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든"(으)로 총 10,964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식] 여섯 번째 요리 문제는 선택이야! 이항정리와 커리수학동아 l2015년 06호
- 국물에 가깝습니다. 끈적한 커리, 카레의 고향은 일본입니다. 19세기말 일본은 영국의 모든 걸 닮고 싶어 했습니다. 영국 사람이 즐겨 먹는 커리도 마찬가지였죠. 그런데 묽은 커리는 일본사람이 주로 먹는 밥과 어울리지 않았습니다. 한 요리사가 묽은 커리에 밀가루를 섞어 끈적하게 만들자는 ... ...
- 상수의 탄생 ⑤ 난세가 만든 영웅, 플랑크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린지도 모르는 이론으로 논쟁적인 문제를 설명한다 는 건 쉬운 선택이 아니었다. 하지만 모든 영웅이 그렇 듯, 플랑크는 용감했다. 플랑크는 빛의 에너지를 진동 수의 정수배로 나타냈다. 이 때 진동수를 에너지로 바 꿔줄 플랑크 상수(h)를 도입했다. 진동수는 파장에 반비례하므로, 에너지가 파장에 ... ...
- 포식자에 따라 행동 바꾸는 개구리과학동아 l2015년 06호
- 피하는 것만이 능사가 아니다’란 말은 인간을 비롯한 모든 동물에게 적용된다. 호주 맥쿼리대 매튜 버벌트 교수팀은 개구리가 포식자의 종류에 따라 때론 피하고 때론 맞서는, 서로 다른 전략을 취한다는 연구결과를 ‘미국과학공공도서관저널(PLoS ONE)’ 4월 15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 ...
- 무서운 신예, ‘태양왕’에 도전하다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짧다. 페로브스카이트는 천연 물질인 메타티탄칼슘(CaTiO3)처럼 ABX3 결정 구조를 갖는 모든 화합물을 말한다. 정육면체를 기준으로 했을 때 각 꼭짓점에 가장 크기가 큰 양이온 A가 있고, A보다 작은 양이온 B가 정육면체 중앙에 존재하는 구조다. B가 A보다 작을수록 구조가 안정된다. X는 보통 할로겐 ... ...
- 가재처럼 걷는 해저로봇 크랩스터과학동아 l2015년 06호
- 그리고 첨단기술이 만나는 현장이다음파 이용해 탁한 바닷속 꿰뚫어 본다 이제 모든 건 원격제어실 요원들의 손에 달려 있었다. 광학카메라가 촬영해 보내오는 영상을 유심히 보던 유승열 연구원이 "이제 2.5m 내려갔을 뿐인데 벌써 바닥이 보인다"며 "시야가 어제보다 더 좋은 것 같다"고 들뜬 ... ...
- “미래의 모든 산업을 이끌어갈 기초과학”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나를 위한 활동”고등학교 2~3학년이 되면 입시가 가까워졌다는 생각이 들기 때문에 나의 모든 활동을 입시에 맞추곤 해요. 하지만 꾸준한 공부를 하기 위해선 자신이 즐길 수 있는 동아리 활동도 필요해요. 저는 고등학교 2년 동안 축구동아리에서 활동했고, 친구들과 함께 다양한 실험을 할 수 있는 ... ...
- 도요새는 왜 봄에 우리나라로 올까?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6호
- 곳에서 살지 않고 왜 힘들게 먼 거리를 이동하는 걸까요?봄에 잠시 머물다 떠나는 도요새모든 새들은 계절이 바뀌면 이주를 해요. 일 년 내내 한 서식지에 살며 번식하는 텃새는 서식지 안에서 이주하는 ‘단거리 이주’를 하지요. 반면 철새는 계절에 따라 서식지를 옮기는 ‘장거리 이주’를 해요. ... ...
- [지식] 할머니와 엄마의 수학시간수학동아 l2015년 06호
- 아빠의 얼굴이 어둡다. 회사가 안 좋은가 보다. 뉴스를 보니, 머리부터 발끝까지 모든 걸 바꿔야 경제가 살아난단다. 내가 보기엔 수학도 비슷하다. 컴퓨터나 계산기 같은 도구가 나왔는데도, 아직 20~30년 전 스타일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참 답답하다.교실은 이미 졸업파티 분위기다. 선생님도 ... ...
- [참여] 반짝반짝 빛나는 신비한 광물의 세계로!수학동아 l2015년 06호
- 풍란을 샀어요. 이렇게 모양이 예쁜 화산탄은 구하기 어렵거든요.”그의 손길이 닿은 모든 광물에는 이 같은 사연이 담겨 있었다. 이재교 독자기자는 박물관 탐방을 마치며 권 관장에게 언제부터 광물을 사랑하게 됐는지 물었다.“전 대학 시절부터 돌 줍는 게 취미였어요. 시간이 날 때마다 전국에 ... ...
- [Knowledge] 전쟁의 포성 속에서 우주의 비밀에 접근하다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일차함수)이라고 한다. 선형 미분방정식은 어떻게든 몇 개의 풀이를 찾아내면 일반적인 모든 풀이를 찾아낼 수 있다. 반면 비선형 미분방정식은 풀이 몇 개를 찾아내더라도 일반적인 다른 풀이를 찾아내기 어렵다. 카오스 이론이라고도 불리는 비선형 동역학에서처럼 풀이의 전체적인 변화 양상도 ... ...
이전34935035135235335435535635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