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부
내면
내방
인사이드
안
알맹이
안면
d라이브러리
"
안쪽
"(으)로 총 1,561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세계 최초의 빵을 재현하다
과학동아
l
2017년 06호
토기마다 반죽을 넣고 모닥불 주위에 쌓거나, 커다란 항아리 화덕 안에 불을 지펴놓고
안쪽
벽에 반죽을 붙이거나 불 가까이에 반죽을 놓았다. 그만큼 빵이 까맣게 타버릴 가능성도 높았다.고심 끝에 일반 오븐에서 스팀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반죽을 굽기로 했다. 일반 오븐에서는 반죽에 열을 직접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물을 거꾸로 흐르게 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6호
그 결과 컵 안의 압력은 컵 밖의 압력인 대기압보다 작아지고, 이 차이만큼 컵 밖에서
안쪽
으로 물이 밀려 올라간다.실험 방법 둘. 착시를 이용하라!원리: 스피커에서 28Hz의 소리가 흘러나오면, 스피커는 1초에 28번 진동한다. 동시에 스피커에 고정된 호스도 함께 진동하며 물줄기는 S자 파형을 ... ...
[Origin] 기체 방울 속에 우주와 블랙홀을 재현하다
과학동아
l
2017년 06호
이 공로로 세 사람은 2001년 노벨 물리학상을 받았다.◀ 초유체 상태인 액체 헬륨이 컵
안쪽
의 벽을 타고 올라 바깥쪽으로 흘러 내리고 있다(노란 화살표).컵이 완전히 빌 때까지 이런 움직임이 계속된다.보스-아인슈타인 응축체는 그 자체로도 흥미롭지만, 사실 더 중요한 특성이 있다. 자성이 없는 ... ...
Part 3. 마실물 만드는 별별 방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6호
Cl-)은 밀어내고나트륨 이온(Na+)은 끌어당겨 표면에 달라붙게 만든다. 그래서 염분은뿌리
안쪽
으로 들어오지 못하고 물만 흡수된다. 90% 이상의 염분이뿌리에서 걸러지고, 나머지는 잎에서 소금 덩어리로 배출된다. 이상준 교수는 “이 방법은 소금을 걸러내는 효율이 매우 높고, 역삼투압법과 달리 ... ...
Part 3. 최고의 빵 만드는 ‘태양의 손’은 누구?
과학동아
l
2017년 06호
그은 부분에서 수증기가 더 빨리 더 많이 빠져나갔기 때문이다. 그래서 칼집이 난 부분의
안쪽
에는 구멍이 크게 생긴다. 칼집을 하나만 내 커다란 구멍 한 개가 뻥 뚫려 있는 것보다는 나뭇가지 모양으로 칼집을 내 크고 작은 구멍이 골고루 나 있는 빵이 훨씬 더 맛있게 느껴졌다. 구멍 크기가 비교적 ... ...
Part 1. 헛걸음을 하지 않는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5호
꽃에서 꿀과 꽃가루를 모아 영양분을 섭취하고 애벌레에게 줄 먹이를 만들어요. 이때 꽃
안쪽
에 있는 꿀샘으로 머리를 밀어넣고 혀를 내밀어 꿀을 채취하지요. 이 과정에서 자연스레 수술에 있던 꽃가루가 온몸에 묻어요. 이 벌이 다시 꿀을 따러 이동하면 몸에 묻어 있던 꽃가루가 같은 종 꽃의 ... ...
Part 2. [두 번째 실험] 한 점도 겹치지 않게 모나리자 구기기
수학동아
l
2017년 05호
보라‘평면 위에 시작점과 끝점이 같고 중간에 교차하지 않는 곡선을 그리면 평면이
안쪽
과 바깥쪽으로 나뉜다’가 조르당이 증명한 곡선 정리랍니다. 당연한 이야기 아니냐고요? 맞아요. 조르당의 곡선 정리는 참이에요. 하지만 시작점과 끝점이 같은 ‘모든’ 곡선이 그렇다고 증명하기는 쉽지 ... ...
[Issue] 지금, 당신의 머리 위로 우주가 내린다 우주먼지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품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운석은 주로 화성과 목성 사이의 소행성대와 그
안쪽
에서 온다. 약 90%가 S형(암석질) 소행성에서 유래한다. 하지만 우주먼지의 경우 소행성대 바깥의 C형(탄소질)이나 D형(규산염과 탄소질) 소행성과 태양계 밖에서 오는 혜성에서 유래하는 경우가 많다.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풀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5호
거리의 차가 일정한 점들의 모임’을 말해요. 모양을 보면 세로로 서 있는 두개의 선이
안쪽
으로 굽은 상태로, 서로 대칭을 이루고 있지요. 이 선들이 ‘쌍곡선’으로 불리는 이유는 한자어를 보면 알 수 있어요.‘쌍(雙)’은 새를 뜻하는 ‘새 추(隹)’ 두 개와 오른손을 뜻하는 ‘오른쪽 우(又)’가 ... ...
Part 5. 우주 도시 특명 또 하나의 지구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5호
방법은 우주 정착선을 빙글빙글 돌리는 것이랍니다. 우주정착선이 회전하면 정착선
안쪽
벽에 중력과 같은 효과가 생기거든요. 이것은 통돌이 세탁기와 비슷한 원리예요. 통돌이 세탁기가 빠르게 돌면 빨랫감들이 세탁기 벽에 찰싹 붙죠? 원심력에 의해 벽 쪽으로 미는 효과가 발생했기 때문이에요. ... ...
이전
31
32
33
34
35
36
37
38
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