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병"(으)로 총 2,358건 검색되었습니다.
- [Career] ‘전자약’으로 노화 걱정 덜어드립니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신경 신호가 전달되는 경로를 자극해 식욕을 조절한다. 최근에는 우울증과 파킨슨병 치료에도 전자약을 적용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김 교수는 “전자약은 부작용이 거의 없다는 점이 가장 큰 장점”이라고 말했다. 연구팀은 전기자극으로 근육세포에 운동을 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줘서 신체 ... ...
- 전세계에 수학덕심 퍼뜨리기 전염병주식회사수학동아 l2018년 01호
- 전염병주식회사의 배경음악 ‘Ring Around the Rosie’를 들으며 시작합시다. 흑사병으로 죽은 아이를 묻으며 불렀다는 이야기가 있는 유럽 민요입니다. 장미를 뜻하는 ... 이용해 홍보 활동을 했던 겁니다. 인류를 멸망시키는 게 목적인 게임이 현실에선 전염병을 예방한다니, 재미있지요 ... ...
- [과학뉴스] 세상에서 가장 작은 ‘DNA 모나리자’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물론 이 작품을 맨눈으로 관찰할 수는 없다. 연구진은 이 기술을 향후 신체 내에서 병을 진단하거나 치료하는 박테리아 크기의 미세 로봇을 만드는 데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doi:10.1038/nature2465 ... ...
- [가상인터뷰] 야생종으로 바나나의 멸종을 막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4호
- 개발한 신품종이 식량으로 쓰이려면 추가 연구가 필요해요. 신품종 바나나는 파나마병에 대한 저항성은 뛰어나지만, 유전자를 조작해서 만들었기 때문에 사람이 먹었을 때 어떤 부작용이 나타날지 아직 모르거든요. 연구를 이끈 제임스 데일 교수는 “앞으로 새로 개발한 바나나의 부작용을 ... ...
- Part 3. 똥냄새 줄일 수 없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0호
- 가로수로 많이 심기 시작했어요. 은행나무는 잎과 줄기, 뿌리 어디에도 해충과 병이 거의 없는 나무로 손꼽혀요. 또한 공해에도 강하고, 가을이 되어 잎이 노랗게 물들면 거리를 아름답게 장식하는 효과도 있기 때문이었지요. 그러나 한동안 대표적인 가로수로 뽑히던 은행나무도 다시 그 수가 ... ...
- Part 3. 하늘소, 앞으로 어떤 영향을 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7호
- 분해하는 곰팡이들이 더 빨리 침입할 수 있게 만들지요. 그 결과, 산림에서 참나무시들음병에 걸린 나무를 빠르게 솎아내 새로운 나무가 자랄 수 있게 한답니다. 또 하늘소 개체 수가 늘면 천적인 오색딱따구리나 솔부엉이 등의 먹이가 풍부해져요. 그 결과 멸종 위기인 동물들이 다시 생태계로 ... ...
- Part 2. 하늘소떼가 도시까지 몰려온 이유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7호
- 여기서 깨어난 유충은 나무줄기 속으로 파고 들어가 겨울을 보내지요. 즉 참나무시들음병으로 힘이 약해진 참나무가 증가한 만큼, 하늘소가 더 많이 번식할 수 있게 된 거예요. 또 올해는 예년보다 겨울에 얼어 죽는 유충이 적었어요. 하늘소는 유충 상태로 겨울을 보내는데, 그중 일부는 추위를 ... ...
- Part 1. 21세기 미라, 냉동인간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빼고, 영하 196℃ 액체질소로!냉동 인간은 의학적으로 ‘사망’한 사람만 될 수 있어요. 질병이나 사고로 죽게 되면 의사가 공식적으로 사망선고를 내려요. 바로 이 순간부터 냉동 인간이 되는 과정이 시작되지요. 냉동 인간 회사의 냉동 보존 기술자들은 ●환자가 사망하는 순간 현장으로 달려와요. ... ...
- [시사기획] 北 생화학 무기 개발,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Yersinia pestis)유럽 역사상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감염병을 하나 고르라면 단연 페스트(흑사병)다. 당시 페스트균은 벼룩을 숙주로, 벼룩은 쥐를 숙주로 삼아 생존하며 인간을 감염시켰다.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한 번도 발생한 기록이 없고, 전 세계 발생의 98.7%는 알제리, 콩고공화국, 마다가스카르 ... ...
- [Culture] 지옥구더기의 분류학적 위치에 대하여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연구 결과들이었다. 이를테면 유기화학자인 조 교수는 샘플의 단백질 구조에 주목했다. 병에 담겨 있던 축축한 조직이 열에 이상하리만치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는 것이다. 그 원리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내 전공과 다소 동떨어진 영역이었지만, 아무튼 샘플이 아주 고온에서 서식하는 생물에게서 ... ...
이전3132333435363738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