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진"(으)로 총 7,556건 검색되었습니다.
- [필즈상 수상 1주년 기념] 프린스턴에서 허준이 교수의 일상을 탐색하다수학동아 l2023년 07호
- 1년 전인 2022년 6월 2일 는 국제수학연맹으로부터 허준이 미국 프린스턴대학교 교수의 필즈상 수상 소식을 미리 전해 듣고 6월 15일에 화상으로 수상 기념 인터뷰를 진행했는데요. 1년 만인 6월 5일 필즈상 수상 이후 1년 동안 무슨 일이 있었는지 엿보기 위해 미국 프린스턴에 있는 허준이 ... ...
- [Reth?nking] 대수와 기하는 어떤 관계인가?수학동아 l2023년 07호
- 도형의 형태와 크기, 상대적 위치 등을 연구하는 기하학. 수와 수의 연산 등 수학적 구조의 성질을 연구하는 대수학. 두 학문은 서로 매우 다른 것 같지만, 도형과 식을 긴밀하게 연결해주는 밀접한 관계다. 그래서 인문학자와 수학자가 함께 대수학과 기하학 사이의 관계를 탐구해보려고 한다. ... ...
- [지웅배의 최애은하] 암흑물질의 비밀을 관통한 총알 은하단과학동아 l2023년 07호
- 마치 총알이 날아가는 것처럼 보인다. 그래서 이곳을 총알 은하단이라고 부른다(100쪽 사진 참조. 자주색 영역이 가스물질이 분포하는 영역이다). 오래전 가스와 암흑물질을 모두 품은 두 은하단이 있었다. 두 은하단은 서로의 강한 중력에 이끌려 빠르게 충돌했다. 그 결과 열역학적 상호작용을 하는 ... ...
- [뉴스&인터뷰] IBS 기후물리 연구단 과학동아 랩투어과학동아 l2023년 07호
- 단장님과 셀카를 찍고 싶다”는 김경민 독자(부산교대부설초 6학년)의 요청으로 개별 사진촬영까지 즉석에서 이뤄졌다. 기후물리가 무엇인지, IBS 기후물리 연구단이 어떤 연구를 하고 있는지를 자세히 알아봤을 뿐만 아니라, 동경하는 과학자와 함께 하며 즐거운 추억을 쌓을 수 있었던 시간이었다 ... ...
- [이달의 책] “과학은 나침반보다 집에 가깝습니다”과학동아 l2023년 07호
- 이들이 정신적 능력을 표현하는 방식을 찾아야합니다. 사람들이 인스타그램에 업로드할 사진을 반복해 찍는 과정에서 자신의 촬영 능력을 향상시킨다는 통찰과 이런 과정을 삶의 복잡성에 결합시키는 접근이 매우 인상적이었습니다. 이렇게 당신의 일상과 다른 사람들의 삶을 연결시키기 위해 ... ...
- [과학뉴스] 큐리오시티, 화성에서 최초로 태양의 부채살빛 관측!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7호
- 3월 7일,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큐리오시티가 화성에서 최초로 선명한 햇빛을 관측한 사진을 공개했어요. 2월 2일, 큐리오시티는 화성의 날씨를 탐사하기 위해 구름의 움직임을 조사하고 있었어요. 해가 질 무렵, 구름 사이로 비치는 태양 빛을 포착했죠. ‘부채살빛’이라 부르는 이 현상은 햇빛의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7호
- 사진관에 히드라 가족이 사진을 찍으러 왔어. 하나 둘 셋, 찰칵! 그런데 가족들이 똑같이 생겼잖아?! 혹시 유전 정보가 똑같나? 무성생식 (無性生殖 I 을 무, 성품 성, 날 생, 불릴 식) ‘생식’은 생물이 자손을 남기는 과정이에요. 사람은 엄마의 난자와 아빠의 정자가 하나로 합쳐지는 ‘수정’이 ... ...
- 냠냠! 어수잼 ③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7호
- 끌어안았습니다. 찰칵! 사진기자가 카메라 버튼을 누르자 곧바로 사진이 출력되었죠. 이 사진을 본 삼각형들은 즐겁게 웃음을 터트렸습니다. “정말로 빈틈없이 꽉 찼네!” “이번엔 그냥 다 같이 찍어보자. 빈틈이 좀 있으면 어때!”“그래! 용감한 삼각형들 모두 모여 보자고! 하나, 둘, 셋~! 김치 ... ...
- [옥톡과 달냥의 우주탐험대] 다누리 호 / 폭풍의 바다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7호
- 폭풍의 바다 다누리 호는 올해 1월, 달 표면*의 사진을 찍어 지구로 보내왔어요. 사진 가운데는 폭풍의 바다도 있었어요. 폭풍의 바다는 ‘달에서 가장 거대한 바다’라고 불리는 현무암* 지대예요. 어둡고 평평해서 옛사람들은 이곳이 물로 채워진 바다일 거라 추측했지만, 실제 바다는 ... ...
- [과학뉴스] 전 세계 호수 절반이 말라가는 중과학동아 l2023년 07호
- 전 세계 호수의 수위 변화를 분석했다. 1051개 자연호수와 921개 저수지를 촬영한 위성 사진 25만 장과, 인공위성의 고도 측정 자료를 활용해 호수의 수위와 부피를 계산했다. 그 결과, 약 30년 간 전 세계 호수의 절반 이상인 53%에서 물 저장량이 감소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세계 최대 크기의 호수인 ... ...
이전2829303132333435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