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동안"(으)로 총 12,286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2.커피잔 속에서 우주의 원리를 보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섞여서 세상 만물을 이룬다는 것이 다. 그리고 인류는 19세기 초까지 무려 2300여 년 동안 이 주장이 진리라고 믿었다. 4원소설은 2000년 이상 세상을 지배한 ‘표준모형’이었던 셈이다.세상은 무엇으로 이뤄져 있는가20세기에 들어와 인류가 발견한 과학적 사실 중 가장 중요한 것을 꼽는다면, 우리 ... ...
- Part 4. 그들은 더 완벽한 우주이론을 꿈꾼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결합해서 이루는 입자다.LHC만큼 대중적으로 널리 알려지지는 않았지만, KEKB로 11년 동안 얻은 데이터는 CP대칭성 깨짐 현상을 연구하는 데 큰 도움을 줬다. 그 결과 고바야시 마코토와 마스카와 도시히데 교수가 1973년에 이론적으로 설명한 CP대칭성 깨짐 원리를 검증할 수 있었고, 두 교수는 2008년 ... ...
- [Tech & Fun]시작은 절대 반이 아니야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동기부여에서 계획과 실천의 다음 단계로 자연스럽게 넘어가는 방법을 오랫동안 연구했다. 그중 오늘 소개할 방법은 ‘정신 대비(mental contrasting)’라는 방법이다. 방법은 간단하다. 동기부여가 될 만한 목표를 떠올릴 때 동시에 이것을 방해하는 장애물을 함께 떠올리는 것이다. 미국 뉴욕대 ... ...
- 세뱃돈이 사라진다?! 미래의 돈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아무리 스마트폰이 많이 보급됐다지만 정말 이렇게 현금이 없어져도 되는 거야? 그동안 돈이 어떤 과정을 거쳐 발전해 왔는데…! 지폐의 등장은 그야말로 혁명이었다고!돈의 역사돈이 언제부터 탄생했는지 정확한 시점은 알려지지 않았어요. 돈이 문자보다 먼저 등장했기 때문이지요.인간은 기원전 ... ...
- [가상 인터뷰]킬리피시가 빨리 죽는 건 유전자 때문?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당연히 알도 함께 바짝 마르지요. 하지만 킬리피시의 알은 물이 없는 상태에서도 몇 달 동안 살 수 있어요. 긴 건기가 끝나고 다시 연못에 물이 차오르면 바짝 말라 있던 알에서 킬리피시의 새끼들이 태어나기 시작해요.닥터 그랜마▶건기 직전에 알을 낳으려면 무척 바쁘겠는걸?킬리피시▶6~8개월 ... ...
- 리만가설수학동아 l2016년 01호
- 영점 3개가 일직선 위에 있었던 것이다.리만 가설, 157년의 역사리만 가설이 등장하고 30년 동안은 아무런 진척이 없었다. 그만큼 리만의 논문을 이해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렸다. 하지만 오랜 노력 끝에 논문에 담긴 아이디어로 가우스의 소수 추측(현재 소수정리)이 증명됐고, 2012년 영점의 41.28% ... ...
- [지식]왜 내게 이런 일이!- 스마트폰 잔혹사-수학동아 l2016년 01호
- 기분이 우울하다. 우울한 기분으로 집에 혼자 덩그러니 누워있었는데, 이게 무슨 일? 그동안 마음에 두고 있었던 후배 수지에게 SNS 메시지를 받았다. 집 앞인데 잠깐 볼 수 있냐는 내용이었다. 나는 들뜬 마음에 얼른 된다고 답장을 보냈다. 아뿔싸! ‘되지’라고 보내려 했던 메시지가 ‘돼지’라고 ... ...
- [재미] 마왕의 탑-1 화 탑에 갇힌 단수학동아 l2016년 01호
- ”“고맙네. 제발 날 꼭 구해주게. 음…, 그럼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하지?”내시는 잠시 동안 말을 하지 못하다가 곧 말을 이어갔다.“경제학자 애덤 스미스는 합리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인간은 언제나 자신에게 최고로 이익이 되는 선택을 한다고 주장했어. 이 이론은 약 200년간 유지됐는데 여기에 ... ...
- [News & Issue]당신은 봄수저인가요 겨울수저인가요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두 가지 가설이 있다. 첫 번째는 겨울에 임신 중기를 거치는 동안 산모가 바이러스에 감염될 확률이 높다는 것이다. 임신 중기(4~7개월)는 태아의 뇌와 각종 장기가 발달하는 중요한 시기다. 이 시기가 마침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활개 치는 시기와 맞아떨어지면서 태아의 ... ...
- [Knowledge]전투면역 세포 백혈구의 재발견, 뉴트로필 리턴즈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무대 밖으로 나간다. 무대엔 뉴트로필만 서있다)현대 면역학의 역사는 100년이 넘지만, 그 동안은 개별적인 면역 세포의 종류와 그 기능에 초점을 맞춰 연구를 진행했습니다. 그러다보니 뉴트로필은 침입자를 공격하는 단순한 세포로 취급됐습니다.하지만 면역 세포 간의 상호작용을 연구할수록 ... ...
이전35635735835936036136236336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