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확"(으)로 총 5,430건 검색되었습니다.
- 정보통신에 뿌리내리는 한글과학동아 l2003년 10호
- 정말 좋은 글자다.세계 문자 중 누가, 언제, 어디서, 무엇을, 왜, 어떻게 만들었는지 정확하게 알 수 있는 글자는 오직 한글뿐이다. 세종대왕은 1443년 경복궁 집현전에서 한글(훈민정음)을 오직 어리석은 백성을 위해 음양오행(陰陽五行)의 원리로 음성기관을 본떠서 친히 창제했다. 이렇게 만들어진 ... ...
- 자동 주차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과학동아 l2003년 10호
- 를 브라운관상의 영상으로 변환시키는 방법 열분포(熱分布)를 사진으로 포착하는 장치 정확하게는 서모그래피 장치라고 한다 열분포의 계측방법은 여러 가지가서미스터의 전기저항성 온도변화를 이용하여 온도를 지시하는 구조로 된 온도계 전자온도계라고도 한다 망간 · 니켈 · 코발트 등 ... ...
- 동물실험으로 독살 판정한 선조들의 지혜과학동아 l2003년 10호
- 때 반드시 살펴야 할 대상이다.요컨대 조선시대 법의학의 근본 철학은 지금도 유효한 ‘정확성’과 ‘엄격함’이다. 다만 과학의 발전이 요즘만 못했고 부검을 할 수 없는 상황이었던 점이 큰 제약이었다.비록 현대의 검시에서 그대로 적용할 수 없을지라도 ‘신주무원록’이나 ‘증수무원록’에서 ... ...
- 수화를 말로 바꿔주는 장갑과학동아 l2003년 09호
- 되는 자오선 영국 그리니치 천문대를 지나므로 그리니치 자오선이라고도 하며 보다 정확하게 말하면 그리니치 천문대에 있는 에어리 자오환(子午環)의 중심을 지나는 자오선이다11850~1919 독일의 물리학자 제만효과와 고체전자론(固體電子論) 연구로도 알려졌지만, 결정물리학(結晶物理學)의 ... ...
- 지문보다 정확한 제2의 신분증 홍채과학동아 l2003년 09호
- 사용하고 있는 곳도 있다. 홍채인식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지문인식 시스템과 비교해 더 정확하다. 즉 지문이 같을 확률보다 홍채가 같을 확률이 더 낮다는 말이다. 관련 기술개발이 어려워 보급이 늦어지긴 했지만, 단 1%의 오차도 허용되지 않는 금융기관이나 정보기관에서는 최근 홍채인식 ... ...
- 산모 음식이 자식 유전자의 기능 바꾼다과학동아 l2003년 09호
- 켜게 하는지, 즉 어떤 유전자를 메틸화시키라는 명령이 어떻게 내려지는지 그리고 그 정확한 메커니즘은 모르고 있다.다만 과학자들은 메틸화에 의한 유전현상 조절은 진화의 오랜 역사를 통해 생겨난 것이 아닌가 추측하고 있다. 인간은 지구에 등장한 이후로 외부 유전자의 ‘공격’을 끊임없이 ... ...
- 2 지상에서 번개 일으켜 피뢰기 모의실험과학동아 l2003년 09호
- 않을 정도지만, 측정불확도는 여러개 측정기로 여러개 물리량을 측정했을 때 측정이 정확하지 않을 정도다. 전체 시스템의 오차까지 고려하게 된 것이다.초고전압 대전류를 만드는 비법결국 1999년부터 2000년 초에 고전압과 대전력 시험설비를 대대적으로 증축, 신축, 교체하기 위한 기획연구가 ... ...
- 1 태풍잡는 사나이로 변신한 물리학자과학동아 l2003년 09호
- 이런 기술은 먼저 엄청난 계산 능력을 지닌 슈퍼컴퓨터의 정교한 시뮬레이션으로 상당히 정확하게 예측돼야 한다. 이를 통해 태풍이나 토네이도를 막을 수 있다고 증명이 되면, 그 다음으로 이같은 심각한 기상 현상을 이로운 방식으로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상할 수 있다. 21세기에 태풍 제어가 ... ...
- 거대 바위들의 장엄한 행렬 비슬산 돌강과학동아 l2003년 09호
- 용어는 돌이 강물처럼 흘러가는 모습이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돌강의 정확한 명칭은 ‘암괴류’(block stream). 하지만 필자도 일본식 한자어인 암괴류보다는 우리 정서에 더 맞는 것 같아 돌강 또는 바위강이라는 이름을 사용하고 있다. 이 장관을 연출하고 있는 주인공은 화강암이다. 그렇다면 ... ...
- 2 한국 2020년이면 비구름을 부린다과학동아 l2003년 09호
- 추정될 뿐이다. 강수현상이 어떠한 물리적인 원인과 경로로 진행되는지에 대해 아직까지 정확하게 규명된 이론이 없다.효능 평가 방법의 무획일성, 문제점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 부족과 같은 이유로 현재는 기상조절기술에 대한 평가를 내리기 어렵다. 앞으로 미세구름물리와 수치모델, 여러 관측 ... ...
이전3523533543553563573583593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