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면역"(으)로 총 1,45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사나이 가는 길을 막는 건 누구?과학동아 l2017년 07호
- 교수는 “몸 안에 이미 생긴 항체를 제거할 수는 없다”며 “평소 정소를 보호하고 면역반응이 정상을 유지하도록 몸 관리를 잘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 형광으로 빛나는 SP-10 항체가 정자의 머리에 붙어 있다.저쪽에서는 비가 내리는 것 같아요. Y자 모양의 항정자 항체군요. 누가 항체를 뿌린 ... ...
- [과학뉴스] 아토피 피부염 완치, 실마리 찾았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아토피 피부염을 겪는 사람들에게 희소식이다. 최근 영국 과학자들이 아토피 피부염이 생기는 생물학적 메커니즘을 밝혀 지금껏 뚜렷한 치 ... 아토피 피부염 증상을 일으킨다는 결론을 얻었다. 이 연구 결과는 ‘알레르기 및 임상면역학저널’ 5월 4일자에 실렸다. doi:10.1016/j.jaci.2017.01.03 ... ...
- Part 2. 암세포가 서로 협력한다고?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일방적으로 다른 클론으로부터 이득을 보는 관계다. 한 클론에서 성장인자, 사이토카인(면역계를 자극하는 신호물질), 공유 자원을 분비하면 혈액을 통해 다른 클론이 받아 이용한다. 만약 이렇게 ‘무임승차’를 하는 클론이 경쟁에서 생산자 클론을 이긴다면 공유자원은 사라지고, 결국 전체 암 ... ...
- [Interview] “확신과 추진력이 큰 발견의 비결”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있는 돌연변이, 자가면역 등 면역 전반을 연구한다.보이틀러 교수는 “현재는 인간의 면역뿐만 아니라 체내 대사나 행동 발달 등 중요한 생물학적 과정에서 LPS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아냈고, 표현형을 만드는 유전자 분석 기술을 개발해 1000개의 돌연변이 표현형에 대한 원인도 찾았다”고 ... ...
- [Issue] 짭조름한 천덕꾸러기? 소금의 반전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새로운 기능이 있다는 연구 결과도 나오고 있다. 그 가운데 주목받는 것 하나는 소금이 면역세포를 활성화시켜서 질병에 대한 저항력을 높여 준다는 것이다. 독일 레겐스부르크대 임상미생물학및위생연구소 요나단 얀쉬 교수팀은 소금이 몸에 침입한 세균을 파괴하는 데 도움을 준다는 연구 결과를 ... ...
- Part 3. 암 치료, 두 가지 트렌드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종양의 주변 환경에 따라 면역 조절 치료 효과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연구하고 있다. 또 면역 조절 치료가 듣지 않는 환자들의 내성 기전을 연구해 이를 극복하는 약제를 개발 중이다. +더 읽을거리in 과학동아 31년 기사 디라이브러리(정기독자 무료)특집 3파트 ‘쓰레기 RNA가 암 정복한다’ (2015. ... ...
- [Future] 시금치로 심장을 만든다고?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일으키는데, 식물의 세포외기질을 이루는 셀룰로오스 등은 전부 당류”라며 “아마 면역거부반응이 없을 것”이라고 말 했다. 연구팀은 계속해서 시금치 세포외기질의 생체적 합성을 평가하는 중이다.세포를 제거한 파슬리(➊)와 라일락 잎(➋) 위에서 자라고 있는 사람의 결합조직 (섬유아세포 ... ...
- Part 2. 인간은 왜 늙는가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에너지를 생식을 위한 여정에 사용하고 산란 장소에 도달하면, 그만큼 생존에 필요한 면역기능 등에 필요한 에너지가 부족해져 개체는 생존을 포기해야 한다는 것이다. 생식과 생존이 대립하는 학설이 주창되면서 사회적으로 많은 화제를 일으켰다. 하지만 이 가설 역시 번식을 많이 하고도 오래 ... ...
- Part 5. 우주 도시 특명 또 하나의 지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중력은 아주 중요해요. 오랫동안 무중력 상태에서 생활하면 뼈와 근육이 약해지고, 면역력이 약해지거든요. 또 구토와 현기증을 동반한 우주 멀미 현상도 나타나지요. 그래서 우주 정착선에서 오래 살기 위해서는 중력을 만들어 줘야 해요.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우주 정착선을 빙글빙글 돌리는 ... ...
- [과학뉴스] 만성 B형 간염, 잘 안 낫는 이유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약리학교실 교수팀이 마우스 모델과 사람의 간세포를 이용해 HBV가 어떻게 사람의 면역 기능을 회피해 만성 질병으로 남는지를 밝혔다.연구팀은 단백질 질량분석법을 이용해 인터페론에 의해 유도되는 항바이러스 단백질 중에서 HBV 때문에 유도가 저해되는 단백질을 발굴했다. 그 결과 HBV의 HBx라는 ... ...
이전3132333435363738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