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험
검사
테스트
실습
체험
조사
점검
d라이브러리
"
실험
"(으)로 총 9,097건 검색되었습니다.
빙하가 녹으면 바이러스가 잠을 깬다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빙하 속 미생물의 생태계 교란 가설은 사실에 더욱 가까워질 수 있다. 다만 이 같은
실험
만으로는 빙하 미생물이 과연 현재 생태계에 영향을 바로 미칠지는 알긴 어렵다. 1년에 1000000000000000000000개의 고대 박테리아가 쏟아져 나온다그렇다면 지구온난화로 인해 녹아내리는 빙하는 얼마나 되며, ... ...
PART 4. 영원히 착륙하지 않는 무인비행기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비해 무인비행탐사선은 날아서 이동하기 때문에 넓은 지역의 영상과 자기장 자료, 과학
실험
결과 등을 얻을 수 있다.화성 상공을 날아서 탐사하는 무인기를 만들려면 어떤 조건이 필요할까. 우선 어느 정도의 속도로 비행해야 하는지 살펴보자. 화성의 대기 밀도는 지구의 100분의 1 수준이다. 중력은 ... ...
암 전이 메커니즘 밝혀냈다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마이크로RNA를 전이성 암세포에서 활동하게 하면 암세포의 전이가 억제된다는 것을 동물
실험
을 통해 확인했다. 류성호 박사는 “이번 연구성과는 암세포의 전이를 억제할 수 있는 치료제 개발에 중요한 단서를 제시할 것”이라고 밝혔다 ... ...
태아 눈 발달에 일광욕은 필수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밝혀졌다. 리처드 랭 미국 신시내티 아동의료센터 안과학과 박사팀은 쥐를 대상으로 한
실험
에서 태아가 눈이 발달하는 시기인 임신 후기에 빛을 받지 못하면 망막에 불투명한 모세혈관이 과도하게 발달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망막 위로 모세혈관이 너무 자라나면 빛이 통과할 수 없어 시력을 ... ...
고독한 우주의 방랑자, 외톨이 행성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거주에 적절한 환경이 될지도 모르는 것이다.행성계 형성 초기에 관한 컴퓨터 수치모의
실험
에 따르면, 달 크기의 위성을 거느린 지구 크기 행성의 약 5%가 행성계에서 쫓겨난 뒤에도 위성을 여전히 유지했다. 더 나아가 이들 외톨이 행성이 장기간 지질학적으로 활발하다면, 지구처럼 자기장이 ... ...
[2월] 도전! 과학동아 청소년기자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이미 동물
실험
을 통해 안정성이 검증된 상태에서 자발적인 지원자를 대상으로만 임상
실험
을 한다. 그렇지만 아무리 동물이라도 해마다 많은 동물들이 학문과 기술의 발전을 위해 희생되고 있다. 연구를 위한 희생을 무심하게 넘기거나 생명을 경시해서는 안 된다 ... ...
[수학뉴스] 수학 시뮬레이션으로 알아 본 커피 고리 현상
수학동아
l
2013년 02호
것으로 나타났다. 그 결과 표면이 거칠게 나타났다.연구팀은 “수학 시뮬레이션으로
실험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며, “산업 분야에서 일어나는 이 현상을 수학 시뮬레이션으로 조절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 ...
[수학뉴스] 새로운 물질을 만드는 수학적인 레시피
수학동아
l
2013년 02호
수학자들의 상상 속에만 존재했던 물질을 실제로 만들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최근 미국 콜로라도대 물리학자들은 위상수학 이론을 이용 ...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가 다양한 산업 분야에 파급 효과를 미칠 수 있는 저차원 위상수학
실험
발전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 ...
[체험] 모자부터 물병까지 뫼비우스 띠의 화려한 변신
수학동아
l
2013년 02호
때문에 어느 지점에서 출발하더라도 곡면 전체를 따라가다 보면 끝없이 이어진다.아하!
실험
플러스 뫼비우스 띠로 이루어진 클라인병클라인병은 직사각형에서 시작됐다. 직사각형을 둥글게 말면 밑면과 윗면이 뚫려 있는 원기둥이 된다. 이 원기둥의 길이를 늘인 뒤 한쪽 끝이 원기둥의 옆면을 ... ...
PART 3 백두산이 폭발하면 초소형 무인기가 뜬다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최단거리 경로로 갈 수 있는 길을 계산한다. 연구팀이 개발한 비행체는 53회의 비행
실험
에서 바람의 영향으로 2번 추락한 것을 제외하고 장애물 회피 비행을 51회 성공했다.2011년 일본의 후쿠시마 원전 사고에서 방사능도 문제였지만 내부 상황을 알 수 없었다는 점도 공포스러웠다. 당시 초소형 ... ...
이전
349
350
351
352
353
354
355
356
3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