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제시"(으)로 총 3,141건 검색되었습니다.
- AI 공학│ 공정성 수호할 기술 도구들과학동아 l2021년 03호
- 한다. 이런 AI를 뜯어보기 위해 최근 들어 사람이 이해하는 형태로 작동방식을 설명하고 제시할 수 있는 설명가능 AI(XAI·eXplain AI)란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당장 편향성 문제를 해결할 수준은 아니다. KAIST 설명가능인공지능연구센터장이기도 한 최재식 교수는 “궁극적으로 딥러닝 AI의 오류를 ... ...
- [매스미디어] 듣도보도 못한 놈들의 우주 청소가 시작된다! 승리호수학동아 l2021년 03호
- 일본어에서 서로 대응하는 표현을 찾아 번역하는 ‘사례기반 기계번역(EBMT)’ 기술을 제시했다. 일반적으로 음성 통역은 다음과 같이 이뤄진다. 말하는 사람을 한국인으로, 듣는 사람을 미국인으로 가정하자. 한국인이 “어디 갔다 왔어?”라고 말하면 자동음성인식(ASR) 기술이 이 음성 신호를 ... ...
- [BOOK소리] 게임 속에 빠진다면? 인더게임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제시가 친구를 위해 다음 모험을 준비하는 장면이 나온다. 그간의 모험을 통해 주인공 제시의 마음이 단단해지고 성장했음이 느껴지는 순간이었다. 책을 덮으며 이 단순한 어린이 동화가 아니라, 청소년의 마음을 성장시키고 사건이 복합적으로 담긴 멋진 소설임을 깨달았다. 작가님, ... ...
- [기획] 동양 vs 서양, 누가 먼저 찾았을까수학동아 l2021년 03호
- 학교 수업 중 원의 넓이나 둘레 등을 계산할 때 쓰는 원주율(π·파이)은 3.14입니다. 소수점 아래 2번째 자릿수까지만 계산에 넣는 거죠. 하지만 현대 공학과 산업 분야에서는 계산의 ... 1500년대 후반에 이르기까지 어떤 수학자도 알 카시가 구한 것보다 더 정확한 값을 제시하지 못했죠 ... ...
- 승리호, 과학으로 탑승할 준비됐나?과학동아 l2021년 03호
- 킴 에릭 드렉슬러는 1986년 발표한 저서 ‘창조의 엔진’에서 지금의 나노봇 개념을 처음 제시했다. 당시 드렉슬러는 분자 조립자(molecular assembler)라고 일컬었다. 이 책에서 꿈꾸는 나노봇은 고도로 프로그래밍돼 다양한 역할을 하고 자가복제까지 가능하다. 영화 ‘승리호’에서 서로 신호를 ... ...
- [특집] 미션1. 식량을 공평하게 나눠라!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3호
- 1948년, 폴란드 수학자 후고 스테인하우스가 ‘고독한 분할법’이라고 불리는 방법을 제시합니다. 고독한 분할법은 한 사람이 나누고, 나머지 사람이 선택하는 방법입니다. 먼저 나조아가 빵 세 종류를 적당히 골라 14개씩 바구니 3개에 나눠 담습니다. 나조아가 빵을 나눴으므로, 이번엔 정만아와 ... ...
- [기획] 램지 수가 뭐길래 수학 난제로 불리지?수학동아 l2021년 02호
- 할 수 있습니다. 램지 수는 1947년 헝가리의 수학자 에르되시 팔과 세케레시 죄르지가 제시했어요. 램지 수의 정확한 값을 구하기는 매우 어렵습니다. r과 s의 값이 늘어날수록 고려해야 할 경우의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커지기 때문입니다. 가장 간단한 램지 수인 R(3,3)을 모든 경우의 수를 따져 ... ...
- [DGIST@융복합 파트너] 뇌 속 시냅스에서 찾은 뇌질환의 비밀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있다. 임상 의사가 환자를 진단하며 뇌질환의 원인으로 의심되는 시냅스 유전자를 제시하면 엄 교수가 실제 해당 단백질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연구하는 방식이다. 엄 교수는 “많은 환자에게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시냅스 기능 이상과 뇌질환의 관계를 풀어나가는 연구에 계속 매진할 것”이라고 ... ...
- [기획] 외계인도 답을 모르는 수학 난제, 램지 수를 구하라!수학동아 l2021년 02호
- 수동네 마을에 외계인이 찾아왔습니다. 외계인은 자신이 제시한 수학 문제를 풀지 못하면 마을을 완전히 파괴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주어진 시간은 1년. 수동은 수학 문제 하나를 푸는 데 한 시간도 아니고, 하루도 아니고, 1년이나 준다는 외계인이 친절하다고 생각했습니다. 정말 그럴까요? 수동 : ... ...
- [논문탐독] 뇌로 떠나는 신경세포의 섬세한 화학언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1981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한 로저 스페리 미국 캘리포니아공대 교수가 제시한 ‘화학친화력 가설’입니다. 망막 신경절 세포가 특정 화학적 라벨과 친화력을 가진 신경세포와 시냅스를 형성하고, 코와 귀 혹은 등과 배를 축으로 위치 정보를 주는 화학 라벨이 구역에 따라 각기 다른 농도 ... ...
이전2728293031323334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