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상"(으)로 총 13,389건 검색되었습니다.
- [Tech & Fun] 두근두근♡실습일지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다시 점수를 깎았다. 첫 실습에서 깎일 수 있는 점수에는 한계가 있었기 때문에 그 이상은 깎지 않았다. 첫 실습 상대 중 최하점이었지만, 그렇다고 0점은 아니었다. 여하간 대답을 꼬박꼬박 하고 무언가 말은 하고 있다는 점에서 ‘성실성’점수를 깎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로봇은 프로그래밍된 대로 ... ...
- Part 1. 인공지능, 바둑에 도전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수를 수학적으로 계산해요. 만약 인공지능이 흑을 잡는다면 세 번째 수에서 이미 12만 개 이상의 경우의 수를 계산해야 하는 거예요. 아무리 연산이 뛰어난 컴퓨터라고 해도 바둑에서 주어지는 시간 안에 이기는 바둑을 두기는 불가능해요.게다가 바둑은 복잡한 전략이 필요하고, 예측하기 어려운 ... ...
- Part 4. 인공지능 키워드 3. 센서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하기 때문에 ‘눈’이 필수예요. 2010년 등장한 구글 무인자동차는 현재까지 100만km 이상 달린 기록을 갖고 있어요. 구글 무인자동차에서 가장 중요한 부품은 지붕 위에 달린 센서 ‘라이더’예요. 라이더 안에는 약 30m 전방까지 볼 수 있는 3D 카메라, 거리를 측정하는 레이저 장비, 위치를 파악하는 ... ...
- PART 1. 캐릭터 만드는 4가지 비법수학동아 l2016년 07호
- 확률 분포의 도움 없이 행렬을 구한다면 웃을 때 입꼬리가 코에 붙어버리는 것처럼 아주 이상한 표정이 나올지도 모릅니다. 행렬은 계산만 할 뿐 ‘자연스러움’은 전혀 모르거든요. 방정식이 만드는 동작컴퓨터 그래픽으로 만든 캐릭터 배우는 가상의 3차원 공간에서 자유롭게 연기합니다. 대본에 ... ...
- [과학뉴스] 아이 적게 낳은 여성이 오래 산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1800년대 초 평균 8.5명이었던 출생률은 1900년대 초 4.2명으로 감소했다. 또한, 자녀를 15명 이상을 출산한 여성은 1명을 출산한 여성보다 평균수명이 6년 더 짧았다. 남성의 평균수명은 자녀의 수와 상관관계가 없었다.볼룬드 박사는 보도자료에서 “사망 패턴의 변화를 조사할 때 출생률과 성별차이를 ... ...
- Part 2. 무수한 기체 먹고 은하 ‘비만’ 막았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천문학자들은 무거운 은하가 이론보다 적은 이유를 AGN 피드백으로 추정한다. 일정 크기 이상 커진 은하에서 AGN이 켜지면 AGN 피드백에 의해 은하 성장에 ‘브레이크’가 걸리고, 따라서 이론적 예측과 달리 극도로 무거운 은하는 잘 생기지 않는다는 것이다. 실제로 AGN 피드백을 포함해 시뮬레이션을 ... ...
- [News & Issue] 목성 미스터리의 구원자 주노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목성만을 위한 첫 탐사선, 주노(Juno)가 오는 7월 4일 목성의 궤도에 안착한다. 2011년 8월에 발사되고 5년이 흘렀다. 힉스 입자가 발견되기도 하고, 인공지능이 바둑에서 인간을 제패하 ... 오로라를 관측하는 등의 추가 과제도 수행할 예정이다. 목성의 자기장은 지구보다 10배 이상 강하다 ... ...
- Part 1. 그들의 동거는 언제 시작됐을까과학동아 l2016년 07호
- . 이 모든 것을 고려했을 때, 대장균의 유전자 숫자를 다섯 배 늘리면 원래보다 20만 배 이상 에너지가 더 필요하다. 진핵세포가 미토콘드리아를 흡수해 에너지 생산을 전담시키지 않았다면, 유전자 숫자를 늘리는 것은 불가능했을 것이다.WHO, HOW? : 리케차목 + 로키아르카이오타 = 진핵생물또 하나의 ... ...
- [Knowledge] 화성 탐사? 여성 우주비행사 연구부터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최소 2~3년이 걸리는데, 이렇게 장기간 우주공간에 머물렀을 때 우주비행사의 건강에 이상이 없을까. 우주비행사 개인의 건강은 임무수행 전체에 영향을 미칠 만큼 중요한 문제다.우주비행사는 지구를 벗어날 때 높은 중력에 노출되고, 지구를 벗어난 뒤에는 매우 낮은 중력(미세중력)에 놓인다. 빛의 ... ...
- [Career] “궁금증이 내 연구의 원동력”과학동아 l2016년 07호
- 기록을 전달하던 잉카제국의 문자 ‘키푸’처럼, 단백질 매듭을 이용해 세포내 단백질에 이상이 있다는 신호를 보낸다. 이때 문제가 생긴 단백질을 표시하는 매듭이 ‘유비퀴틴’이다. 세포의 청소부인 프로테아좀은 유비퀴틴이 표시된 단백질을 찾아 분해한다. 흐르는 강물을 힘차게 거슬러 오른 ... ...
이전3523533543553563573583593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