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루
일일
일일간
낮
주간
날씨
일기
d라이브러리
"
날
"(으)로 총 6,527건 검색되었습니다.
피지 사탕수수 기행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사탕수수 산업의 침체로 피지사람들이 어려움을 겪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다음
날
아침 커피에 설탕을 타다가 봉지에 남은 걸 입에 털어 넣었다. 왠지 땀내가 느껴지고 씁쓸한 뒷맛이 남을 것 같았지만 피지의 설탕은 무척 달고 향기로울 뿐이었다 ... ...
다기망양과 미로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얽혀 있는 감옥이었다. 영웅 테세우스가 미궁에서 미노타우로스를 물리쳤다. 미궁은 오늘
날
에는 미로라고도 불린다.고대 이집트의 피라미드에도 미로가 있다. 피라미드 속에는 왕의 시신과 함께 왕이 지니고 있던 갖가지 보물을 넣어 뒀는데, 그 보물을 도적이 훔쳐가지 못하도록 미로를 만들었다. ... ...
바이오 전자코로 향을 음미하다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다르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어요. 그럼 바이오 전자코로 병원에서 환자를 진찰할
날
이 올 수도 있습니다.”박 교수로부터 바이오 전자코로 할 수 있는 일들을 듣고 나니 생각보다 이용 범위가 넓어서 기자는 살짝 놀랐다. 후각으로 맛도 보고 병도 진료한다고?“후각은 미각에 막대한 영향을 ... ...
3. 서프라이즈! 수학으로 본 세상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반 아이들 중에도 생일이 같아서 쌍둥이처럼 다니던 친구가 있었다. 나를 위한 특별한
날
인 생일이 누군가와 같다는 건 그 사람과 묘한 동질감으로 다가오기 마련이다. 그럼 한 반의 친구들 사이에 생일이 같은 사람이 있을 확률은 정확히 얼마나 될까? 1년 365일 중에 30명이니까 그다지 높지 않을 ... ...
쓰나미 뚫고 통가 해저자원 탐사한다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출발!여름이 시작되는 남반구라서 그런지 하루가 다르게
날
이 더워지는 것 같더니 이
날
은 아침부터 강한 햇살이 하얀 온누리호에 쏟아졌다. 일렁거리는 바닷물에 반사된 햇빛이 선체의 표면에 어지러운 무늬를 그리고 있다.인근 시장에서 막 사온 신선한 야채와 과일이 마지막으로 배에 실리고 ... ...
기상 오보 바로잡을 파란 눈의 ‘구원투수’ 나섰다!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위험 기상에만 집중하는 예보관을 별도로 마련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한다. 매일
날
씨를 예보하는 사람과 호우 같은 위험 기상 현상을 주로 예보하는 예보관을 따로 둬 전문성을 높이자는 뜻이다. 현재 캐나다가 이 방법을 적용해 위험 기상에 전략적으로 대응하고 있다.26개 레이더를 하나의 ... ...
참을 수 없는 가려움의 유혹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같은 항히스타민제로 치료할 수 있다. 초이스피부과 양성규 원장은 “가려움증이 나타
날
때 계속 긁으면 각질이 손상돼 습진으로 악화될 수 있다”며 “가려움이 심하지 않을 때는 샤워를 하거나 보습제를 바르는 것만으로도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다”고 설명했다. 참을 수 없는 가려움의 유혹이 ... ...
아름다운 무한반복 프랙탈 아트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프로그램으로 만든 디지털 세계다. 하지만 우연히 탄생한 이 화려한 이미지에서 아
날
로그적인 생각과 따뜻함이 느껴진다. 세상에 존재하는, 나를 둘러싼 자연이 프랙탈이라 가능한 일이다.조물주가 만든 작품에 대한 경이로움이랄까. 다양하고 복잡한 세상이 어떻게 탄생했을까 하는 의문에 ... ...
2014년 국제수학자대회 유치의 기적을 일구어 낸 수학자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지난 4월 19일, 밤늦게 중국에서 걸려온 전화 한 통에 한국의 수학자들은 환호성을 질렀다. 바로 우리나라가 2014년 열릴 국제수학자대회를 유치하는 데 성공했다는 내용 ... 수학계의 올림픽, 월드컵이라고 하는 국제수학자대회를 통해 온 국민이 수학으로 즐거워지는 그
날
이 기다려진다 ... ...
작은 RNA 조각으로 불치병 해결한다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기초 연구를 하고 싶습니다. 기초를 확실히 다져주면 응용 분야에 더 큰 효과가
날
거라 생각해요.” 김 교수가 가진 첫 번째 꿈은‘가장 창의적이고 자유로운 연구실을 만드는 것’이다. 실제로 마이크로RNA연구단은 석사과정 학생이나 박사후연구원부터 김 교수까지 모두가 동등하게 의견을 내고 ... ...
이전
350
351
352
353
354
355
356
357
3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