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금"(으)로 총 12,63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몸이 열쇠가 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있지요.반면 홍채의 모양으로 만들 수 있는 암호의 수는 2266개로 알려져 있어요. 이 수는 지금까지 지구상에 태어난 사람의 수보다 많다고 하니, 나와 같은 홍채 모양을 가진 사람은 거의 만날 수 없는 거예요. 만약 경우의 수가 가장 많은 고유 정보 DNA를 이용한 기술이 개발된다면 보안이 가장 ... ...
- [도전! 코드마스터] 내 컴퓨터로 복잡한 뇌 구조를 밝힐 수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지도를 만들어 나갈 수 있답니다. 145개국에서 참가한 20만 명 이상의 ‘연구자’들은 지금까지 총 250개의 뉴런을 완전하게 만드는 데 성공했어요. 뇌 과학자들은 이렇게 모여진 지도를 바탕으로 포유류의 복잡한 뇌 구조를 더 자세하게 탐구할 수 있게 되었지요.이처럼 컴퓨터가 발전하고 네트워크가 ... ...
- [출동! 섭섭박사] 지진의 원인을 밝혀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대륙 이동설’을 발표했지요.이후 과학자들의 인식은 조금씩 바뀌었어요. 지금은 대륙 이동설이 발전해 지구의 땅이 ‘판’이라고 불리는 10여 개의 조각으로 이뤄져 있다는 ‘판 구조론’이 정설로 받아들여지고 있지요. 주요 판으로는 아프리카판, 남극판, 오스트레일리아판, 유라시아판, ...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 과학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9월, 경주에 지진 관측 사상 최대 규모의 지진이 발생했어요. 이후, 수백 회의 여진이 지금까지도 발생하고있어 많은 사람들이 걱정하고 있답니다. 다행히 지진에 의한 큰 피해는 없었지만, 자연에 대한 공포를 일깨우는 계기가 됐죠.지진을 포함해 폭풍, 홍수, 해일, 산사태 등 사람의 힘으로 통제할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비밀과학집단의 반격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고대 이집트에서는 구리거울을, 기원전 2000년 경 중국에서는 청동거울을 사용했답니다.지금 우리가 쓰는 유리거울이 처음 등장한 건 12세기예요. 하지만 이런 유리거울이 널리 퍼진 건 16세기 경이에요. 이탈리아 베네치아인들이 납작한 유리판에 주석과 수은의 합금을 얇게 입혀 반사의 수준을 크게 ... ...
- [창간 12주년 인터뷰] 리틀 뉴턴 이끄는 열혈 과학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0호
- 수밖에 없지요.주말마다 동아리원 4~5명을 선발해 돌아가면서 민물고기 탐사를 가요. 지금까지 약 100종 3000마리의 민물고기를 만난 것 같아요. 한번은 애들이 가시고기를 보고 싶어해서 강원도 정선에 있는 연곡천에 갔어요. 가시고기를 보는데 갑자기 첨벙거리는 소리가 들려왔어요. 커다란 황어가 ... ...
- Part 2. 복잡하고 큰 집이 좋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0호
- 그동안 먹이활동을 하려면 집 안에 많은 바닷물을 담고 있어야겠죠? 제가 지은 집은 지금까지 알려진 생물의 서식굴 중에 가장 크답니다.갯벌 건축왕 후보 ➋ 흰이빨참갯지렁이 어서 오세요! 저는 입에 한 쌍의 흰색 이빨이 있어서 ‘흰이빨 참갯지렁이’라는 이름을 갖게 됐어요. 우리나라에서도 ... ...
- [도전! 코드마스터] 코딩을 알면 노벨상 탄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0호
- 1998년 노벨화학상을 수상했답니다. 이 프로그램은 크기가 작은 분자만 다룰 수 있지만, 지금도 쓰이고 있지요.2013년 노벨화학상 수상자들은 가우시안보다 한 발 더 나아가, 수만~수십 만 개의 원자가 연결된 아주 커다란 분자의 움직임까지 확인할 수 있는 프로그램 ‘참’을 만들었어요. 참은 현재 ... ...
- INTRO. 똑똑하고 안전하게 따르릉~! 자전거의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0호
- 똑똑하기까지 한 자전거가 있다며? 그러니 분명 나에게 딱 맞는 자전거도 있을 거야. 나 지금 착륙한다아아~![* E.T. : 1984년에 개봉한 스티븐 스필버그 감독의 영화로 외계인과 지구 어린이의 우정을 그렸다. E.T.는 지구 밖 외계 생명체를 뜻하는 The Extra- Terrestrial의 줄임말이다.]▼관련기사를 계속 ... ...
- Part 2. 얼마나 가볍고 튼튼해질 수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0호
- 생기는 진동도 잘 흡수하기 때문이에요. 또 가격이 싸고, 가공하기도 쉽답니다. 그래서 지금도 강철은 자전거의 몸체에 가장 많이 쓰이는 소재예요. 하지만 무겁고, 녹이 슨다는 단점이 있지요. 최근에는 강철에 탄소, 크롬, 몰리브덴 등을 섞어 강하면서도 가볍게 만든 소재도 많이 사용해요.가장 ... ...
이전35035135235335435535635735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