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극치
비정상
전형
꿈
포부
미래상
희망
d라이브러리
"
이상
"(으)로 총 13,389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줄기세포의 운명, 힘주면 달라진다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레 연구원은 “에머린이라는 근육 단백질과 관련이 있다”며 “근위축증 등 에머린
이상
으로 발병하는 질병에 대해 추가로 연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
[과학뉴스] ‘덕밍아웃’으로 본 포켓몬 고 열풍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오래전부터 포켓몬을 주제로 한 닌텐도 게임이 인기였다. 매 시리즈마다 20만 장
이상
을 팔아치울 정도로 흥행했지만 지금까지 모습을 드러낼 기회가 없었다. 그런데 숨어있던 덕후들의 마음에 포켓몬 고가 불을 질렀다. 그들이 과감하게 세상으로 나올 수 있었던 이유는 덕후에 대한 인식 변화 ... ...
[News & Issue] 양자역학으로 무한의 호텔을 지을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중요한 수학적 개념을 포함하고 있는데요. 모든 호실에 손님이 묵고 있다는 말은 더
이상
새로운 손님이 투숙할 수 없다는 것과 같은 말입니다. 현실의 호텔에서는요. 하지만 방 숫자가 무한히 커지면, 힐베르트 호텔에서 본 것처럼 또 새로운 손님을 받을 수 있습니다. 힐베르트가 지적하고자 했던 ... ...
[News & Issue] 젊은 해커들이 기판으로 명찰을 만든 이유는?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소문대로 성능만큼은 압도적이었다. 우리가 사용한 MCU보다 명령어 처리 속도가 10배
이상
빠르고, 모든 소프트웨어 코드가 공개돼 사용자들이 직접 제작한 맞춤 소프트웨어도 다양했다. 게다가 가격은 1~2달러 정도로 매우 저렴했다.완벽한 이 칩의 한 가지 문제점은 안정성이었다. 불과 몇 년 전에 ... ...
[Knowledge] 칠면조는 왜 짝을 바라만 보고 있을까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수컷이 서로 힘을 모아서 교미한 암컷을 다른 경쟁 수컷들로부터 지켜낸다. 그런데 아주
이상
한 사실이 있다. 두 수컷 중 하나는 우위자라서 암컷과의 짝짓기를 독점한다. 나머지 수컷은 열위자다. 죽어라 일만 할 뿐, 암컷과는 한 번도 교미하지 않는다. 열위 수컷은 도대체 왜 바보처럼 우위자를 ... ...
Part 1. 금메달 컨디셔닝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평소에 자각하기 힘든 심리 생리적 상태를 기계의 도움으로 관찰하고, 스스로 가장
이상
적인 상태로 유지하는 과정입니다.캐 사람의 마음을 숫자와 그래프로 확인할 수 있군요. 바이오피드백에도 종류가 많은데 우리 선수들은 어떤 걸 주로 사용하나요?해 양궁팀에서는 바이오피드백 중 하나인 ... ...
[따끈따끈한 수학] 이름 따라 행복한 결말 맺을까? 해피 엔딩 문제
수학동아
l
2016년 07호
주는 함수 N(n)이 있다. 평면 위의 어느 세 점도 일직선 위에 있지 않은 점이 N(n)개
이상
있다면 그 중 n개의 점을 잘 고르면 볼록n각형의 꼭짓점을 이룬다.애초에 클레인이 제기한 문제는 N(4)≥5라 것을 증명하는 것이었습니다. 왼쪽 그림처럼 점 4개가 있다면 볼록사각형이 그려지지 않기 때문에 N(4)≠ ... ...
Part 2. 좀비의 공격에서 살아남으려면?
수학동아
l
2016년 07호
좀비가 마치 술 취한 사람처럼 비틀비틀 걷는다는 데 주목했다. 좀비는 넘어지지 않는게
이상
할 정도로 흐느적거린다. 유일한 목적은 사람을 감염시키는 것으로, 사람이 보이면 무작정 그 방향으로 걷는다. 하지만 지능이 낮아 눈앞에서 사라지면 갈 길을 잃고 아무 방향으로나 간다. 따라서 매우 ... ...
[과학뉴스] 뜨는 소재 흑린, 그래핀도 뛰어 넘을까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접촉시킬 때 전기가 흐르는 현상이다. 흑린은 다른 2차원 소재보다 전하의 이동이 10배
이상
빠르면서 열 전도도가 낮은 성질을 구현할 수 있어 차세대 열전소재로 각광받고 있다.배명호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양자측정센터 책임연구원은 3차원 구조의 흑린 속 전하들이 열전현상이 일어날 땐 ... ...
[과학뉴스] e라이프(eLife)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e라이프는 2012년에 처음 출간된 생명과학분야 신생 저널이다. 역사가 4년이 채 안 되지만 피인용지수는 8점대(2015년 기준)로 높아 생명과학자들 사이에서는 알 ... 홈페이지 공식 소개문에서 “끝이 보이지 않는 리뷰와 새로운 실험에 대한 요구에 더
이상
시달리지 않아도 된다”고 말했다 ... ...
이전
349
350
351
352
353
354
355
356
3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