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마귀
사항
얼룩
닷
포인트
지점
간반
스페셜
"
점
"(으)로 총 370건 검색되었습니다.
바이오협회가 BIO KOREA 참가 못하는 까닭
동아사이언스
l
2011.07.13
개선 논의는 이뤄지고 있나. “충북도 부지사도 BIO KOREA와 GBF가 따로 열리는 문제
점
에 공감하고 있다. 보건복지부 차관도 바꾸겠다고 했지만 여전히 달라진 게 없다. 부처 간 이기주의를 타파해야 한다. 바이오는 어느 부문은 지경부와 하고, 또 다른 부문은 보건복지부와 하고, 교과부와 하고 이런 ... ...
한 자리에 모인 주요 제약社 연구소장, “한국 바이오는…”
동아사이언스
l
2011.04.05
자유롭게 만나 논의하는 자리가 필요하다는 것. 산업계 인사들이 학계의 연구결과를 백화
점
을 둘러보듯 살펴보고 관심이 있을 경우 해당 부스에 들어가 즉석에서 논의하는 방식을 예로 들 수 있다. ●“젊은 연구인력 육성 위해 기업이 나서야” 토론은 젊은 바이오 연구인력의 육성이라는 주제로 ... ...
“종자 주권이요? 아직 논할 단계도 아닙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1.02.08
이 기술을 사용할 수 있는 장비가 대부분 가격이 높아 개인 육종가가 갖고 있기 어렵다는
점
입니다.” 오 상무는 “장기적인 목표를 갖고 능력있는 개인 육종가를 한데 모아 첨단 장비를 지원해서 종자기술을 발전시키는 편이 가장 효율적”이라고 밝혔다. ‘실리콘 밸리’처럼 종자 단지를 육성해 ... ...
“해외 식물 10만종 모으는 게 목표”
동아사이언스
l
2010.07.28
되지 않지만 식물을 연구하는 사람들이라면 한 번쯤은 꼭 거치는 곳이 됐다. 식물 시료 1
점
을 분양받는데 드는 비용이 5000원으로 매우 저렴할 뿐 아니라 해당 식물이 언제 어디서 채취됐는지 손쉽게 알 수 있다. 분양비로 얻은 수익만 벌써 15억 원이 넘었다. 대략 계산을 해도 30만 건이 분양됐다는 ... ...
“생물자원 전쟁 이미 시작… 과학적 분류부터 응용까지 지원”
동아사이언스
l
2010.07.06
수장고에 기증 또는 위탁하도록 함으로써 자원의 정보도 확보하고 보전도 할 수 있다는
점
을 충분히 알렸다고 김 관장은 전했다. 이 같은 표본 수집 및 정리 사업이 진행되고 있지만 아직 갈 길이 멀다. 김 관장은 “일본은 8만종 정도가 분류가 되어있지만 우리는 일본의 40% 수준에 불과하다”며 ... ...
“국토의 64%는 산림, 생명과학 연구의 보고”
동아사이언스
l
2010.05.25
얻을 수 있다. 에코 투어는 또한 인근 지역 관광 산업에도 기여하는 등 여러 가지 이
점
이 있다. 산림청은 이러한 에코 투어 수요에 부응하면서도 산림 생태계 파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정 청장은 “에코 투어 프로그램의 성격에 맞춰 정상정복형 산행문화에서 자연과 함께 ... ...
“한국 BT, 비즈니스 인력 키워야”
동아사이언스
l
2010.05.06
▽현병환 센터장=한국은 BT 개발 초입이다. 미국의 경험이 한국으로 들어가야 할 시
점
이라고 생각한다. 물론 경험이 정보를 공유하는 방식으로만 들어가는 것이 아니라 경험이 실질적으로 쓰일 수 있는 여건이 마련돼야 한다. 오래전부터 국가 R&D 사업의 예산 가운데 기술 기획과 관리 평가 시스템, ... ...
“국내 바이오 기업은 30
점
, CEO 욕심 버려야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0.04.28
쉽게 벌 수 있는 시장이 아니에요. 전문가에게 맡겨 신중하게 두드리고 장기 관
점
에서 투자해야 합니다.” -------------------------------------------------------------------------------- 권재현 애널리스트의 ‘이것만은 꼭!’ ○ 바이오 기업은 시장이 요구하는 기술 개발해야 ○ 벤처 CEO는 경영 능력을 배우고 M&A에 ... ...
국가 신약개발 진두지휘할 협의회 생긴다
동아사이언스
l
2010.03.16
할 수 있다. ▽김=오늘 이 자리에서 나온 이야기를 바탕으로 협의회를 출범키로 하는
점
을 합의하기로 하자. 구체적 추진체계에 대해서는 부처간 이해범위 내에서 시작해보자 ... ...
“농림수산식품 R&D, 발상의 전환 절실해”
동아사이언스
l
2010.02.08
이유 중에는 기업에 들어가 활약할 농수산 분야의 고급 인력 육성이 안 되고 있다는
점
도 들 수 있습니다. 현재 국내는 농업에 특화된 전문대학이 거의 사라졌습니다. 농촌진흥청 산하에 농업대를 만들어도 대학원생이 오지 않습니다. 서울대에서는 진흥청에서 연구 사업을 수주한 뒤 이를 통해 ... ...
이전
31
32
33
34
35
36
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