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간
놈
인류
녀석
인물
휴먼
개인
스페셜
"
사람
"(으)로 총 553건 검색되었습니다.
전통에서 발견하고 현재가 완성한 난방기술
KOITA
l
2013.12.10
아예 각인된 습성이라 해도 이상할 것이 없겠다. 사계절이 뚜렷한 온대기후로 생각하는
사람
들이 많지만, 사실 한국은 냉대기후에 속한다. 연교차가 30도가 넘고 겨울철 내내 영하권에서 벗어나지 않는다는 점만 보아도 한국의 기후는 그리 호의적이지 않다. 게다가 좌식 생활의 특성상 집의 바닥을 ... ...
연구자가 중심이 되는 이상적인 지원기관 만들겠다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3.12.09
조성될 수 있도록 대국경북첨단의료진흥재단이 그 역할을 할 계획입니다. 연구하는
사람
이 중심이 되고, 그들 간의 대화를 통해 기술이 창조되고, 창조된 기술이 국가와 지역의 미래를 만들어가는 이상적인 연구개발 및 사업화 지원기관으로서의 역할을 다 할 수 있도록 할 계획입니다. Q.끝으로 이 ... ...
노벨 과학상, 패러다임을 바꿔야 받는다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3.12.06
받은 솔 펄머터(52, Saul Perlmutter) 교수도 “자신이 수상자로 선정됐다는 소식을 예상한
사람
은 없을 것”이라는 명언을 남겼을 정도다. 2013년 문학상을 받았으나 안타깝게도 지난 11월 17일 별세한 여류 문학가 도리스 레싱(Doris Lessing)도 “노벨상 수상 소식을 듣자마자 갑자기 몸이 나빠져 입원하게 ... ...
일터와 산업을 바꿔놓은 한 건의 발명
KOITA
l
2013.11.08
만들어낼 수 있었기 때문에 동일한 내용의 문서가 빠르게 퍼져 나가고 동시에 여러
사람
에게 전달할 수 있었다. 문서가 빠르게 복제되고 유통되면서 이전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의 빠르기로 대규모 조직을 정교하게 움직이는 것이 가능해졌다. 정전식 복사기는 사무 환경뿐 아니라 기업활동의 ... ...
빛의 속력은 어떻게 측정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3.11.05
구한 피조 천문 현상을 이용하지 않고, 실험 장치를 이용해 빛의 속력을 측정 한 최초의
사람
은 프랑스 물리학자 아르망 이폴리트 피조(1819~1896)다. 피조의 광속 측정 장치는 광원에서 나오는 빛이 회전하는 톱니바퀴의 톱니 틈을 통과하게 한 후 멀리 있는 거울에 부딪혀 되돌아오게 해 빛이 멀리 ... ...
커뮤니케이션의 본질은 변하지 않는다
KOITA
l
2013.11.04
가까운 형태일지도 모른다. 수많은 기술적 혜택들이 자신을 드러내지 않고, 숨어있는 채
사람
들의 자연스러운 생활을 보조해주는 형태 말이다. * 본 콘텐츠는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의 온라인 뉴스레터 KOITA IN 25호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 ...
새로운 길을 연 기초과학
KOITA
l
2013.10.22
식으로 도움이 되지는 않을까?’라는 정도의 주장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그러나 일부
사람
들이 생각하는 것처럼 기초과학이 다른 분야의 근간이 된다는 말은 가벼운 의미가 아니다. 모든 기술은 ‘생애’를 지닌다. 미약하게 시작했던 기술이라도 점차 발전하여 한 시대를 주도하기에 이르기도 ... ...
복잡한 세상, 수학적 원리를 따르는가?
KOITA
l
2013.10.18
경제학, 심리학 등에서는 상관관계를 중요하게 다룬다.
사람
들의 행동과 관련된 분야고
사람
들은 감각으로 받아들이는 바에 기초하여 행동하다보니 겉으로 드러난 지표로서 상관관계가 중요하다. 그러나 과학의 영역에서는 조금 다르다. 네트워크 과학은 상관관계를 읽어내려는 경향이 강하다. ... ...
“자동으로 시각을 알리는 정밀한 물시계를 제작하여라!”
동아사이언스
l
2013.10.10
봉수대를 통해 한양 성 밖까지 널리 시간을 알렸다고 한다. 이런 방법으로 조선시대의
사람
들은 표준시계인 자격루가 알리는 시간에 따라 생활하며 큰 불편함 없이 생활을 해 나갈 수 있었다. 15세기 시계 기술의 혁신 자격루 자격루는 동·서양의 과학기술이 접목된 15세기 당시의 최첨단 장치라 ... ...
"어려움이 있더라도 늘 무언가는 배울 수 있는 직업이 과학자죠"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3.10.10
살려면 필요한 것이 무엇일지 의견 부탁드립니다. 과학자는 끊임없이 배우고 연구하는
사람
들입니다. 가장 큰 행복도 생계나 연구비 걱정 없이 하고 싶은 연구에 매진하고 자유롭게 창의적인 생각을 하는 것이라고 생각해요. 어려운 난관에 부딪히더라도 꺾이지 않는 긍정적인 자세도 ... ...
이전
31
32
33
34
35
36
37
38
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