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금"(으)로 총 12,63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뇌파를 내 손처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9호
- 있어서 뇌파로 컴퓨터를 움직일 수 있는 거랍니다. BCI는 1973년 처음 개발이 시작돼, 지금은 중증 장애인의 의사소통을 돕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어요.사이배슬론에서는 뇌파로 게임 속 캐릭터를 움직이는 BCI 레이스를 진행해요. 참가자는 전극과 전선이 잔뜩 연결된 ‘모자’를 쓰고, 컴퓨터 앞에 ... ...
- [국립수목원과 함께하는 숲이야기 열] 다시 보자! 잡초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9호
- 명아주, 박주가리, 산딸기, 새모래덩굴, 여뀌, 이질풀, 지칭개, 차풀 등도 약으로 썼지요. 지금도 이들은 나물 등의 음식 재료로 쓰이고 있답니다.정원을 가꾸다 보면 잡초들이 들어와서 자라요. 이들은 굳이 심지 않아도 잘 다듬어만 주면 일부러 심은 식물보다 더 잘 자란답니다. 심지 않았다고 ... ...
- [과학뉴스] 우표만 한 초소형 정수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8호
- 있는 세균을 죽여 깨끗한 물을 만드는 방법엔 뭐가 있을까요? 지금까진 물을 끓이거나 태양에서 나오는 자외선을 이용해 살균하는 방법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답니다. 하지만 물을 끓이기 위해선 연료가 필요하고, 태양 자외선은 세기가 약해 세균을 모두 죽이는 데 48시간이나 걸린다는 단점이 ... ...
- [특별 인터뷰] 배윤혁 어벤저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8호
- 앞으로 메뚜기목이나 사슴벌레를 좀더 집중적으로 연구할 계획이에요. 꿈이 있다면 지금처럼 지사탐 대원들과 함께 탐사 하고 교육하는 일을 하고 싶습니다.”어렸을 때부터 좋아하던 곤충 연구의 꿈을 꾸준히 이어온 배윤혁 연구원, 앞으로 우리나라 대표 곤충 연구자로 성장하길 응원합니다 ... ...
- [과학뉴스] 온몸이 말랑말랑~ 문어 로봇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8호
- 이 때문에 기존 금속 로봇보다 더 많은 곳에서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요. 하지만 지금까지 개발된 소프트 로봇들 역시 배터리나 뼈대는 금속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몸을 변형시키는 데 한계가 있었어요.이에 비해 옥토봇은 온몸이 실리콘 고무로 이루어져 있고, ‘과산화수소’를 연료로 ... ...
- [과학뉴스] 금화조는 알에게 노래로 말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8호
- 어머니가 먹고 느끼는 것들에 영향을 받아요. 하지만 새는 알을 낳기 때문에 과학자들은 지금까지 부모가 알에 영향을 줄 수 없다고 생각했답니다.폰즈 박사팀은 알을 품은 금화조가 부화 5일 전부터 노래를 부르는 현상에 주목했어요. 이 노래가 알에 영향을 줄 거라고 생각한 연구팀은 노래를 듣고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피에로의 정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8호
- TV에 나오는 진행자 같았어요. 시원이가 어리둥절한 표정으로 말했어요.“그런데 지금 우리가 무슨 미션을 하고 있는 거야?”“글쎄…. 모르겠는데?”“나도…. 우리가 왜 저 아저씨 말을 들어야 하지?”시원이와 친구들이 의문을 갖기 시작하자 아저씨는 더 큰 소리로 재촉했어요.“자~, 그런 ... ...
- [과학뉴스] 지구를 닮은 가장 가까운 행성?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8호
- 프록시마 센타우리에서 지구를 닮은 행성인 ‘프록시마 b’를 관측했다고 밝혔답니다.지금까지 발견된 지구형 행성들은 모두 지구에서 수백 광년 거리에 있었어요. 초속 30만km의 빛이 가는 데도 수백 년이 걸린다는 뜻이지요.하지만 프록시마 b는 지구에서 불과 4광년 거리에 있답니다. 초소형 우주 ... ...
- [해외취재] 비만 잡는 ‘움직이는 학교’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8호
- 이용할 수 있지요. 운동장도 달라졌어요. 예전에는 운동장에 모래만 깔려 있었지만 지금은 재미있는 놀이기구가 가득하답니다. 학교 운동장을 바꿀 때는 학생이 원하는 것을 고려해 디자인했지요.이외에도 학교 근처를 걷는 ‘움직이는 날’이나, 매일 250m를 뛰어서 42.195km를 완주하는 프로그램도 ... ...
- [쇼킹 사이언스] 지구의 푸른 보석, 블루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7호
- 커다란 동굴이나 절벽이 생겼고, 그뒤 빙하가 녹으면서 바닷물의 높이가 높아져 지금의 블루홀이 됐답니다.수심이 깊은 곳은 색깔이 더 진해서 푸른 보석처럼 보이기도 해요. 이런 모습을 보고 사람들은 옛날부터 블루홀을 ‘자연의 보석’ 이라고도 불렀답니다. 아주 오래 전에 깎인 땅이 물 속에 ... ...
이전3523533543553563573583593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