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거물
유력자
d라이브러리
"
성공한 사람
"(으)로 총 4,281건 검색되었습니다.
뉴질랜드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고기'라는 뜻이다.이러한 뉴질랜드를 서양
사람
으로서는 네덜란드의 아벨 타스만(Abel Tasman)이 164 ... 또는 임업에 유익한 것들로서 이들을 들여와
성공한
예도 많다.그러나 금작화(Gorse) 나무딸기(Blackberry) ... 힘쓰고 있으나 그 일이 쉽지 않다.산토끼는 영국
사람
들이 향수병을 달래거나 사냥을 ...
2 호르몬에서 항암제까지 얻는다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있다.당뇨병 치료에 이용되는
사람
의 인슐린을 유전공학적으로 ... 왔다. 그런데 돼지의 인슐린은
사람
의 인슐린과 화학구조가 다소 ... 유전자재조합 기술을 이용해
사람
의 인슐린을 대량으로 얻고 있다 ...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먼저
사람
의 DNA에서 인슐린을 생산하는 ... 오래 기다릴 필요도 없다. ... ...
빅뱅이론 총정리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끝을 예견하는데 완벽하다고는 볼 수 없다. 현재 우주론을 연구하고 있는
사람
들, 앞으로 우주론에 도전하고 싶은 젊은이들이 해결해야 할 문제는 과연 ... 지금에 이르기까지 우리의 주변을 비교적 정확히 인식해 오는데
성공한
점은 인정해야 한다.1 수학적 우주론과 물리학적 우주론잘 알다시피 ... ...
1 네가지 벽 허문 21세기 견인과학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얻었기 때문이다. 커다란 꿈을 안고 설립된 생물공학 관련회사들 중
성공한
예는 많지 않았다.그러나 이러한 현상은 표면적인 것일 뿐, 사실상 ... 육종의 효과는 실현되지 않았고, 방사성동위원소의 이용과 연구는 곧
사람
들의 관심 밖으로 밀려나고 말았다. 그러나 구미 각국에서는 ... ...
과학동아가 선정한 '92 국내외 과학기술계 10대뉴스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있는 것이다.장기이식문제가 크게 이슈화되자 국내에서도 사후에 장기를 제공하겠다는
사람
들이 줄을 잇고 있다(그중에는 김수환추기경 박찬종 신정당 대표 등 사회저명인사들도 ... 이후 아직 발표된 적이 없는 최신 제품이다. 따라서 시제품 단계에 불과하지만, 성급한
사람
들은 우리가 ... ...
21세기초 착륙대비 화성지도를 완성하라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생생하게 그려져 있다. 같은 시기에 로웰일는
사람
이 화성표면에서 운하와 같은 것을 발견하고 이는 ... 했다. 실제로 화성표면을 자세히 관찰하면
사람
형상을 한 조각과 피라미드와 같은 구조물이 ... 것은 옛소련이지만(1962년 마르스1호) 탐사에
성공한
것은 미국의 마리너4호다(1964년 11월 발사). 달 ... ...
2. 미래의 반도체 어떻게 달라지나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갖춘 소수의 인간만이 소유하는 추상적인 기능일까. 지구 반대편에 있는
사람
과 사막 한가운데에서 대화를 할 수 없을까." 초고주파 무선통신을 위한 ... 미세형상 형성기술이 발전했기 때문이다. 현재 연구개발에
성공한
64MD램 선폭은 0.35μ 정도로, 앞으로 집적접도가 증가함에 따라 선폭은 계속 ... ...
당신의 충실한 조수 마이크로프로세서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불리는 당신의 조수 CPU가 일하는 방식은?말을 하지도, 듣지도 못하는
사람
이 당신의 회사에 입사했다. 더구나 당신의 일을 도와줄 조수로 배치됐다. 그는 앞으로 보수 한 푼 안받고 당신의 일을 도와 줄 것이라고 한다. 그런데 그는 자신이 일할 장비를 지니고 왔다. 그는 항상 혼자서가 아니라, ... ...
3. 64메가 D램 개발 공방 내막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64메가D램 시제품을 세계최초로 발표했지만 일본이 우리보다 뒤졌다고 보는
사람
은 거의 없다. 일본 반도체업체들은 이미 64메가디램 기술을 거의 완성하고 생산기술을 연구하는 단계에 있다고 전문가들은 분석한다. 이러한 사실은 지난 90년에 이미 히타치가 64메가D램의 핵심기술을 공개한 ... ...
'92 노벨상 수상자들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있으면 설령 입자가속기가 없을지라도 방사성 원소나 우주선(우주에서 날아오는 입자로
사람
의 머리만한 넓이에 매초 1개씩 떨어진다) 등을 사용해 입자물리 실험을 할 수 있으므로 가속기가 없는 한국에서는 우수한 성능의 검출기 개발을 통해 입자물리 실험에 임해야 할 것이다. 특히 ... ...
이전
356
357
358
359
360
361
362
363
3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