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다속
강바닥
물밑
여울
d라이브러리
"
해저
"(으)로 총 584건 검색되었습니다.
① 지구 환경과 우주 개발
과학동아
l
199912
● 2012년인공위성을 통해 해양오염을 모니터할 수 있는 시스템이 구축된다. 이외에도
해저
에 설치한 기지를 통해 해양의 수온, 흐름방향, 유속, 염분 등의 데이터가 자동으로 해양연구소로 보내진다. 지상의 폐기물을 분해처리해 투기할 수 있는 인공섬도 실용화된다.● 2013년가솔린 자동차에 ... ...
방사성 쓰레기가 갈 곳은?
과학동아
l
199912
콘라드에 있는 폐철광에 심층처분장을 건설하고 있다. 스웨덴은 포스마크라는 곳에
해저
동굴을 만들어 중·저준위 방사성 폐기물을 처분하고 있다.우리나라는 심층처분 방식을 이용해 방사성 폐기물을 처분하려고 계획 중이나 아직까지 처분장을 건설하지 못하고 있다. 1994년 정부는 굴업도에 ... ...
4. 1천만년 후의 한반도
과학동아
l
199910
이들 간의 거리는 불과 약 1천3백km 정도다. 그렇다면 1천3백만년 후부터 이 거대한 ‘
해저
잠수함’이 일본과 부딪히게 된다. 일본은 물론 한반도를 포함한 동아시아에 일대 지각 변동을 일으킬 것이 당연하다. 예를 들어 한반도 동해안에는 현재보다 훨씬 강력한 지진이 일어날 것이며, 화산 활동도 ... ...
태양계의 작은 화석 소행성
과학동아
l
199909
분명 남아있을 거라고 많은 사람이 믿었다. 마침내 멕시코의 유카탄 반도 북쪽, 카리브
해저
에서 지름 3백㎞에 이르는 거대한 동심원 모양의 운석구덩이가 발견됐다. 이 정도의 운석구덩이를 만든 물체는 지름이 10-15㎞로 계산됐다.특이한 소행성들소행성 중 지름이 3백㎞ 이상 되는 것은 10개 ... ...
1. '철세계'에서 환타지 소설까지
과학동아
l
199908
내놓았다. 번안이란 외국작품을 그나라의 상황에 맞게 각색한 것을 말한다.이 작품은 ‘
해저
2만리’ ‘80일간의 세계일주’ 등을 발표한 프랑스 작가 주울 베르느의 소설을 번안한 것으로, 원작은 1879년에 나온 ‘500만의 왕비’(Les Cinq Cents Millions de la Begum)였다. 이해조는 이 작품의 일역판인 ... ...
생각지도 않았던 성과들
과학동아
l
199908
이를 측정한 기기를 개발한 분야는 지질학이 아니라 물리학이었다. 원래 이 기기는
해저
의 암석을 측정하는 일과는 전혀 상관없이 만들어진 것이었다.사실 과학연구에서 이처럼 ‘의도하지 않은’ 결과가 배출되는 사례는 무수히 존재한다. 그렇다고 해서 이들을 평가절하하거나 폐기처분할 필요는 ... ...
세계최대 크기의 세균 발견
과학동아
l
199905
먹고사는데 이것이 산화되는 과정에 질산염이 필요하다. 질산염은 황화수소가 풍부한
해저
침전층까지 침투하지 못하지만 티오마가리타는 저장하고 있는 질소를 사용해 두 순환과정을 결합함으로써 생명을 유지한다. 이러한 세균의 특이성이 향후 몇 년간은 흥미로운 연구 주제가 될 것이다 ... ...
모세의 기적과 진도의 바닷길
과학동아
l
199904
밤새 강하게 분 동풍을 동반한 상당히 천천히 일어난 기적이었다.썰물 때 드러나는
해저
지형우리나라 남서해안에서는 바다가 갈라지는 기적이 종종 관찰된다. 그 중에서도 전남 진도군 고군면 회동리와 의신면 모도(띠섬)사이의 바다는 해마다 음력 3월 보름을 지난 대사리 때 바닷길이 드러나는 ... ...
봄의 불청객 황사
과학동아
l
199903
황해를 포함한 동중국해가 황사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는다. 수 천년이 넘는 기간 동안
해저
에 퇴적된 광물입자들을 분석한 결과로부터 북서 태평양 퇴적물이 아시아에서 바람에 의해 운반된 물질들을 함유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고 있다.4. 어째서 봄에 생기는가-얼어 붙어있던 흙 녹아 최적 ... ...
대륙이 움직인다
과학동아
l
199903
생긴다고 주장했다. 이어 1963년 영국 케임브리지대학의 바인 교수과 메튜스 교수는
해저
산맥의 고지자기를 측정해 헤스의 연구결과를 뒷받침하고, 1967년에는 대륙이 여러 개의 판으로 구성돼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로써 베게너의 대륙이동설은 50여년 만에 깊은 잠에서 깨어났다.대륙이동설은 ... ...
이전
31
32
33
34
35
36
37
38
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