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마귀
사항
얼룩
닷
포인트
지점
간반
스페셜
"
점
"(으)로 총 370건 검색되었습니다.
“세계적인 제약기업과 병원 등 바이오 분야의 ‘선수’가 필요합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2.06.12
알기 힘든 정보가 끊임없이 만들어집니다. 그렇지만 국내 병원은 그동안 진료에만 초
점
을 맞추다보니 R&D를 통해 산업적인 가치를 만들어 내지 못했어요.” 이에 병원의 임상지식과 생체정보에서 신약이나 새로운 개념의 의료기술 아이디어를 발굴하고 R&D로 이어갈 수 있도록 연구조직과 인력, 장비 ... ...
‘창조성’ 중요한 바이오…한국도 기회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2.04.23
주목받을 수 있다. BT는 다른 기술과 달리 창조성이 중요한 분야라는
점
도 한국에 장
점
으로 작용한다. 송 원장은 “한국이 바이오산업에 후발주자로 뛰어들었긴 했지만 창조적인 연구로 원천기술만 개발하면 크게 ‘한 방’을 노릴 기회가 충분하다”고 말했다. 이런 ‘한 방’으로 성공한 기업으로 ... ...
“BT 연구개발, 부처간 이기주의 심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2.04.18
●‘아래서 위’로보다는 ‘위에서 아래로’가 적격 비록 현재 실적에 대해서는 ‘짠’
점
수를 줬지만 바이오에 대한 관심과 투자가 늘어난 지금이 여러 부처가 의기투합해 융합할 수 있는 호기(好機)라고 유 실장은 말했다. 그는 “현재 바이오에는 교육과학기술부, 지식경제부, 보건복지부가 주로 ... ...
“암덩어리에 BT발전 열쇠가 있죠”
동아사이언스
l
2011.12.13
신체를 잘 기증하지 않는 사회 분위기를 극복해야 하고 법과 제도적인 지원이 중요한 시
점
”이라고 말했다. 김한겸 교수의 ‘이것만은 꼭!’ △ 바이오뱅크 사업 성공을 위한 대국민 홍보 △ 환자의 검체기증 편의를 위한 제도개선 △ 이원화 된 바이오뱅크 관리 시스템 통일 김한겸 교수는 1974~1980 ... ...
“바이오도 양보다 질로 K-POP처럼 세계 흔들어야"
동아사이언스
l
2011.12.05
바이오 정보, 기기 분야가 기본계획에 포함되지 않았다고 지적하며 “생명과학 최정
점
에 있는 계획안인 만큼 IT 정보 분과도 포함돼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박춘근 강원대 교수도 "중복을 피할 수 없다면 각 부처 공동의 로드맵을 만들어 간극을 줄여가라"고 제안했다. 박준기 충북대 교수는 ... ...
“국내 신약개발, 사업화 역량만 키우면 승산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1.11.01
상주할 예정이다. 장 센터장은 “신약개발을 시작할 때 가장 중요하게 고려할 돼야 할
점
은 병의 원인에 대한 ‘과학적 이해’와 ‘시장성’”이라며 “이 두 가지 조건의 균형이 맞아야 신약사업도 발전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인력운영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조직의 역량이란 결국 ... ...
떠오르는 해양생명공학…세계적 수준 따라잡을 것
동아사이언스
l
2011.10.17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해양생명공학이 다른 생명과학과 다른
점
은 무엇일까. 박 국장은 해양이 갖는 ‘특수성’을 지적했다. 그는 “해양생명공학은 바다에 사는 생물을 파악하고 채집하는 것에서 시작해 생체 메커니즘을 분석하는 분야까지 폭이 굉장히 넓다”며 “이런 과정이 ... ...
“시장에서 필요한 지재권 확보로 바이오 경쟁력 확보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1.08.17
했는가 두 측면에서 봐야합니다. 이런 기준으로 볼 때 우리나라 연구 수준은 아직 부족한
점
이 많습니다.” 고충곤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지식재산전문위원장(LG전자 상무)는 지식재산이라는 측면에서 우리나라 과학기술 수준을 평가해달라는 주문에 대해 이같이 답했다. 고 위원장은 “우리나라가 ... ...
한국 바이오 기업이 주목해야할 미국 바이오 분야의 특징들
동아사이언스
l
2011.07.20
일하면서 가장 바뀌었으면 하는 게 바로 그
점
”이라며 “벤처를 창업하고 2년쯤 지난 시
점
에서는 전문경영인이 맡는 게 낫다”고 말했다. 좌담회를 주관한 현병환 센터장은 “미국의 한인 바이오 네트워크들이 한국의 산학연 기관과 활발히 교류하도록 정책을 개발해 정부에 건의하겠다”고 ... ...
“한국 바이오에는 ‘디벨롭먼트(Development)’가 없다”
동아사이언스
l
2011.07.17
그 기업의 성장과 방향은 벤처캐피털이 이끌어가는 경우가 많다. 한국과 많이 다른
점
이다. ▽이재규 박사=미국은 기업 포텐셜(잠재력)을 보고 투자를 많이 한다. 그만큼 어느 수준 위험 부담을 안고 투자하는 분위기가 조성돼 있다. 한국처럼 벤처 투자자의 관심이 당장의 수익성 모델에만 ... ...
이전
30
31
32
33
34
35
36
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