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역
지방
세계
이승
세상
고장
초록별
d라이브러리
"
지구
"(으)로 총 6,439건 검색되었습니다.
금성, 태양의 품속에 잠기다
과학동아
l
200406
저녁 7시 무렵 일몰 직전이 아마 가장 관측하기 편리한 시점이 아닐까.이날 금성은
지구
와 가장 가까워진다. 그러므로 금성이 눈에 보이는 크기 역시 가장 크다. 이때의 금성이 눈에 보이는 시직경은 대략 1분각으로 태양의 약 1/30 크기에 해당된다. 정확히 이날 태양의 시직경은 31분 31초각이며, ... ...
오르락 내리락 변덕쟁이 수면
과학동아
l
200406
평균 3℃정도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는 기상학자와의 인터뷰도 이어졌다.기상학자 :
지구
의 온도가 단 1℃만 높아져도 에너지 균형이 파괴되기 때문에 예년과 달리 폭설이나 폭우, 이상고온 현상 등이 나타나게 됩니다.게다가 봄과 가을이 점점 짧아지고 한반도가 태풍의 위험 범위 안에 더욱 자주 ... ...
앰배서더 강연 맛보기 - 경희대 윤무부 교수의 새 이야기
과학동아
l
200406
우리나라에 사는 3백90여종의 철새와 텃새 가운데 1/4 이상의 울음소리를 담았다.까마귀는
지구
상의 조류 중 가장 똑똑한 새이며, 사람 말을 따라하는 앵무새, 구관조와 같이 지능이 높은 무리에 속한다. 서양에서 까마귀를 대상으로 숫자 실험을 한 결과, 4-5살 정도의 어린이와 비슷한 지능을 갖고 ... ...
야행성 철새는 해질녘에 나침반 보정
과학동아
l
200405
매달아 미국 중서부 지방에서 1천1백km에 이르는 이동경로를 쫓아갔다. 이때 지빠귀가
지구
자기장을 따라 길을 잡지 못하도록 야간 비행 직전에 자기장을 걸어줬다. 그러자 대부분의 지빠귀가 길을 잃어버리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나침반에 혼란이 온 것이다.그런데 다음날 밤 지빠귀는 다시 제 ... ...
카시니가 찍은 토성의 최근 모습
과학동아
l
200405
토성 탐사선 카시니호는 현재 토성에서 5천6백40만km 떨어진
지구
와 태양 사이 거리의 1/3되는 우주를 날고 있다. 보내온 사진은 지난 3월 8일 촬영한 것으로 토성남반구에 보이는 2개의 작고 검은 점에 대한 새로운 사실이 내달 중 좀더 명확히 밝혀질 전망이다. ...
01. 타고난 성격, 바꾸려면 부러질수도
과학동아
l
200405
유전자를 가진 사람은 효소의 활성이 낮다. 이 경우 단형 유전자인 사람보다 훈련시 근
지구
력이 더 빨리 강화된다. 또 심혈관계질병에 걸릴 가능성도 낮다.근심·불안17번 염색체 _ 5-HTT세로토닌 수송 단백질로, 이 유전자의 앞쪽에 있는 유전자의 발현 정도를 조절하는 부분의 길이에 따라 발현 억제 ... ...
칠레 원주민처럼 시련 이겨낸 꼬마 성운
과학동아
l
200405
없는 것처럼 보이지만 시간이 지나면 그 속에서 태양 같은 별이 탄생하고 주변에
지구
같은 행성이 만들어질 것이다.B68은 외부 시련을 뚫고 찬란한 별을 탄생시키려는 ‘꽃망울’인 셈이다. 어찌 보면 유럽 침략자들로부터 살아남아 그들이 만든 망원경에 자신들의 이름을 붙인 마푸치족과 ... ...
태양건축 에너지 완전자립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200405
‘지속가능한 발전’ 이란 하나의 줄기에서 갈라져 나왔다. 이 새로운 건축술은 현재
지구
가 당면한 에너지 문제와 환경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 중 하나인 것이다. 그와 동시에 화석에너지 자원의 남용을 억제하자는 취지이기도 하다.그 중 태양에너지를 비롯한 각종 자연에너지나 대체에너지를 ... ...
1. 반갑다 향고래야
과학동아
l
200405
나온다면 추가적인 조사가 뒤따라야만 한다.고래 보존·관리는 곧 해양생태계 보호
지구
상 최대 크기로 대표되는 대형고래의 무분별한 남획은 한반도 자연사에 뼈저린 상처를 남겼다. 최근 들어 무분별한 해양 개발로 집을 잃거나 그물에 걸려들어 목숨을 잃은 고래수가 부쩍 늘어났다. 심지어는 ... ...
지구
온난화로 먹구름 많아지고 비는 안와 물부족 심각해진다
과학동아
l
200405
양이 늘어나 비가 더많이 내릴 것으로 예상한다. 그러나 비트 라이퍼트 박사 연구팀은 “
지구
가 더워진다고 해서 강수량이 늘어날 것이라고 말할 수 없다” 고 주장한다.에어로졸은 구름 속에서 주변 수증기와 합쳐져 비를 내리게 하는 씨앗 역할을 한다. 그런데 화석연료 사용 때문에 대기 중에 ... ...
이전
351
352
353
354
355
356
357
358
3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