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람
인류
휴먼
개인
인물
인격
중생계
d라이브러리
"
인간
"(으)로 총 7,604건 검색되었습니다.
특집02 세포창조 무한도전 성과 있을까?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낼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여하튼 벤터 박사의 합성유전체와 반(半)합성세포 연구가
인간
이 새로운 세포를 합성하는 ‘생명 2.0’ 시대를 한층 앞당기고 있다는 사실만은 분명하다.트랜스포존*염색체상의 어떤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자유롭게 이동하는 DNA 단위. 유전자 사이를 건너다닐 수 있기 ... ...
'휴보' 기술로 개기일식 촬영하는 로봇공학자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위해 고성능망원경까지 손수 제작했던 것이다.걸음걸이가 사람처럼 부드러운 일본의
인간
형 로봇 ‘아시모’를 보고 충격을 받아 아시모를 능가하는 로봇을 만들겠다고 마음먹고는 휴보 제작에 뛰어들었던 오 교수. 그는 어릴 때부터 로켓부터 자동차까지 원하는 건 무엇이든 뚝딱뚝딱 만들어야 ... ...
모래쥐도 나(me), 너(you) 구분한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모래쥐의 보드라운 털에 코를 부비며 속삭였다. “유 러브 미(You love me)?” 그러자 모래쥐가 고개를 끄떡인다. 과연 말이 되는 소리일까. 미 ... 위치가 변하고, 모음 소리의 진동수가 각기 다르기 때문”이라며 “모래쥐를 연구하면
인간
이 언어를 인지하는 과정을 밝힐 수 있다”고 말했다 ... ...
과학자들의 친구 쥐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임상단계로 넘어가지 않는다. 쥐는 ‘자신의 몸을 불태워 세상을 밝히는 촛불’처럼
인간
을 대신해 실험대에 올라 몸을 바쳐 과학발전을 이끌고 있는 셈이다.만약 과학사에 쥐가 없었다면 어땠을까. 과학자들은 쥐가 과학발전의 가속페달 역할을 한다고 입을 모은다. 수천 년 전 중앙아시아에 ... ...
이산화탄소 배출 주범은 주요 산업국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사용하는데, 이는 high fidelity의 약자다 기계로 재생되는 음악이 실제 연주되는 음악과
인간
의 귀로 구분이 잘 되지 않을 정도로 충실히 재현된다는 것을 의미한다브라운관 TV는 형광면에 직접 빛을 쏘는 방식인 반면, 프로젝션 TV는 내부에 들어 있는 브라운관 또는 액정 패널에 맺힌 상을 반사경으로 ... ...
생명 2.0시대 오는가?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라고 묻고 있는 것. 지구에서 자연스럽게 진화한 버전 1.0 생명체를 연구하는 시대는 가고
인간
이 직접 만든 게놈으로 새로운 생명체를 창조하는 '생명 2.0' 시대가 열리고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생명 2.0시대 오는가? intro 21세기 다시 쓰는 '종의 기원' 특집01 전자회로 설계하듯 생명체 ... ...
intro 21세기 다시 쓰는 '종의 기원'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생물종의 다양성과 탄생을 설명한 ‘종의 기원’이 발간된지 150년이 되는 해다. 이제
인간
이 만든 새로운 종에 대한 분야를 추가한 ‘종의 기원 2.0’이라도 나와야 할 것 같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생명 2.0시대 오는가? intro 21세기 다시 쓰는 '종의 기원' 특집01 전자회로 설계하듯 생명체 ... ...
매운 고추 먹고 땀 흘리는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따뜻하다고 느끼다가 42℃가 넘어가면 뜨겁다고 느끼면서 역시 통증이 찾아온다. 결국
인간
은 우주에서 관찰되는 수억도의 온도범위 가운데 불과 27도, 즉 15~42℃에서만 고통을 느끼지 않는 무척이나 까다로운 존재인 셈이다. 인류는 매운맛에 중독된 포유류사람을 포함한 포유류는 캅사이신의 ... ...
다시 보면 고마운 '키다리 아저씨' 혐기성 미생물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밝혀지지 않았다. 진화론자들의 추측만 무성할 뿐이다. 그러나 한 가지 분명한 점은
인간
이 살 수 없는 무산소 환경에서 혐기성 미생물이 ‘키다리 아저씨’처럼 우리를 돕고 있다는 사실이다 ... ...
당신의 마음에 반창고를 붙여드려요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대신 ‘몇 번 침대 환자’나 ‘췌장암 환자’로 불렀다. 이런 상황은 의학이라는 학문이
인간
이 아닌 질병을 중심으로 발전했기 때문에 생겼다. 의대에서 수련한 의사도 자연스레 이런 습관이 몸에 뱄다. 그러나 괴짜의대생 아담스는 이런 현실에 정면으로 반기를 들었다. 그는 환자에게 다가가 먼저 ... ...
이전
347
348
349
350
351
352
353
354
3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