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람
인류
휴먼
개인
인물
인격
중생계
d라이브러리
"
인간
"(으)로 총 7,604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 시간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4호
등을 제시했다. 지금 시각으로 보면 그의 이론에 오류가 많은 것은 사실이지만 그를 통해
인간
의 마음은 비로써 과학적으로 연구되기 시작했다.1863년 7월 30일미국 자동차왕 포드 출생포드는 자동차를 처음 만든 것도, 가장 뛰어나고 아름다운 자동차를 만든 것도 아니었다. 그러나 그는 컨베이어 ... ...
점점 커지는 구덩이는 외계인의 흔적?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3호
철썩 같이 믿고 있는 쌍둥이 형제. 닥터고글, 정말 외계인의 소행 맞아?사건 의뢰 -
인간
이 한 일이 아니다?“우리 마을 사람들 모두가 증인이에요. 쿠쿵~ 하는 소리도 나고, 이렇게 하룻밤 사이에 웅덩이가 더 커지기도 한다구요.”“그러니까 이건 사람이 한 일은 아니라는 거죠. 어떤 불가사의한 ... ...
부상병 구하는 구조 로봇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3호
뜻의 영어 이름을 약자로 쓰면 ‘BEAR’가 된대요. 이 로봇은
인간
처럼 두 발로 걷거나 바퀴로 굴러가요. 큰 팔이 있어서 270㎏ 이상을 들어 올릴 수 있죠. 부상자를 안고 계단도 오를 수 있어요. 또 큰 눈과 귀가 달려 있어 전쟁터에서 부상자를 빨리 찾아 낼 수 있답니다. 만일 전쟁터에서 다친다면 큰 ... ...
고대 바이러스로 에이즈 백신 만든다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파괴하는 방법을 ‘공공과학도서관 병리학’(PLoS Pathog) 11월호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인간
의 T세포에 들어간 HIV가 HERV를 억제하고 있는 제어시스템을 교란시켜 HERV가 발현하도록 유도한다고 가정했다. 연구팀이 29명의 신규 HIV 감염자와 12명의 정상인(HIV 음성반응자)의 혈액을 조사한 결과 HIV ... ...
소음 잡은 블루투스 헤드셋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있는 것들의 성질로 표현가능하다는 주장 예를 들어 사람의 유전자의 구조를 알면
인간
의 성격과 질병을 모두 설명가능하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그러나 배추, 젓갈, 고춧가루의 맛과 향기를 다 안다고 해서 그것을 재료로 해서 만들어지는 배추김치의 오묘한 맛을 설명할 수 없는 것이 바로 환원론의 ... ...
만물의 영장 빚어낸 손가락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구석구석을 탐색할 수 있는 이유는 손끝에 감각을 느끼는 수용체가 집중됐기 때문이다.
인간
의 몸에는 압력을 느끼는 ‘파치니소체’라는 감각수용체가 있는데 몸 전체의 25%가 손에 몰려있다. 특히 손가락에는 1cm2 마다 100개 정도가 몰려있어 작은 자극도 쉽게 느낀다. 손등은 같은 면적에 9개밖에 ... ...
운동량 체크하고 걸음법까지 보정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신발을 신으면서 엄지를 제외한 나머지 발가락이 해부학적으로 약해졌다고 주장했다.
인간
의 발은 정말 약해졌을지 모른다. 맨발로 집 밖을 나가는 일은 상상만 해도 차고 시리다. 하지만 약한 발을 감싸는 신발은 오히려 강해졌다. 첨단 IT기기와 손잡고 운동량을 체크해 주기도 하고 걸음법까지 ... ...
PART2 음식이 바꾼 인류 유전자 지도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게놈도 진화할 수 있다. 대를 이어 음식이
인간
의 유전자 지도를 바꾼 것도 어찌 보면
인간
이 살아남기 위한 묘책이었을지도 모른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인류 진화의 원동력 요리 PART1 호모 에렉투스는 인류 최초의 요리사?PART2 음식이 바꾼 인류 유전자 ... ...
12월이 빨리 지나가는 이유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뇌는 늘어난 정보를 처리하면서 시간이 더 오래 흘렀다고 판단한다”고 해석했다.
인간
은 새로운 것을 경험하고 변화를 많이 느낄수록 시간을 길게 느끼는 셈이다.빨리 지나간 시간은 추억으로 보상 시간은 우리가 기억하는 정보량에 따라 달라지기도 한다. 미국 스탠퍼드대 심리학과 로버트 ... ...
똥꼬가 간질간질, 기생충이 산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2호
노벨상 역사상 가장 큰 실수로 남았단다. 왜냐하면 이후 연구에 의해 이런 연구결과가
인간
의 암 발생에는 적용되지 않으며, 특정 품종의 쥐에서만 발견되는 희귀한 현상으로 밝혀졌기 때문이야. 결국 잘못된 노벨상이라는 불명예스런 이야기를 듣게 됐지. 불행인지 다행인지 피비거는 이미 늙어 ... ...
이전
350
351
352
353
354
355
356
357
3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