와서 물고 갈
정도
로 사람을 두려워하지 않아요.광릉숲에는 비교적 흔한 오색딱따구리부터 천연기념물 제242호인 까막딱따구리까지 딱따구리 종류도 많이 살고 있어요. 수목원의 길을 걷다 보면 딱따구리들이 썩은 나뭇가지를 쪼아 ... ...
[출동! 섭섭박사] 화산모형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3호
많은 양의 이산화탄소 기체가 발생한답니다.기체는 고체나 액체에 비해 수백~수천 배
정도
의 커다란 부피를 갖고 있기 때문에 작은병에 담겨 있지 못하고 밖으로 힘차게 뿜어져 나와요. 이때 반응하지 않은 식초도 이산화탄소 기체에 밀려 함께 뿜어져 나오기 때문에 액체가 폭발하는 것처럼 보이는 ... ...
Part 2. 착륙 실패는 낙하산 때문?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3호
화성 착륙선을 작동할 수 없기 때문이에요. 지구와 화성의 거리는 약 1억 7500만km
정도
예요. 착륙선이 보낸 정보를 지구에 있는 과학자들이 받는 데 9분 45초가 걸리지요. 그러나 착륙선이 착륙하는 시간은 단 6분!초 단위로 낙하산이 펴지고, 엔진이 작동되기 때문에 지구에 있는 과학자들이 착륙 ... ...
Part 1. 지금도 발견되고 있는 신종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2호
생물이 있을 거라고 생각하고 있어요. 즉, 우리는 주변에 함께 살고 있는 생물 중 1%
정도
만 자세히 알고 있다는 거지요. 나머지 종은 지금 이 순간에도 계속 발견되고 있답니다. 1년 동안 평균 1만 8000~2만 종 가량이 이름을 받고 *신종으로 기록되지요. 우리나라에서도 신종과 **미기록종을 합해 1년에 ... ...
[과학뉴스] 시민과학자의 놀라운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2호
더 살 수 있을
정도
로 수명이 긴 별이지요. 적색왜성이 중심인 원시태양계는 전체의 1.3%
정도
로 매우 드물답니다.연구를 이끈 스티븐 실버버그 교수는 “시민들의 도움이 없었다면 새로운 발견은 불가능했을 것”이라고 말했어요 ... ...
[헷갈린 과학] 밤 vs 말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2호
생겼지만, 겉을 둘러싸고 있는 단단한 껍질은 밤과 전혀 다른 모양이에요. 지름 5cm
정도
의 단단한 공처럼 생겼지요. 그러나 칠엽수의 한 종류인 서양칠엽수의 열매는 둥그렇고 딱딱한 겉껍질에 날카로운 가시들이 달려 있어서 밤과 비슷해요. 열매도 역시 밤과 비슷하게 생겼답니다.우리나라에서는 ... ...
이전
357
358
359
360
361
362
363
364
3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