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질병
질환
단지
재앙
우환
병환
항아리
d라이브러리
"
병
"(으)로 총 2,358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7. 사십춘기도 아프다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생각하는 게 오히려 이상한 일이다. ‘중2
병
의 비밀’이라는 책을 펴낸 김현수 명지
병
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초등학교 때 시작된 부모와 아이의 세대 차이는 중학교에 올라가 아이가 자기주장을 펼치면서 문제로 나타난다”며 “부모의 강요가 계속되면 아이가 ‘자신을 사랑하지 않는다’고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겨울에 떠나는 새 탐사! 윈터 윙즈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4호
굶어 죽는 것을 막기 위해서 먹이를 넣어줄 통을 만드는 거랍니다. 먹이통은 플라스틱
병
을 재활용해서 만들 수도 있지만, 땅에 떨어져도 자연에 전혀 해가되지 않는 재료로 만들 수도 있어요. 그 재료는 바로 ‘솔방울’이지요. 솔방울과 버터, 작은 씨앗들만 있으면 간단하게 만들 수 있답니다 ... ...
[수학공작실] 보로노이 빛상자
수학동아
l
2018년 04호
템스 강의 물이 오염된 것이 원인일 수 있다고 추측했어요. 당시 대부분의 사람이 전염
병
이 ‘나쁜 공기’에 의해 전염된다고 믿고 있었기 때문에 파격적인 생각이었지요. 스노우는 런던을 돌아다니며 콜레라 환자가 언제, 어디서 사망했는지 조사해 지도에 표시했어요. 그 결과 브로드 스트리트의 ... ...
Part 2. 장비‘빨’ 제대로 받자!
수학동아
l
2018년 03호
게 끝이 아니다. 휠체어를 오래 타면 꼬리뼈처럼 툭 튀어나온 부위가 눌려 욕창이라는
병
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이 부분이 받는 압력을 분산시키도록 모형을 수정하는 ‘오프로딩 기술’이 필요하다. 교수팀은 오프로딩 기술까지 적용한 맞춤형 의자를 휠체어 국가대표팀 전원에게 제공했다 ... ...
[Origin] 피 한방울 이즈 베리 임폴턴트
과학동아
l
2018년 03호
적은 양의 바이오마커도 검출해 질
병
을 진단할 수 있다”며 “바이오마커를 이용한 질
병
진단 기술이 발달하기 위해서는 검출 기술의 발전이 꼭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
UNIST 종합다면면접평가 분석 및 대비법
과학동아
l
2018년 03호
유전적인 결함으로 가슴샘(흉선) 발달이 억제된 채 태어난 아이에서는 정상아에 비해
병
원체 감염 시 이에 대한 항체 생성이 크게 억제됩니다.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학생 : (답하지 못함)교수 : 하하, 이건 좀 어려웠던 모양이네. 그럼 마지막으로 하고 싶은 말은 없나요? Check Point 5T세포는 가슴샘 ... ...
[Culture] ‘슈퍼 파워’ 가졌지만 저체온증 시달려
과학동아
l
2018년 02호
판매하는 시장도 생겼다. 3. 마지막 잔치를 벌이는 최초의 소인국 사람들. 보드카한
병
이면 소인국의 모두가 취할 수 있다. 이를 고려하면 다운사이징 된 사람의 키(L)가 14분의 1로 줄어들 때, 근육의 힘(L²)은 196분의 1로 줄어든다. 대개 사람의 근육은 자신의 몸무게보다 두 배 정도 무거운 물체를 ... ...
[Culture] 과학동아가 선정하는 이달의 책
과학동아
l
2018년 02호
한 번에 술술 이해하는 사람이라면, 노벨상을 받을만한 천재 물리학자거나 정신
병
원에 가야한다. 대개는 후자다”라며 독자가 느낄 ‘멘붕(멘털 붕괴)’에 미리 공감한다. 당연히 이 책을 읽는다고 해서 양자역학에 통달하리란 자신감도 금물이다. 저자의 말처럼 “지나치게 이해하려고 노력하다가 ... ...
[Origin] 발생학 강의
과학동아
l
2018년 01호
재생 능력이 떨어지는 것도 같은 이유죠.doi:10.1136/gut.2009.204354 세포가 무작위로 증식하는
병
인 암(癌)도 세포 자멸의 비자율적 효과와 관련이 있습니다. 암의 높은 사망률과 세포 자멸의 상관관계는 오래 전부터 관찰이 돼왔습니다. 그러나 2000년대 초반만 해도 이유를 알지 못했습니다. 세포들이 ... ...
[Career] ‘전자약’으로 노화 걱정 덜어드립니다
과학동아
l
2018년 01호
신경 신호가 전달되는 경로를 자극해 식욕을 조절한다. 최근에는 우울증과 파킨슨
병
치료에도 전자약을 적용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김 교수는 “전자약은 부작용이 거의 없다는 점이 가장 큰 장점”이라고 말했다. 연구팀은 전기자극으로 근육세포에 운동을 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줘서 신체 ... ...
이전
30
31
32
33
34
35
36
37
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