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교수"(으)로 총 12,487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꿀벌이 새 여왕 뽑는 기준, 가족보다 ‘왕족’과학동아 l2018년 08호
- 노스캐롤라이나주립대 곤충학및식물병리학과 제임스 위드로우 교수와 데이비드 타피 교수는 꿀벌 군집 6개에서 갑자기 선출된 여왕벌과 일벌들의 DNA를 조사했다. 꿀벌의 여왕벌은 평균 12마리의 수벌과 교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 때문에 같은 군집 아래에서도 여러 개의 부계 하위가족이 ... ...
- [과학뉴스] 폭력범죄, 뇌 전기자극으로 예방과학동아 l2018년 08호
- 확률이 약 70%나 낮았다.애드리안 레인 펜실베이니아대 범죄학, 정신의학, 심리학과 교수은 “더 많은 연구를 통해 효과를 확실히 입증한다면, 향후 실제 범죄자들에게 이 치료법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신경과학 저널’ 7월 2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doi:10.15 ... ...
- [Issue] 여름 바다에서 피해야 할 5대 세균과학동아 l2018년 08호
- 腸壁)에 침입해 장, 간, 신장 등에 염증을 일으킨다. 박희명 건국대 수의대 수의내과 교수는 “우리나라의 경우 반려견의 야외활동이 상대적으로 적고, 또 구충제를 철저히 복용하는 편이라 반려견이 개회충을 해변에 옮길 가능성은 높지 않다”며 “다만 야생동물이나 야외에서 사는 개들이 옮긴 ... ...
- [Culture] 영화 속 그 기술,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지금은 완전히 투명하게 제작할 수도 있다. 박장웅 울산과학기술원(UNIST) 신소재공학부 교수팀은 유리와 비교해 99% 투명하면서 전기전도도도 높은 전극을 개발해 국제학술지 ‘나노 레터스’ 5월 21일자에 발표한 바 있다. 미션 임파서블: 로그네이션(2015년) CCTV에서 몽타주로 범인 찾기 ‘미션 ... ...
- [피부, 머리카락 붙이기] 당신 머리카락을 쓸어 주고파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않았다.연구팀은 이번 연구가 탈모를 극복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했다. 쾰러 교수는 “피부는 생체 내 미세한 환경을 잘 보여주는 모델”이라며 “동물실험을 대신해 약물을 시험하거나 피부암 등의 발생 과정을 연구하는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셀 ... ...
- [Interview] "박쥐 같은 학문 바이오피직스로 면역항암제 개발 길 열 것"과학동아 l2018년 08호
- 문제를 푸는 방법은 3가지였다. 첫 번째는 풀 때까지 끙끙 씨름하는 것. 두 번째는 바쁜 교수님들이 분명 어디선가 베낀 문제일 테니 그 출처를 찾아내는 것. 세 번째는 다 푼 친구한테 가서 물어보는 것. (기자 : 왠지 첫 번째였을 것 같다) 틀렸다. 늘 세 번째였다. 연구를 해보니 누구한테 ... ...
- [Culture] 음식의 화룡점정, 소스 분산액&유화액과학동아 l2018년 08호
- 한가한 일요일 아침, 빵 위에 부드러운 수란과 고소하게 구운 베이컨을 얹은 에그 베네딕트로 하루를 시작해봅니다. 나이프로 수란을 자르니, 노른자가 주르륵 흘러내립니다. 에그 베네딕트가 맛있는 이유에는 수란과 베이컨도 있지만, 이 재료들을 조화롭게 만드는 홀랜다이즈소스를 빼면 서운 ... ...
- Intro. 전기만들고 계단도 껑충~! 스마트 바퀴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씽씽~! 달려라 달려~!”우리는 최신 모빌리티를 가장 먼저 즐기는 얼리어답터 삼총사야. 저 킥보드는 360°를 자유자재로 움직일 수 있고, 내가 탄 모빌리티는 계단을 오르내릴 수도 있어! 이게 가능한 건 다 똑똑한 바퀴 덕분이란다. 똑똑한 바퀴가 궁금하다고? 지금부터 우리가 소개해 줄게! ... ...
- Part 1. 더 튼튼하게, 더 멀리! 바퀴의 진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사실 바퀴는 인류가 만든 위대한 발명품 중 하나로 꼽혀. 만약 바퀴가 만들어지지 않았다면 우리는 무거운 짐도 제대로 나를 수 없었을 걸~! 세상을 바꾼 ‘바퀴’도로 위를 달리는 자동차, 어린이들이 즐겨 타는 킥보드, 스마트 모빌리티까지…. 우리 주변의 탈것들은 대부분 바퀴를 이용해 움 ... ...
- Part 4. 바람에 넘어가진 않을까?수학동아 l2018년 07호
- 사실 초고층건물을 가장 위협하는 건 지진보다 바람이다. 바람의 세기는 땅에서 위로 올라갈수록 급격히 커지기 때문이다. 바람의 영향을 덜 받기 위해 가장 먼저 생각해 볼 수 있는 건, 초고층건물을 위로 갈수록 뾰족하게 설계하는 것이다. 위로 갈수록 강해지는 바람에 닿는 면적을 줄이는 것이 ... ...
이전35335435535635735835936036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