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교수"(으)로 총 12,487건 검색되었습니다.
- [Issue] 애벌레로 비닐봉지 분해, 플라스틱 라이프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올-실리카 제올라이트’를 더해 결국 부타디엔을 합성하는 데 성공했다.다웬하우어 교수는 “새로운 촉매를 이용해 95%의 높은 수율로 부타디엔을 합성할 수 있다”며 “고무나 타이어를 더 경제적으로 생산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 ...
- [Future] 랍스터 하나 주문이요~ 음식도 3D 프린팅 시대과학동아 l2018년 07호
- D 푸드 프린터를 이용해 식감을 조절하면 동일한 재료로 다양한 음식을 만들 수 있다. 이 교수는 “사람의 미각은 맛 분자에 의한 화학적 신호뿐만 아니라 식감에도 큰 영향을 받는다”며 “예를 들어 콩 단백질을 층층이 쌓아 고기를 만들 때 쌓는 방향을 다르게 디자인하면 다른 종류의 고기처럼 ... ...
- [Issue] 한국 출산율 하락, 숨겨진 원인은?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대한 출산 지원 정책은 큰 효과를 거두지 못했다. 이에 대해 이철희 서울대 경제학부교수는 2016년 발간한 ‘저출산 대책의 효과성 평가’ 보고서를 통해 유배우 여성의 출산율은 꽤 안정적으로 높아졌다고 지적한다. 쉽게 말해 이미 결혼한 여성들의 출산율은 정부의 저출산 대책 영향으로 꽤 높은 ... ...
- [통합과학 교과서] 새로운 능력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사라진 작은 물고기들의 수가 크게 늘어난 거예요. 연구를 이끈 이반 네이겔커켄 교수는 “육지 생태계로 치면 쥐나 바퀴벌레 같은 것들만 남은 것”이라며 “이산화탄소 배출도 줄여야 하지만, 그에 앞서 중간 어종을 마구잡이로 잡아들이는 남획을 줄여야 한다”고 말했어요. *개념 퀴즈 ... ...
- Part 1. 더 튼튼하게, 더 멀리! 바퀴의 진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사실 바퀴는 인류가 만든 위대한 발명품 중 하나로 꼽혀. 만약 바퀴가 만들어지지 않았다면 우리는 무거운 짐도 제대로 나를 수 없었을 걸~! 세상을 바꾼 ‘바퀴’도로 위를 달리는 자동차, 어린이들이 즐겨 타는 킥보드, 스마트 모빌리티까지…. 우리 주변의 탈것들은 대부분 바퀴를 이용해 움 ... ...
- Intro. 수학으로 쌓아올린 미래도시, 초고층건물수학동아 l2018년 07호
- 멀리서 보면 얼핏 땅바닥에 꽂힌 가느다란 막대기처럼 보이는 초고층건물. 하늘을 찌를 듯이 높이 솟아있는 건물이 어떻게 똑바로 서 있는 걸까? 안전하기는 한 걸까? 혹시 대기권을 넘어 우주까지 높이 지을 수는 없는 걸까? 초고층건물에 대한 모든 궁금증을 해결하고, 상상할 수 있는 초고층건 ... ...
- Part 2. 메가기둥 구조로 중력을 거스르다수학동아 l2018년 07호
- 초고층건물은 무게가 엄청나다. 이 무게는 지구가 초고층건물을 끌어당기는 중력 때문에 지구 중심 방향으로 생긴다. 초고층건물이 중력을 견디려면 기둥이나 벽 같이 수직으로 세우는 부재★의 크기를 키워 튼튼하게 만들어야 한다. 하지만 이런 부재가 너무 커지면 실제로 쓸 수 있는 공간이 부 ... ...
- Part 6. 상상할 수 있는 초고층건물의 끝은?수학동아 l2018년 07호
- 초고층건물은 꾸준히 진화하고 있다. 이볼로 2018 미래 초고층건물 아이디어 공모전에 선정된 작품도 당장은 힘들더라도 충분히 실현될 가능성이 있다. 정 센터장은 “SF에 나오는 여러 디자인이 결국 실현되는 것처럼, 이 공모전은 미래 건축의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준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 ...
- [필즈상] 미분기하학 분야 필즈상 0순위, 시몬 브렌들수학동아 l2018년 07호
- 교수와 소속이 같고 나이가 어려 아깝게 불발된 것 같다”고 밝혔습니다. 브렌들 교수 개인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습니다. 수학 말고는 다른 것에 별로 관심이 없고, 언론에 모습을 많이 드러내지 않아서라고 합니다. 8월 1일 필즈상 수상자로 선정돼 수학동아 기자와 기자회견장에서 만날 ... ...
- Part 1. 세상에서 가장 섬뜩한 분해 작업 ‘소인수분해’수학동아 l2018년 07호
- 1637년 프랑스의 법조인이자 아마추어 수학자인 피에르드 페르마는 소수와 관련된 추측을 내놓는다. 본인의 이름을 따서 Fn=22n+1으로 나타나는 수를 ‘페르마 수’라고 이름 붙였는데, 음수가 아닌 정수 n에 대해 페르마 수는 모두 1과 자신만을 약수로 갖는 소수라는 게 그의 추측이다. 예를 들어 F ... ...
이전35735835936036136236336436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