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건"(으)로 총 6,550건 검색되었습니다.
- 평면적이지 않은 평면이야기수학동아 l2015년 07호
- 기하학에 갇혀 있던 평면처럼, 그림도 원근법에 얽매여 진짜 세상을 담아내지 못하는 건 아닌가 하고 말이죠.1907년 어느 날 괴상한 그림이 나타났어요. 여자들의 모습처럼 보이긴 하는데, 도대체 무슨 장면인지 알 수가 없었어요. 얼굴은 정면을 보는데 몸은 옆으로 틀어져 있었고, 아예 얼굴과 몸통 ... ...
- [Life & Tech] 전자 하나의 전류도 측정한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배명호, 김남 연구원은 고개를 저었다. 암페어를 전자 하나 단위로 정밀하게 측정하는 건 ‘측정’ 이상으로 중요하다는 것이다.“우리나라에서 가장 중요한 산업이 반도체죠? 반도체가 나노 단위로 작아지면서 옛날에는 상상할 수 없었던 미세한 전류를 정확하게 측정해야 합니다. 그래야 ... ...
- INTERVIEW 글로벌 기업 바짝 추격한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때문. 연구팀의 녹취음 성기는 현재 정확도가 80%에 달한다. ‘텔레마케터가 사라지는 건 정말 시간 문제겠구나’라는 생각을 하는 순간, 기자의 표정을 읽은 듯 그가 덧붙였다. “아직은 갈 길이 멀어요. 시골에 사는 80대 노인이 전화해서 ‘내가 한 달 전에 냉장고 사부렀는디~, 얼음이 안 얼어부러 ... ...
- Part 3. 빛이 있으라! 결정적 순간 5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발생하지 않는 것처럼 보인다는 것이다.아인슈타인이 특수상대성이론을 통해 밝힌 건 두 현상을 물리적으로 같은 현상으로 해석할 수 있게 해주는 수학적 변환식, 즉 로렌츠 변환을 유도할 수 있다는 것이었다. 이 과정에서 그는 빛에 대해 매우 중요한 제안을 했다. 바로 빛의 속도가 어떤 ... ...
- [Life & Tech] 바이오(Bio) 화장품의 진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통과하기엔 턱없이 큰 물질이다. 심동섭 이노진 대표이사는 “각질층을 통과한다는 건 불가능하다”며 “각질층으로 단백질 같은 큰 물질이 통과한다면 우리 몸이 남아나지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피부에는 각질층만 있는 것이 아니라 모공처럼 미세한 구멍들이 있죠. 화장품을 ... ...
- 놀이하는 동물, ‘꽃보다 악어’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보였다. 사육장을 청소하기 위해 들어온 사람들을 당황하게 만든 건 물론이다.새로운 물건에 유난히 관심이 많은 크라켄을 위해 결국 담당사육사는 크라켄의 사육장을 새롭게 꾸며야만 했다. 단순히 바위와 소철나무, 그리고 흙으로만 채워진 보금자리에 상자, 담요, 공, 신발, 그리고 플라스틱 원반 ... ...
- [터미네이터는 없다] INTRO 인공지능 유토피아 vs. 디스토피아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눈 앞의 거품을 치워보자. 실제 인공지능 연구 수준은 과연 어느 정도이며 이대로 괜찮은건지, 인공지능의 오늘을 냉철하게 짚어본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터미네이터는 없다] INTRO 인공지능 유토피아 vs. 디스토피아PART 1 인공지능 디스토피아는 없다PART 2 두 번의 암흑기와 세번째 봄PART 3 ... ...
- PART 2 두 번의 암흑기와 세번째 봄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제1의 암흑기…기호로 치환하기에 세상은 너무 복잡했다인공지능이라는 말이 처음 쓰인 건 1955년이다. 그 해 8월 31일, 내로라하는 학자들에게 다음과 같은 제안서가 발송됐다. 여기서 인공지능이라는 용어가 처음 사용됐다.“존 매카시(다트머스대), 마빈 민스키(하버드대), 너대니얼 로체스터(IBM), ... ...
- PART 4 의도는 없다, 그러나 인간을 위협한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계획이다. 이상욱 교수는 “인공지능의 행동 패턴 수만 가지를 미리 다 시뮬레이션하는 건 사실상 불가능하다”며 “지금부터 인공지능이 사회에 미칠 영향을 굉장히 주도면밀하게 관찰해야 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터미네이터는 없다] INTRO 인공지능 유토피아 vs. ... ...
- [과학뉴스] 생물학 무기 탄저균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누구를 위한 생물학 무기 감시인가 탄저균이 생물학 무기로 본격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한 건 제2차 세계대전 때부터다. 당시 미국과 일본, 독일, 소련 등 강대국들은 전쟁에서 이기기 위해 경쟁적으로 탄저균을 개발했다. 하지만 탄저균은 전쟁이 끝난 뒤에도 살아남아 여러 사람의 목숨을 앗아갔다.1 ... ...
이전35135235335435535635735835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