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자율"(으)로 총 2,134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기정통부 "4대 과기원, 글로벌 연구중심대학 돼달라"동아사이언스 l2024.03.20
- 구축 방안도 제시됐다. 신속하고 전략적인 예산 활용과 중장기적인 연구지원을 위해 자율적 예산 편성 및 집행을 제안하는 등 세계적인 연구중심대학으로 발돋움하기 위한 다양한 R&D 혁신방안도 논의됐다. 이 차관은 “4대 과기원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연구중심대학으로 기관운영 목표와 ... ...
- [사이언스게시판] ETRI, 모바일 협동로봇 'iF 디자인 어워드' 수상 外동아사이언스 l2024.03.18
- 직관적 디자인이 호평을 받았다. ETRI가 개발한 티치펜던트를 이용하면 모바일로봇의 자율주행 목적지 및 이동경로 설정과 매니퓰레이터가 물체를 조작하기 위한 작업 교시를 동시 수행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이 크게 높아졌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은 네덜란드 라이덴대 ... ...
- 혁신·도전 R&D 확대한다는데…'한국형 다르파'는 반년째 '개점휴업'동아사이언스 l2024.03.18
- 책임을 묻지 않는 '성실·실패 제도'를 도입했다. 비용과 사업 진행 과정에서 연구자들의 자율성을 최대한 보장한다는 취지로 연구계의 높은 호응을 얻었다. 이 사업의 대표적인 성과는 국내 최초 민간 주도로 개발된 초소형 합성개구레이더(SAR) 위성이다. 한화시스템을 비롯한 민간 기업과 대학 ... ...
- 20개 의대 교수 비대위 "25일부터 사직서 제출…환자 진료엔 최선"동아사이언스 l2024.03.17
- 이들 대학은 사직서 제출을 이달 25일에 시작하기로 했다. 학교별로 일정이 다르므로 자율적으로 사직서를 내는 데 동의했다. 사직서 제출에 앞서 이달 22일에는 다시 회의를 열고 진행 상황을 점검할 계획이다. 의대 교수들이 대학별로 사직서 제출을 시작하기로 결정한 이달 25일은 정부로부터 ... ...
- 국제우주정거장서 자율비행한 로봇 데이터셋 최초 공개동아사이언스 l2024.03.15
- 개발된 데이터셋과 실험 결과를 기반으로 우주비행사와 신속하고 정확한 협력이 가능한 자율항법 알고리즘을 개발하는 것이 최종 목표”라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미국전기전자공학회(IEEE) 로봇과 자동조작’ 온라인판에 지난달 12일 게재됐다. 해당 데이터셋은 애스트로비 ... ...
- 얼음 사이 미끄러지는 뱀 로봇…토성 위성에서 생명체 찾을까동아사이언스 l2024.03.14
- 들어가 바닷물 샘플 채취 임무를 수행할 수 있을 것"이라며 "후속 연구를 통해 로봇의 자율적인 움직임 제어를 개선하고 전력 관리와 통신 방법에 대해 연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
- 2022년 여성과학기술인력, 전년 대비 채용·재직 모두 증가동아사이언스 l2024.03.14
- 의무제도의 운영률은 92.2%인 반면 자율적 제도의 운영률은 55.9%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자율적 제도에는 불임휴직제, 수유시설 운영, 원격‧재택근무제 등이 해당한다. 이공계 여성 입학생 비율은 31.3%, 재학생 비율은 31.4%(자연 52.1%, 공학 23.3%)로 조사됐다. 여학생의 졸업 직후 취업률은 67.2% ... ...
- EU, 세계 최초 'AI 규제법' 통과…위반시 매출 7%까지 과징금동아사이언스 l2024.03.14
- 고위험 등급으로 분류되는 의료, 교육을 비롯한 공공 서비스나 선거, 핵심 인프라, 자율주행 등에서는 AI 기술 사용 시 사람이 반드시 감독하도록 하고 위험관리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또 광범위한 사이버 공격, ‘유해한 선입견’ 전파 등 EU가 시스템적 위험이라고 규정한 사고 발생을 방지하기 ... ...
- 과학기술 한국 제친 중국…'해외 젊은인재' 유인에 돈 풀었다동아사이언스 l2024.03.08
- 일으켰기 때문이다. 한국에서도 2017년 중국의 천인계획에 선발됐던 KAIST 교수가 자율주행차의 핵심기술인 라이다(LiDar) 관련 기술을 중국에 유출한 혐의로 지난 2월 2심 재판에서 징역 2년을 선고받았다 ... ...
- [과기원NOW] 포스텍, 투명 초음파 트랜스듀서 개발 外동아사이언스 l2024.03.01
- 보안용 암호반도체 소자 개발에 성공했다고 29일 발표했다. 현재는 모바일, 사물인터넷, 자율주행 등 5G/6G 시대의 정보 보안을 위해 안전한 저전력/초소형 난수발생기 연구가 필수적인 상황이다. 이에 연구팀은 기존 대비 점유 면적이 약 2600배, 전력 소모량은 약 3800배 개선한 난수 발생기를 만들 수 ... ...
이전3132333435363738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