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두"(으)로 총 13,24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전선 없는 세상수학동아 l2017년 01호
- 근본적으로는 차이가 없다는 사실을 증명했습니다. 자기유도 방식과 자기공명 방식 모두 자기장을 이용한다는 점에서는 물리학적으로 완전히 같다는 것이지요.충전하면서 달리는 자동차임 교수팀은 2013년에 도로 위에 무선충전도로를 설치해 전기자동차를 충전하며 달리는 실험에도 성공했습니다. ... ...
- [과학뉴스] 인류가 만든 ‘문명’, 30조t에 달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집, 공장, 공항, 도로부터 컴퓨터 시스템, 스마트폰, CD, 심지어 쓰레기 매립지까지 모두 포함한다.영국 레스터대가 이끄는 국제 연구팀은 그동안 지질학자들이 도시, 시골, 지하, 해양, 대기 등 다양한 곳에서 계산한 물리적인 환경에 대한 수치를 바탕으로 전 세계 문명의 무게를 측정했다. 그결과, 3 ... ...
- [Future] 미래 바꿀 7대 기술은 무엇?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운동능력이 있다. 로봇이 사람처럼 인지하고 생각하고 행동하려면 이 세 가지 능력을 모두 갖춰야 하고, 또 서로 조화를 이뤄야 한다. 전문가들은 딥러닝 기술을 이용해 로봇이 학습할 수 있도록 연구하고 있다. 또 인공지능 기술로 로봇이 스스로 판단하거나 기억하고 계획을 세우는 등 다양한 ... ...
- Part 2. 3진법 시대, 회로 인프라가 필요하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이뤄진다. AND 게이트를 예로 들면 입력 값이 둘 다 1일 때를 제외하고는 출력 값이 모두 0인 게이트이며, NOT 게이트는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입력 값이 0이면 1, 1이면 0을 출력한다. 자, 이제 3진법을 적용시켜보자. NOT 게이트에 0이 들어가면 무엇이 나와야 할까.다행히 3진법 소자를 개발하는 이들이 ... ...
- [가상 인터뷰] 오염된 하천에서도 잘 사는 물고기가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글쎄, 옆 동네 공장에서 몰래 폐수를 버려 강이 오염됐다는 거야.다른 물고기는 모두 깨끗한 강을 찾아 떠났는데, 딱 한 마리가 남아 있었어! 이 물고기는 어떻게 오염된 강에서 살 수 있는 거지?안녕! 자기소개를 부탁해안녕하세요? 저는 미국과 캐나다 지역에 사는 ‘대서양킬리피시’예요. 주로 ... ...
- Part 3. 세상에 이런 시계가? 별별 시계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어느 위치에 있는지 보여 준다. 현재 시각은 가장 바깥쪽의 혜성이 알려 준다.행성들은 모두 톱니바퀴의 움직임으로 제어되고 있다. 60초에 한 바퀴를 움직이는 톱니바퀴부터 29년에 한 바퀴를 도는 톱니바퀴까지 서로 연결되어 있다.그런데 천왕성과 해왕성은 왜 빠졌을까? 그 이유는 천왕성은 84년, ... ...
- [섭섭박사의 메이커 스쿨] 스스로 움직이는 인형 ‘오토마타’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맞물리면서 회전 운동의 방향이나 속도를 바꿀 수 있는 장치예요. 한 회전체의 돌기들은 모두 같은 간격으로 달려 있어야 하고, 돌기의 수가 많을수록 더 정확하게 기어가 맞물려 돌아간답니다.캠과 크랭크는 회전운동을 상하, 좌우의 왕복운동으로 바꿔 주는 장치예요. 특히 캠은 타원뿐만 아니라 ... ...
- Part 3. 여전히 수학자가 필요해수학동아 l2017년 01호
- 스마트 그리드가 도시 전체에 깔리면 전기를 이용하는 사람과 공급하는 사람 모두 전력 정보예측이 가능해집니다. 발전소에서는 실시간으로 전력 사용 현황을 파악해 전력 공급을 조절할 수 있고, 소비자는 실시간으로 전력 사용 현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전기는 1kW만 부족해도 전력공급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에르되시-버어 추측을 해결하다!수학동아 l2017년 01호
- 이어 그린대상을 ‘그래프’라고 하지요. 특히 그래프에서 서로 다른 두 꼭짓점이 모두 선으로 연결된 경우를 ‘완전그래프’라고 합니다. 여기서는 여러 사람이 있고 서로 악수한 사람 사이에 선을 그은 것이 그래프가 되지요. 램지 정리를 그래프 이론의 언어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습니다.N이 ... ...
- Part 1. 사진, 우주 관측의 새 시대를 열다수학동아 l2017년 01호
- 도시에서는 보기 힘들었던 별이 쏟아져 내릴 듯이 많다. 아마추어 사진가, 전문 사진가 모두 너나 할 거 없이 그 장관을 찍기 위해 천문대에서 밤을 지새우는 이유다. 그런데 카메라가 없다면 이 아름다운 모습을 남기는 건 불가능하다.그대로 기록하는 사진우리가 물체를 볼 수 있는 이유는 물체에 ... ...
이전35335435535635735835936036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