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진"(으)로 총 7,556건 검색되었습니다.
- [디지스트] 골칫덩이 탄소를 연료로 만드는 신재생 에너지 변환 소재 연구실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이 기사는 대구경북과학기술원 (DGIST)의 제작지원을 받았습니다. 탄소는 오늘날 지구에서 가장 ‘핫한’ 원자다. 탄소가 포함된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는 기후변화를 만드는 대표적인 온실가스이기 때문이다. 이 이산화탄소를 포집해 제거 혹은 활용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하다. 남대현 대구경북 ... ...
- [똥손 수학 체험실] 내가 만드는 마이보 퍼즐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6호
- 퍼즐 맞추기 좋아하는 사람, 여기 모여라~! 이번엔 내가 좋아하는 그림으로 직소 퍼즐을 직접 만들어 볼까요? 다각형으로 그림을 조각내면 멋진 퍼즐이 되지요! 다각형과 함께라면 나도 예술가! 성당이나 교회에서 여러 가지 색깔의 창문을 본 적 있나요? 바로 ‘스테인드글라스’라는 미술 ... ...
- [출동, 슈퍼 M] 색종이로 만드는 세상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6호
- 색종이가 정사각형인 이유를 알았나요?색종이를 활용해 다양한 모양을 직접 만들어 보세요. 미션 1. 어떤 도형인지 맞혀봐! 그림을 따라 색종이를 접어 보고, 어떤 도형이 완성됐는지 도형의 이름을 적어 보세요. 미션 2. 선대칭 도형을 만들어봐! 색종이를 세로로 절반 접은 다음, 다음과 같 ...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밥 먹을 땐 돌멩이로 조개 껍데기를 깨 먹고, 잠 잘 땐 파도에 휩쓸리지 않도록 미역으로 자기 몸을 둘둘 말고 자는 동물이 있습니다. 바로 북태평양의 ‘귀요미’ 해달입니다. 해달은 바다의 사막화를 막는 해양 생태계 핵심종이에요. 이 때문에 미국 캘리포니아주에서는 해달의 개체수를 100배가량 ... ...
- 게임 회사에서 언어 AI 연구하는 이유는?수학동아 l2023년 06호
- ‘배틀그라운드’의 회사, 크래프톤에서는 챗GPT와 같은 생성형 AI의 사용을 적극 권장하고, 업무와 게임에 적용할 ‘언어 AI’를 연구하고 있어요. 왜 그런지, AI 연구원이 되려면 어떤 소양이 필요한지 자연어 처리 및 음성팀의 이기쁨 팀장과 양성준 연구원을 만나 이야기를 나눴습니다. 크래프 ... ...
- [화보] 마음으로 그리고 사진으로 남기다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월드 포토그래피 어워드는 소니가 후원하고 세계사진협회(WPO)가 주관하는 세계 최대의 사진 대회다. 2023년 수상작 중 상상력이 특히 돋보이는 작품 일부를 소개한다. ▲PDF에서 고화질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
- [이세인의 '미지의 유인원'] 진화의 땅에 발령된 호기심 전염주의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인기를 끄는 음식점이나 카페들은 영업 시작 전부터 줄을 서서 기다리는 사람들의 사진을 올리곤 한다. 이를 본 다른 사람들은 이 매장들이 파는 메뉴를 알아보기도 전에 이곳에 대한 호기심을 갖는다. 그리고 이렇게 ‘사회적으로 유발된’ 호기심이 전파돼 더 많은 새로운 사람들이 매장에 몰리는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반짝반짝 과일 사탕, 달콤한 탕후루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5호
- 3월 14일 화이트데이를 앞두고 섭섭박사님이 비장한 표정으로 주방에 달려갔어요. 그리곤 딸기로 사탕을 만들어 선물해야겠다고 말했죠. 얼음 속에 과일을 가둔 것 같은 중국의 전통 간식 탕후루로 마음을 훔치겠다나?! 섭섭박사님, 대체 누구한테 선물을 준다는 거죠…?! 왜 이런 일이?→결과 : ... ...
- [수학 상위 1% 비밀무기] KAIST, 서울대 동시 합격 비결은?수학동아 l2023년 05호
- 총인구가 4만 3,000여 명인 경상북도 성주군에서 서울대학교 수리과학부와 KAIST를 모두 합격한 학생이 있습니다. 바로 해석학을 연구하는 수학자를 꿈꾸는 이지원 학생이에요. 이 학생은 성주여자고등학교 개교 이래 52년 만에 처음으로 영재고, 과학고 학생이 즐비한 KAIST에 23학번으로 당당히 입 ... ...
- [뉴스&인터뷰] 밤새 별하늘을 달리는 축제 '메시에 마라톤'과학동아 l2023년 05호
- 전통 모자인 솜브레로처럼 선명한 가로줄이 보이기 때문이다. 2800만 광년 떨어진 은하를 사진이 아니라 내 눈으로 보다니. 솜브레로 은하는 지금까지 본 천체 중에 가장 아름다웠다. 은하와 나 사이의 깊은 공허가 내 일부분이 되는 기분. 바다를 보는 사람이 바다를 꿈꾸듯, 나의 꿈에도 별과 ... ...
이전3132333435363738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