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제시"(으)로 총 3,141건 검색되었습니다.
- [매스크래프트] #11. 미국 대통령 집 백악관 미국 선거제도에도 수학이!수학동아 l2020년 11호
- 애로는 1951년 자신의 논문을 통해 투표자들에게 세 개 이상의 서로 다른 투표방식을 제시할 때 어떤 투표 방식도 모두가 만족할 수 없다는 것을 수학적으로 증명해 발표했어요. 일명 ‘애로의 불가능성 정리’라고 불리는 이 정리는 모두가 만족할만한 ‘완전한’ 선거제도는 없다는 걸 의미해요.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 로그] 제11화. 발표의 세계수학동아 l2020년 11호
- 1998년 독일 세계수학자대회에서 발표했습니다. 스메일이 엄선한 18문제엔 힐베르트가 제시한 문제 중에서 아직 해결되지 않은 문제도 있었죠. 2000년에는 미국 클레이수학연구소에서 21세기 사회에 크게 공헌할 밀레니엄 문제 7개를 선정해 각각 100만 달러(약 11억 6000만 원)의 상금을 걸었습니다. ... ...
- 정답 누설 수학 퀴즈쇼! 만능 수학 문제는?수학동아 l2020년 11호
- 배치하는 방법을 찾는 문제입니다. 약 400년 전 독일 천문학자 요하네스 케플러가 처음 제시했죠. 2차원 문제는 1940년대 헝가리의 수학자 라슬로 페예시 토트가, 3차원 문제는 미국 수학자 토마스 헤일스가 1998년에 해결했습니다. 대체 어떤 문제인지 제대로 알아봅시다. 2차원 채우기 문제의 정답은 ... ...
- 매월 1290억개 마스크 쓰레기, 어떻게 처리할까?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수준으로 줄일 수 있다. 연구팀은 폐기물 재활용 시설을 구축하는 등 다양한 실천방안을 제시했다. 그러나 코로나19 때문에 이마저도 쉽지 않게 됐다. 경제활동이 위축되고, 국가간 이동이 제한되며 항공기 등 운송수단의 움직임이 멈춰 유가가 떨어지면서 석유에서 바로 뽑아 만드는 새 플라스틱이 ... ...
- [2020 노벨상] 얼마나 걸릴까, 궁극의 질문에서 노벨상 수상까지과학동아 l2020년 11호
- 받기까지 평균 17.37년이 소요된 것으로 조사됐다. ‘궁극의 질문’에 대한 답을 1차로 제시하고 평균 17년 이상 그 분야를 발전시키는 데 공헌한 사람이 노벨과학상을 받는다는 뜻이다.그런데 2020년의 경우, 수상자들의 핵심 논문이 노벨과학상으로 이어지기까지 걸린 기간의 차이가 분야별로 매우 ... ...
- [2020 노벨상] 생리의학상 │ 미지의 간염 바이러스, 정체가 뭘까?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올터 박사팀은 이 병원체가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은 새로운 간염 바이러스임을 처음으로 제시했다. 새로운 C형 간염 치료제 개발에 주춧돌을 제공한 사건이었다. C형 간염 바이러스가 간염의 직접적인 원인일까? 새로운 간염 바이러스의 존재가 알려진 뒤 약 15년간 많은 연구자들이 바이러스의 ... ...
- [수학뉴스] TV 많이 보는 아이...수학, 독해 능력 떨어진다수학동아 l2020년 10호
- 시기에 치른 수학 성적이 약 12점 낮았죠. 연구팀은 “아이의 전자 매체 사용 기준을 제시할 수 있는 결과”라고 밝혔습니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 ‘공공과학도서관온라인학술지’ 9월 2일자에 실렸습니다. ... ...
- [수학뉴스] 격자를 구부리는 수학적 마법수학동아 l2020년 10호
- 평평한 격자 모양의 구조물에 힘을 가해 3차원 구조물을 만들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했습니다. 긴 나무 막대로 만든 평행사변형 내부에 변과 평행하도록 긴 나무 막대 4개를 설치했다고 가정합시다. 나무 막대가 연결된 부분들은 나사로 고정돼 있지만 회전은 가능합니다. 그러면 이 ... ...
- [인터뷰] 수학 증명 과정은 롤러코스터 타는 것과 같이수학동아 l2020년 10호
- 겨우 이해하는 수준이 아니라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생각하는 방법을 많이 제시해야 한다는 거죠. 일차적으로는 수학자를 위한 것이지만 결국 그 결과가 전체 사회에 퍼져나갈 거라고 설명해주셨어요. 핵심 아이디어로부터 증명 완성까지 2014년 이 문제를 처음 접한 김 교수님은 풀 수 ... ...
- [오일러 프로젝트] 수학자들의 은밀한 파티 '수은파'수학동아 l2020년 10호
- 친화수와 비슷한 ‘완전수’는 고대 그리스의 수학자인 에우클레이데스(유클리드)가 제시한 것으로, 진약수의 합이 자기 자신과 같은 수를 말합니다. 6의 약수는 1, 2, 3, 6으로 6을 제외한 1, 2, 3의 합이 6과 같아 완전수지요. 이런 독특한 성질 때문에 많은 수학자가 완전수를 연구하고 있습니다 ... ...
이전3132333435363738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