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거물
유력자
d라이브러리
"
성공한 사람
"(으)로 총 4,281건 검색되었습니다.
당신의 충실한 조수 마이크로프로세서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불리는 당신의 조수 CPU가 일하는 방식은?말을 하지도, 듣지도 못하는
사람
이 당신의 회사에 입사했다. 더구나 당신의 일을 도와줄 조수로 배치됐다. 그는 앞으로 보수 한 푼 안받고 당신의 일을 도와 줄 것이라고 한다. 그런데 그는 자신이 일할 장비를 지니고 왔다. 그는 항상 혼자서가 아니라, ... ...
2. 미래의 반도체 어떻게 달라지나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갖춘 소수의 인간만이 소유하는 추상적인 기능일까. 지구 반대편에 있는
사람
과 사막 한가운데에서 대화를 할 수 없을까." 초고주파 무선통신을 위한 ... 미세형상 형성기술이 발전했기 때문이다. 현재 연구개발에
성공한
64MD램 선폭은 0.35μ 정도로, 앞으로 집적접도가 증가함에 따라 선폭은 계속 ... ...
염색체 21Q·Y염색체 유전지도 완성됐다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세계적인 과학전문지 '네이처'(Nature, 10월 1일자)와 '사이언스'(Science, 10월 2일자)에는
사람
의 염색체 21과 성염색체 Y에 대한 유전지도를 작성한 논문이 게재됐다. 프랑스 ... 지도작성은 의학발전과 연구실행 측면에서 직접적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우선
사람
염색체 21 내에 있는 노망과 같은 ... ...
Frog-And More In Space 우주공간에서의 개구리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모두 크기가 작다. 오늘날 지구상에서 양서류는 그 숫자가 줄어들고 있으며 어떤 종은
사람
들이 알을 먹는 물고기들을 생식시킴에 따라 멸종돼 가고 있는가 하면 물론 수질오염과 환경의 파괴에도 영향을 받고 있다.많은
사람
들은 양서류를 요리할 음식물이나 웃음거리로만 여긴다. 워드하우스의 ... ...
원자력·의약품 분야에서 단연 선두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구대륙의 자존심을 되찾으려 하고 있다.유럽의 과학기술에 대해 논하는 많은
사람
들이 "유럽의 과학기술은 이제 퇴보했다"라는 평가를 내리고 있지만 "유럽의 과학기술은 퇴보한 것처럼 보인다"라는 표현이 더 적절할 지도 모른다.사실상 최근 반도체와 신소재 등 세계 첨단과학기술 경쟁은 ... ...
「간이 인공위성」으로 부각되는 무인비행선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않아 과거 몇나라에서 개발을 시도한 것이 있으나 아직까지 최종적으로
성공한
사례가 없다. 개발책임자인 항공우주연구소 비행제어실 김종철 실장은 ... 1783년 프랑스의 제지업자인 몽골피에 형제는 종이로 열기구를 만들어
사람
을 태우고 5백m 상공에까지 떠오르는데 성공했다. 화톳불을 피우고 ... ...
새기술 새발명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국내에 상륙한 지는 2년 정도 밖에 안되는 유전자증폭기의 국산화에
성공한
연구팀은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의 허귀석박사팀. 이들은 미국 유타대 ... 의대 연구팀의 지원아래 이 일을 해냈다."유전자증폭기의 작동원리는
사람
의 몸속에서 유전자가 복제되는 것과 동일하다. 이 기기를 가동하려면 ... ...
퀘이사와 전파은하는 동일한 천체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확산되면서 표준모델 혹은 통일모형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이 이론의 주창자 중의 한
사람
인 밀러(Joseph S.Miller) 박사(릭 천문대장)는 " 이 이론은 수많은 현상들을 설명하는 기준틀이 되었다. 동물원에는 우리가 상상하는 것보다 훨씬 적은 수의 동물이 있다"고 말한다. 블랜드포드(Roger D. Blandford) 박사 ... ...
4 차세대 고속증식로 슈퍼피닉스 실용화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또 땐만큼의 새로운 연료가 저절로 생기는 요술 단지인 고속증식로가 처음 나왔을 때
사람
들은 이를 '해괴한 전지'(電池)라고 불렀다. 필요한 에너지를 계속 공급 받으면서 또 연료가 덤으로 생기니 이제 더 이상 에너지 걱정은 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사실 고속증식로 기술이 완벽하게 확보되면 ... ...
새끼 낳는 「태생」개구리 등장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거쳐 성체(개구리)가 된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해 지금까지도 만고불변의 진리로 많은
사람
에게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는 두엘만 교수의 신학설로 수정이 불가피해졌다.두엘만 교수는 개구리들은 2억년 이상 진화해오면서 자손의 번식방법을 끊임없이 진화시켜 왔다고 말한다. 예를 들면 적으로부터 ... ...
이전
357
358
359
360
361
362
363
364
3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