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간
도중
사이
틈
중도
동안기후
기후
뉴스
"
동안
"(으)로 총 12,054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로나19 백신 개발에서 진가 발휘한 mRNA 기술, 영역 넓힌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1.12
WHO)가 다음 겨울철에 유행할 4종의 독감 바이러스를 지목하면 백신 생산기업들이 6개월
동안
백신을 생산한다. 보통 유정란이나 동물세포에서 백신 원료를 배양하는 데 6개월이 소요되기 때문이다. 예방 효과는 10%~60% 수준으로 낮다. 과학자들이 유행할 것으로 예측한 독감 바이러스와 실제 유행 ... ...
국내 연구진의 손길로 1초의 기준 재정의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1.10
한계에 근접한 정확도로 절대주파수를 측정했다. 2025년까지 우주의 나이(약 138억 년)
동안
1초의 오차도 나지 않을 정도의 세계 최고 불확도에 도달하는 것이 목표다. ‘KRISS-Yb1’은 이외에도 입자가속기·초장기선 간섭계 기술(VLBI) 등 첨단과학기술 분야에 표준 시간과 주파수 공급, 인터넷과 ... ...
"코로나19에 신속 대응한 비결은 공유와 협력"
동아사이언스
l
2021.11.10
말처럼 전쟁 때 오히려 과학기술을 투자해 개발하듯이 이번 코로나19 대유행 기간
동안
에도 이전에 비교적 주목받지 않았던 바이러스, 역학 등 분야가 활성화하는 계기가 됐다"고 말했다. 이재담 교수는 "(대유행 대응에서 많은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에) 감염내과가 앞으로 인기가 많아질 것처럼 ... ...
화이자, FDA에 18세 이상 성인 대상 부스터샷 승인 요청
동아사이언스
l
2021.11.10
이날 앨버트 불라 화이자 최고경영자(CEO)는 "화이자 백신 부스터샷의 효과가 1년
동안
지속될 것"이라며 "매년 접종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미국 내에서는 FDA가 이달 25일까지 화이자 백신의 부스터샷 확대 신청을 승인 권고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미 다른 국가 중에서도 고위험군 분류 없이 ... ...
코로나19 맞선 39편 보고서 저자들 "전례 없는 빠른 대응, 연구자들 머리 맞대는 환경 중요해”
동아사이언스
l
2021.11.09
최 소장은 “원래 백신은 개발에도 오래 걸릴 뿐만 아니라 접종자의 추이를 몇 년
동안
추적한 뒤에야 일반인에게 접종할 수 있어서 흔히 ‘백신 하나 개발하는 데 10년이 걸린다’고 말한다”며 “너무 빨리 샴페인을 터트리고 있는 건 아닌지 경계해야 하며, 앞으로 어떻게 백신 개발을 안정화하고 ... ...
서울 관악산에 첫눈 관측... 공식 서울 첫눈은 아냐
동아사이언스
l
2021.11.09
11월 24일, 남부지방은 12월 8일이다. 서울의 평균 첫눈 시작일은 11월 21일이다. 48년
동안
서울의 첫눈이 가장 빨리 내린 날은 1981년 10월 23일이다. 하루 최대 눈이 가장 많이 쌓인 첫눈은 2018년 11월 24일로 8.8cm를 기록했다. 9일 이후 전국 곳곳에서는 첫눈이 내리는 곳이 있을 전망이다. 기상청에 ... ...
2주간 확진자 48.1% '돌파감염'…10대 확진자·고령층 돌파감염 증가
동아사이언스
l
2021.11.09
긴급멈춤)' 경고 기준에 근접하고 있다. 서킷 브레이커는 단계적 일상회복을 시행하는
동안
확진자나 위중증환자가 의료체계가 감당하기 힘든 수준으로 급증했을 때 비상으로 내려지는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조치다. 백신 패스를 확대하거나 다중이용시설 영업 제한 등을 두는 것이다. 하지만 ... ...
"실패를 다루는 법을 배우라. 거절에 익숙해지라. 그리고 질문하라" 노벨상 수상자의 10가지 멘토링 원칙
동아사이언스
l
2021.11.09
2년까지 매년 80~100여 명이 징집을 통해 미국 국립보건연구원(NIH)에서 2년간 복무했다. 8년
동안
연구를 NIH에서 배운 의사과학자들 중 10명이 노벨상을 받았다. 앤서니 파우치 국립알레르기및감염병연구소(NIHID) 소장도 레프코위츠 교수의 동기다. 레프코위츠 교수는 “10명 중 4명이 노벨상 ... ...
'부항·피지흡입기 원리'로 세포막 열었더니 코로나 DNA백신 효과100배
동아사이언스
l
2021.11.08
백신 ‘GLS-5310’을 쥐의 피부 아래에 주사한 후 피부에 입구 6mm 지름의 진덤을 대고 30초
동안
빨아들였다. 그 결과 진덤으로 압력을 줬을 때가 백신만 주사했을 때보다 항체가 100배 더 많이 생성됐다. 린 교수는 “간단할 뿐만 아니라 통증이 없으며 알려진 부작용도 없다”고 말했다. 린 교수는 ... ...
8월부터 '여름감기' 유행 확산...올 겨울 독감·코로나 동시 확산 현실화 우려
동아사이언스
l
2021.11.08
아놀드 몬토 미국 미시간대 글로벌공중보건대학 교수는 지난 6일 코로나19 대유행
동안
전파력이 센 델타 변이가 등장해 재확산한 것처럼 인플루엔자바이러스도 새로운 변종이 나타날 경우 의료시스템을 마비할 우려가 있다는 전망을 국제학술지 '뉴잉글랜드저널오브메디신(NEJM)'에 내놨다. ... ...
이전
356
357
358
359
360
361
362
363
3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