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후"(으)로 총 7,68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항해 : 뇌지도를 만들기 위한 4가지 전략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최초의 쥐 뇌지도는 2004년, 쥐의 전체 유전자 발현을 보여준 뇌지도는 2006년에 완성했다. 이후 쥐의 뇌 발달지도와 척추지도, 영장류 뇌지도, 쥐 연결성지도, 인간 뇌지도 등을 완성했다. 그 중 백미는 작년 9월 ‘네이처’에 발표한 ‘인간 뇌전사체지도’다.전사체란 유전자를 토대로 복사한 유전 ... ...
- 마취 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존재하는 물질이 잇따라 발견된다. 과학자들은 이렇게 발견된 기체를 흡입해 봤고 이후 몸의 상태가 달라지는 경험도 하게 됐다. 그들은 이 경험을 바탕으로 의학의 새로운 영역을 개척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했다. 특정 기능을 가진 가스를 마셔 몸의 상태를 원하는 방향으로 바꿀 수 있다면 불치의 ... ...
- 자동차와 달팽이의 대결, 누가 이길까? 터보수학동아 l2013년 08호
- 안 걸까? 어느 날 우연히 고속도로에서 달리는 자동차 엔진 속에 빨려들어갔다가 나온 이후, 내 몸엔 이상한 변화가 생기기 시작했어. 눈에서는 자동차 헤드라이트처럼 빛이 나고, 힘을 주면 부릉~ 하고 시동을 거는 것처럼 소리가 나는 거야.맞아! 내 몸이 엄청난 스피트를 가진 자동차처럼 바뀐 ... ...
- [체험] 정육면체와 정팔면체의 합체! 자이로스코프 만들기수학동아 l2013년 08호
- 항공기와 군함에 사용되는 자이로스코프 개발을 국방력의 중요한 척도로 여겼다.이후 1917년 미국의 장남감 회사인 챈들러사가 팽이처럼 돌아가는 챈들러 자이로스코프를 개발해 선보였다. 당시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을 뿐만 아니라 지금까지도 사랑받고 있어, 미국 장난감의 고전으로 여겨진다 ... ...
- 이영돈 PD의 수학 먹거리 X파일수학동아 l2013년 08호
- 가장 작은 부피를 나타내는 것은 항상 소시지 모양’이라는 소시지 추측을 공식화 했다. 이후 수학자들은 2차원에서는 원, 3차원과 4차원에서는 어떤 조건일 때 어떤 모양으로 포장할 때 최소 부피가 되는지 알아냈다.그러다가 1998년, 독일의 수학자 울리히 베트케와 마틴 헨크, 외르크 윌스는 42차원 ... ...
- Part 1. 8월 바이러스 대습격과학동아 l2013년 08호
- 것을 바탕으로 사망률을 6%선으로 추정했다. 우리나라에서는 첫 환자가 발생한 2012년 이후 지금까지 15명의 감염환자가 발생하고 이 중 8명이 사망했다(7월 10일 자정 기준).작은소참진드기는 1~2mm크기의 진드기로 전국에 고르게 분포한다. 하지만 이 중 SFTS 바이러스를 보균한 진드기는 0.5%이하로 ... ...
- Part 3. 바이러스는 어디서 왔는가?과학동아 l2013년 08호
- 세포는 서로에게 흔적을 남겨왔다. 인간의 유전체 정보가 대부분 밝혀진 2000년 이후 과학자들은 이 흔적을 추적하기 시작했다.먼저 바이러스와 세포는 같은 유전정보 언어를 쓴다. 핵산은 바이러스와 세포 모두가 정보의 저장매체로 쓰는 물질이다. 세포 생명체가 DNA만을 쓴다면 바이러스는 DNA외에 ... ...
- 빠수니 탈출 백서과학동아 l2013년 08호
- 장단점은 존재한다. 팬덤 활동이 청소년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는 2000년 이후로 많이 등장했다. 팬클럽을 통해 사회활동을 시작면서 문화 실천의 주체로 발전할 수 있다거나, 내가 그랬듯 친구들과 서로 영향을 주고 받으며 공감대를 형성하며 사회성을 높여 나간다는 등이다.➑ ... ...
- 실버사회 지켜줄 아이언맨 군단 온다과학동아 l2013년 08호
- 쓸 수 있게 되는 날은 언제일까. 전문가들은 재활치료용 입는 로봇 시장이 2014년 이후 연평균 69%씩 성장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우리나라 연구진 또한 10년 전부터 여러 형태의 로봇 연구를 진행해 상용화를 앞두고 있다. 거동이 불편한 노인이나 환자들이 전철을 타기 위해 계단을 뛰어 올라가고, ... ...
- 미토콘드리아 시계가 흔들리다과학동아 l2013년 08호
- 않는다고 생각했던 미토콘드리아 DNA가 사실은 삶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도 2000년대 이후 밝혀졌습니다. 핵 밖에서 신진대사를 조절한다는 것이지요. 당시 이런 연구 결과가 하나씩 나올 때마다 학계에서 술렁대던 그 긴장감을 잊을 수 없습니다. 지금 뒤돌아보면, ‘세포의 에너지 ... ...
이전34935035135235335435535635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