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안쪽"(으)로 총 1,561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각막이나 눈 가장 안쪽의 망막에도 이 한자가 쓰인답니다.공기의 진동이 고막을 통해 귀 안쪽으로 전달되어야 소리를 들을 수 있어요. 이때 공기의 진동은 북을 두드리는 것처럼 고막을 떨리게 하지요. 한자는 이 과정을 표현한 거랍니다.자기장은 자석의 힘이 미치는 공간으로, 막대자석 주위에 ... ...
- [Issue] 토성 탐사 20년 그 위대한 기록들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년 동안 지속됐다. 앞으로 수 세기 동안 지속될 전망이다. 2009년 카시니는 토성의 가장 안쪽 고리 안으로 진입해 이런 육각형 제트 구름을 촬영해냈다. 보이저 우주선이 촬영한 이후 30년 만이었다. 카시니는 2013년 촬영을 업그레이드해 최고 해상도의 컬러 영상도 확보했다. 고 해상도 카메라로 ... ...
- [Origin] 모세혈관 따라 10만km ‘건강 게이트키퍼’ 모세혈관 총정리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있는 모세혈관에서는 혈액 속 병균이나 유해물질이 뇌로 침투하지 못하도록 모세혈관 안쪽 벽에 내피세포가 촘촘하게 붙어 혈관벽을 만든다(뇌혈관장벽). 그래서 크기가 0.1나노미터(nm, 1nm는 10억 분의 1m)정도로 매우 작은 물 분자조차 통과하기가 어렵다. 고 단장은 “대뇌에서 모세혈관벽을 이루는 ... ...
- Part 2. “소변에서 일부 화학물질 농도 2~3배 증가”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수 있다”며 “대개 피부는 물에 잘 녹는 수용성 물질은 잘 흡수를 못하는데, 외음부 안쪽 점막은 수용성 물질도 다른 피부에 비해 10배 이상 흡수한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고 말했다. 소변 검사로 체내 유입 여부 확인 여성청결제와 질세정제에 포함된 화학물질이 체내에 흡수될 가능성은 ... ...
- [Culture] 원본 증명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일어난 일은 본질적으로 그런 종류의 일이었습니다. 감각이 섞이고 인지한 세상과 안쪽에서부터 튀어나온 기억이 혼재되며, 볼 수 없는 것을 보게 된 대신 봐야 할 것은 볼 수 없게 된 상황. 트라우마가 만들어낸 유령일 겁니다. 걱정이 만들어낸 착시일 게 분명합니다. 하지만 그 고통의 늪 속에서, ... ...
- [식물 속 동물 찾기] 매의 발톱을 가진 매발톱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부분에 특이한 점이 있거든요. 바로 꿀 주머니예요. 꿀 주머니의 모양이 뾰족하면서도 안쪽으로 둥글게 휘어 있어서 마치 매의 발톱을 연상시킨답니다.다른 나라에도 매발톱속에 속하는 꽃들이 있어요. 북미에는 서양매발톱꽃이, 남미에는 붉은매발톱꽃이 있답니다 ... ...
- Part 2. “털! 이번 生엔 널 없애기로 했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때 이 망울은 머리에 약 10만 개, 몸 전체에 300만~500만 개 정도 분포한다. 망울이 몸 안쪽으로 길게 자라 모유두가 생기면, 이것이 진피와 연결된다. 모유두는 털의 지지대 역할을 하면서 동시에 영양분도 공급한다. 이 영양분을 이용해 모간이 성장한다. 김 원장은 “모발 성장은 성장기와 퇴행기, ... ...
- Part 1. 휘발성유기화합물 검출 경로 추적해보니과학동아 l2017년 10호
- 규정하고, 각 층에 사용할 수 있는 성분도 지정하고 있다. 표지층은 피부에 직접 닿는 안쪽 부분으로 주로 ‘커버’라고 부르는 면이다. 생리혈을 생리대 내부로 통과시키는 역할을 한다. 인조섬유, 면섬유, 폴리에틸렌 필름(표지용) 등을 쓸 수 있다고 규정돼 있다. 분석 대상인 10개 가운데 7개가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오로라의 충격 고백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9호
- 물질은 중심으로 가라앉고 가벼운 물질은 바깥으로 퍼졌어요. 그 결과 지구의 가장 안쪽에는 무거운 핵이, 그 다음엔 맨틀이, 가장 바깥쪽에는 지각이 자리하게 됐답니다.이후 지구 표면에는 오랜 시간에 걸쳐 산과 바다 등 다양한 지형이 만들어졌어요. 이런 지형들은 모두 지각에 있어요. 세계에서 ... ...
- [Issue] 경주 지진 벌써 1년, 석가탑과 첨성대 큰 지진에 견딘 비결과학동아 l2017년 09호
- 대응할 수 있다. 또한 각 단을 이루는 돌은 안쪽으로 뿌리가 길게 뻗어 있어 무게 중심이 안쪽에 위치해 쉽게 붕괴되지 않았다. 첨성대에서 가장 놀라운 점은 지진파의 충격을 감쇄시키는 ‘무게추’가 달렸다는 것이다. 현대 건축물에는 지진에 대응하기 위해 보강재를 넣어 건물이 무너지지 않게 ... ...
이전2930313233343536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