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든"(으)로 총 10,964건 검색되었습니다.
- [Photo] 남쪽바다에 뜬 은하수 파노라마과학동아 l2015년 05호
- 보이지 않는다) 그리고 은하수 아래로 커튼처럼 드리워져 있는 녹색의 대기광까지 모든 것이 신비롭다. 이 작품은 한국천문연구원과 동아사이언스가 공동 주최한 제23회 천체사진공모전에서 최우수상을 차지했다. 우주의 깊고 광대한 아름다움을 보여준 올해 수상작들은 한국천문연구원(kasi.re.kr), ... ...
- [Hot Issue] 뇌진탕 위험으로부터 미식축구 선수를 구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5년 05호
- 관람 뒤 냉장고에서 맥주를 꺼내다가 냉장고에 붙은 자석을 보고 아이디어를 얻었다. 모든 헬멧에 자석을 붙여 자석끼리 서로 밀어내는 힘으로 충격을 줄이자는 것이다. 머리에 가해지는 충격 중 머리와 머리끼리 부딪히는 비율이 60%가 넘으므로, 생각대로만 된다면 꽤 효과적인 방법이다.그는 강한 ... ...
- [Hot Issue] ‘멍~ 때리는 동물?’ 파충류는 억울해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자체적인 에너지 사용량이 낮다는 장점도 있다(즉 대사량이 낮다). 이들이 사용하는 거의 모든 에너지는 햇빛, 또는 태양에 의해 따스하게 덥혀진 암석으로부터 온다. 덕분에 내온성 동물보다 에너지를 최대 30배나 절약할 수 있다.에너지 절약이 잘 감이 오지 않는다면 식사량을 비교해 보면 쉽다. ... ...
- [Knowledge] 뜨거운 건 무거워야 안다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알게 됐다. 다양한 기체를 이용해 실험을 한 뒤, 그래프를 더 낮은 온도까지 늘려보니, 모든 기체의 부피가 특정한 온도에서 하나같이 0이 된다는 점도 알게 됐다. 그 온도는 영하 273.15℃였다.이 성질을 이용해 만든 온도가 바로 오늘날 국제적 표준 온도로 쓰이는 절대온도 켈빈(K)이다. ... ...
- 자연이 빚은 아름다운 광물이 가득! 민자연사연구소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5호
- 걸리지요. 천천히 만들어지는 동안 주변 환경도 바뀔 수 있어요. 그래서 이 소장은 “모든 광물은 이야기를 담고 있다”고 말해요. 광물이 만들어지는 오랜 시간 동안에 이야기를 추측해 낼 수 있거든요.그렇다면 광물은 어디서 만들어지는 걸까요? 광물은 아주 다양한 곳에서 만들어져요. 지하에서 ... ...
- 새로운 수학교육에 대비하는 우리의 자세수학동아 l2015년 05호
- 따라 학교마다 수업을 열기 때문에 원해도 못 듣는 경우가 생길 수 있습니다. 교육부는 모든 학생이 원하는 과목 수업을 들을 수 있도록 교사를 확보하고, 많은 학생들이 선택할 수 있도록 교과 내용을 체계적으로 설명할 것이라고 발표했습니다.➊ 다양한 수학 행사에 자주 참여하세요!수학 행사는 ... ...
- [생활] 도전과 재미가 무한대로 발산한다 용인외대부고 큐이디(Q.E.D.)수학동아 l2015년 05호
- 소재를 가상인터뷰, 소설 패러디 같은 재미있는 방식으로 설명해 놓았다. 잡지를 만드는 모든 과정을 어른의 도움 없이 해 나가는 데 어려움은 없을까?“친구들의 기사를 모두 모아 정리하고 디자인하는 일을 올해 처음 해봐서 어려웠지만 수학자를 꿈꾸는 만큼 동아리 활동을 하며 얻는 것이 ... ...
- [Life & Tech] 100년을 속인 가짜 혀 지도과학동아 l2015년 05호
- 모두 혀끝에서 느끼네요. 그러고 보니 각 맛을 느끼는 부위는 모두 비슷합니다. 혀끝에서 모든 맛을 ‘세게’ 느끼고, 양 옆과 뿌리 부근에서 ‘살짝’ 맛을 느끼네요. 가운데는 가장 둔감하고요. 서울 남산 자락에 있는 숭의여대 식품영양학과의 유경미 교수를 만났더니 이렇게 말합니다. “옛날 ... ...
- 닥터 그랜마도 깜짝 놀란 사물인터넷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5호
- 동의하게 될 거예요.소중한 내 정보, 더 안전한 길로 돌아간다!사물인터넷의 특징은 모든 사물이 하나로 연결돼 있다는 거예요. 따라서 사람들이 사물을 사용하기에는 매우 편리하지만, 그만큼 해킹의 위험도 커지죠. 센서가 수집한 정보는 ‘게이트웨이’라는 곳에서 모이고, 다시 병원이나 학교 등 ... ...
- 2115년 인류 화성 정착기수학동아 l2015년 05호
- 살아갈지도 모른다.푸른 나무의 도시멀리서 본 화성의 도시는 마치 거대한 나무 같다. 모든 건물은 벽면이 이끼로 덮여 있기 때문이다. 돔 안의 공기를 깨끗하게 유지하기 위한 노력의 결과다. 작은 중력을 활용해, 빌딩 위아래로 움직이는 셔틀버스도 설치했다.모든 길은 지하로 통한다압축도시에서 ... ...
이전3523533543553563573583593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