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후"(으)로 총 7,688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과 세상의 경계를 넘나든 수학자 스티븐 스메일수학동아 l2013년 08호
- 이 사실이 고차원에서도 성립하는지를 묻는 것은 참 난해하기 그지없다.스메일의 업적 이후에 마이클 프리드먼이 4차원의 경우를 해결해 1982년에 필즈상을 받았다. 2006년에 필즈상 수상자로 선정된 그레고리 페렐만까지 포함하면, 하나의 문제에서 3명의 필즈상 수상자가 배출된 것이다. 가히 괴물 ... ...
- 자동차와 달팽이의 대결, 누가 이길까? 터보수학동아 l2013년 08호
- 안 걸까? 어느 날 우연히 고속도로에서 달리는 자동차 엔진 속에 빨려들어갔다가 나온 이후, 내 몸엔 이상한 변화가 생기기 시작했어. 눈에서는 자동차 헤드라이트처럼 빛이 나고, 힘을 주면 부릉~ 하고 시동을 거는 것처럼 소리가 나는 거야.맞아! 내 몸이 엄청난 스피트를 가진 자동차처럼 바뀐 ... ...
- 수학자를 사로잡은 악마의 코드, 소수수학동아 l2013년 08호
- 건 2000년에 미국 클레이 수학연구소가 리만가설을 7대 수학 난제로 선정하면서부터다. 이후 많은 수학자들이 도전하고 있지만, 악마의 문제는 아직까지 해결되지 않았다.별별 소수 핫 32000년이 넘는 긴 세월 동안 많은 수학자들이 소수 연구에 매진한 결과 소수와 관련된 특이한 연구가 많이 나왔다. ... ...
- Bridge. 사람이 일으키는 대유행 전염병, 바이오테러과학동아 l2013년 08호
- 1979년 세계보건기구(WHO)에서 박멸을 공식적으로 선언한 이후 백신 접종이 중단돼 1980년 이후 출생자는 거의 면역력을 갖고 있지 않다. 또 효율적인 치료 방법이 없으며 치사율은 30~40%에 이른다. 1989년 당시 구소련은 연 수십t의 천연두바이러스를 생산할 수 있었으며 대륙간 탄도미사일에 장착해 ... ...
- 추락하는 비행기에서 살아남으려면?과학동아 l2013년 08호
- 패턴이 다르기 때문에 통계를 개개인에게 적용할 수는 없다.이번 아시아나 항공기 사고 이후로 여러 언론 매체가 이와 비슷한 확률과 통계를 보도했다. 통계의 기준에 따라 논란의 여지는 있지만, 비행기를 자동차보다 특별히 더 두려워할 이유는 없어 보인다.1984년 NASA와 FAA의 비행기충돌실험 당시 ... ...
- 조선초기 호랑이는 물가에 살았다과학동아 l2013년 08호
- 호랑이다. 하지만 1930년대까지 호랑이를 잡았다는 다른 공식 기록도 적지 않다. 해방 이후에도 남한에서 호랑이가 나타났다는 제보도 있었고, 1960년대 초반에는 합천의 가야산 일원에서 표범이 잡혀 당시 동물원이 있던 창경원에 옮겨진적이 있다. 그리고 그것이 마지막이었다.야생의 한국 호랑이와 ... ...
- 수술실에서 死神을 쫓아내다과학동아 l2013년 08호
- 소독법 확립의 주요 배경이 됐다. 1859년 파스퇴르는 유기체 혼합물 이라 할지라도 가열한 이후 일정한 조작을 하면 공기가 드나들어도 부패 현상 없이 보존될 수 있음을 증명했다. 16년 뒤 영국의 존 틴달은 멸균된 공기 속에 유기체 혼합물을 부패 없이 보존해내면서 세균 이론을 증명했고 ... ...
- [생활] 변덕쟁이 날씨를 예측한다! 기상 통계수학동아 l2013년 08호
- 예상하고 이 거래를 한 거예요.예상은 적중했고, C전력회사는 이득을 볼 수 있었어요. 이후 많은 기업에서 날씨와 관련 금융 상품을 거래하고 있어요.엘리뇨 현상★ 태평양의 해수면 온도가 평소에 비해 0.5℃ 이상 차이가 나는 현상이 5개월 이상 지속되는 걸 말한다. 엘리뇨 현상이 지속되면 태평양 ... ...
- 이영돈 PD의 수학 먹거리 X파일수학동아 l2013년 08호
- 가장 작은 부피를 나타내는 것은 항상 소시지 모양’이라는 소시지 추측을 공식화 했다. 이후 수학자들은 2차원에서는 원, 3차원과 4차원에서는 어떤 조건일 때 어떤 모양으로 포장할 때 최소 부피가 되는지 알아냈다.그러다가 1998년, 독일의 수학자 울리히 베트케와 마틴 헨크, 외르크 윌스는 42차원 ... ...
- [체험] 정육면체와 정팔면체의 합체! 자이로스코프 만들기수학동아 l2013년 08호
- 항공기와 군함에 사용되는 자이로스코프 개발을 국방력의 중요한 척도로 여겼다.이후 1917년 미국의 장남감 회사인 챈들러사가 팽이처럼 돌아가는 챈들러 자이로스코프를 개발해 선보였다. 당시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을 뿐만 아니라 지금까지도 사랑받고 있어, 미국 장난감의 고전으로 여겨진다 ... ...
이전35035135235335435535635735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