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리"(으)로 총 14,892건 검색되었습니다.
- 독성물질 보툴리눔, 염기서열 분석 의무화 해야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낮다. 마찬가지로 보툴리눔 균에서는 독소를 만들어내는 기능이 아주 중요하다. 우리가 사용하는 보툴리눔 균은 모두 독소를 생성하기 때문에, 이 기능에 관여하는 유전자들은 개체마다 큰 차이가 없다. 즉, 이런 유전자를 비교해서는 A와 B의 기원이 동일한 균주인지 알 수 없다. 따라서 돌연변이가 ... ...
- 과학은 어떻게 사회를 변화시킬까과학동아 l2018년 04호
- 회째를 맞은 올해는 ‘동서 문명과 근대’라는 주제로 동서양의 근대를 비교하고 오늘날 우리 삶을 규정하고 있는 근대정신을 짚어본다. 특히 4월부터 시작되는 3, 4번째 섹션 ‘과학기술의 근대성(12~26강)’에서는 동서양의 과학기술과 산업혁명의 역사 그리고 매체의 발전부터, 천체·이론물리학, ... ...
- [Origin] 계란의 ‘슈퍼 파워’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일인당 268개나 먹었다고 합니다. 일주일에 평균 다섯 개씩 계란을 먹은 셈입니다. 그만큼 우리의 식탁에서 계란은 없어서는 안 되는 존재입니다. 계란은 맛있기만 한 게 아닙니다. 쓸모도 많습니다. 겨울철 유행하는 독감을 예방하는 백신을 만들 때는 유정란에 독감 바이러스를 주입해 배양합니다. ... ...
- [Origin]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있다. 2. 두 번째 질문_하나의 유전자로 뼈와 모공 모두 만든다? 위, 폐, 심장… 우리 몸의 각종 기관은 어떻게 생겨날까요. 배아세포가 특정한 세포로 분화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그 ‘피날레’는 항상 유전자가 장식합니다. 특정 기관, 또는 특정 세포가 되는 데 필요한 유전자가 ... ...
- [Culture] 새 책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상황에서 이 규칙은 깨진다. 이 책은 트럼프 대통령 당선 반년 뒤, 미국 예일대에서 ‘우리의 직업적 책임에는 경고의 의무도 포함되는가?’라는 주제로 열린 콘퍼런스에 시발점을 둔다. 학회는 골드워터 규칙을 깼다. 대신 30여 년간 트럼프가 쏟아낸 기록물을 분석해 전문성을 확보했다. 동영상 ... ...
- Part 3. 호킹이 남긴 21세기 이론물리과학동아 l2018년 04호
- 간극이 있음을 알게 한 20세기 후반 이론물리학의 대 사건이었다. 20세기 초 출현해 우리가 사는 우주에 대한 시각을 송두리째 바꿔 놓은 상대성이론이, 17세기 뉴턴 역학과 19세기 맥스웰의 전자기학 사이의 수학적인 충돌을 해소하는 과정에서 만들어진 것임을 아는 독자들은(오른쪽 QR코드를 ... ...
- [재학생 인터뷰] 꿈은 달라도 출발은 전기·정보공학부에서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신학기 개강을 앞둔 2월 27일.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새내기로 입학하는 1학년 3명과 어느덧 ‘헌내기’가 돼버린 17학번 2명을 공대 휴 ... 졸업생 중에는 스타트업, 변리사, 로스쿨 등 다양한 직업을 가진 분들이 많고 많은 기업에서 우리 학부에 관심을 갖고 있다는 걸 느꼈다”고 말했다 ... ...
- [필즈상 미리보기] 게오르디 윌리엄슨, 치프리안 마놀레스쿠수학동아 l2018년 04호
- 붙여서 만들 수 있다는 겁니다. 0차원 삼각형은 점, 1차원 삼각형은 선, 2차원 삼각형은 우리가 생각하는 삼각형, 3차원 삼각형은 사면체를 말합니다. 1~3차원 다양체는 모두 삼각화가 가능하고, 4차원에서는 불가능한 예가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었습니다. 하지만 5차원 이상에 대해서는 미해결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3호
- 탄수화물, 지방과 함께 3대 영양소로 꼽혀요. 근육과 내장, 뼈와 피부 등 우리 몸을 이루고 있는 물질이지요. 이뿐만 아니라 소화와 면역 등 몸에서 일어나는 각종 화학 반응을 담당하기도 해요. 이렇게 중요한 단백질을 처음 발견한 사람은 네덜란드의 과학자 ‘게라르두스 뮐더’예요. 그는 1838년 ... ...
- 오일러를 앞선 최석정수학동아 l2018년 03호
- 하나로 수학을 공부했습니다. 최석정만 특이하게 수학을 공부한 게 아니란 말이죠. 우리는 아직 최석정에 대해 많은 것을 알지 못합니다. 다만 여러 연구를 통해 그분의 생각을 읽으려는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그래도 한 가지 분명한 건 나라의 발전을 위해 무엇이든 배우고 익히려는 마음가짐을 ... ...
이전35335435535635735835936036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