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험
검사
테스트
실습
체험
조사
점검
d라이브러리
"
실험
"(으)로 총 9,097건 검색되었습니다.
로봇은 자폐아의 친구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하고 여러 개의 웹카메라를 방에 설치해 아이의 머리 움직임을 지켜볼 수 있도록 했다.
실험
에서는 2~5살 사이의 아이 12명(6명은 ASD, 6명은 정상)이 번갈아 가며 사람 재활치료사와 로봇 재활치료사를 만나 학습활동을 하도록 했다. 그 결과 사람 치료사의 경우 정상 아이들이 ASD 아이들보다 치료사를 ... ...
화성은 과거에 붉지 않았다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것으로 예상했고, 켐캠은 예상이 맞았음을 알려줬다.
실험
장비와 이동 장치에 대한
실험
을 끝낸 큐리오시티가 착륙 장소를 떠난 건 3주 정도가 지난 뒤였다. 이동은 조심스러웠다. 큐리오시티의 최고 속력은 초속 4cm로 얼마 안 되는 거리를 갈 때도 꽤 오랜 시간이 걸린다. 동쪽을 향해 처음에는 ... ...
사자와 사람 기생충이 닮았다?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그밖에 폴란드와 나이지리아, 마다가스카르 등 세계 곳곳에서도 의심스러운 사례와
실험
흔적이 있다. 남미 인디오들은 조사조차 이뤄지지 않았다.세계지도에 촌충 발견이 의심되지 않는 지역이 오히려 드물 정도다. 이는 전세계적인 인류의 이동을 촌충을 통해 밝힐 가능성을 보여준다. 수백만 년 ... ...
신나는 과학잡지 만들기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성공적으로
실험
을 마치고 기사도 완성해 뿌듯함을 맛보았지만,
실험
을 위해선 반드시
실험
동물의 희생이 필요한 생명공학자들의 뒷모습도 함께 엿볼 수 있는 기회가 됐다. 이소영 학생은 “동아리 활동을 하며 얻은 성취감과 스트레스 모두가 진로를 결정하는 데 큰 도움이 됐다”고 말했다.하이 ... ...
부모님과 함께 보는 2013년 교과서가 바뀐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3호
과학책이나 과학만화로 흥미를 높이면 좋아요. 집에서 간단한 도구로 할 수 있는 다양한
실험
이나 만들기 활동을 하면 과학에 자신감이 더 생긴답니다.예비 5·6학년이라면과학에 대한 흥미도에 따라 과학 성적이 달라져요. 과학캠프에 참가하거나 과학관 견학을 통해 흥미를 높이는 게 좋아요. ... ...
[체험] 각양각색 다각형의 무게중심을 찾아라!
수학동아
l
2013년 03호
배치해 무게중심을 맞춘다. 따라서 승객들은 반드시 정해진 좌석에 앉아야 한다.아하!
실험
플러스 다각형의 무게중심도형의 무게중심은 도형의 각 부분이 같은 질량을 가졌다고 가정하고 구한다. 가장 대표적인 평면도형인 삼각형은 각 꼭짓점에서 수선의 발을 내려 생긴 세 개의 중선이 교차하는 ... ...
PART 5. 우주에 퍼지는 시공간의 물결, 중력파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자동차 속도를 줄이며 “지진이나 자동차 진동은 물론 크고 짙은 구름이 지나가는 것도
실험
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고 설명했다.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세계 각지의 검출기가 협력해서 동시에 관측해야 한다. 심지어 라이고는 미국에만 두 곳에 있으며, 인도에도 하나 더 지을 예정이다. ... ...
운동하면 뇌도 뛴다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미국 다트머스대 교수가 ‘뉴로사이언스’에 발표한 결과에 따르면 쥐를 대상으로 한
실험
에서 운동효과가 지속되는 시간이 어린이, 청소년 시기에 더 길었다. 부치 교수는 “뇌가 성장하는 시기에 운동을 하면 학습능력과 기억력이 더 발달할 수 있다”며 “특히 어린이, 청소년 시기의 운동이 ... ...
한국형 발사체와 은하 3호는 이란성 쌍둥이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과산화수소를 이용한 가스발생기를 지금도 사용하고 있다. 비록 낡았지만 수많은
실험
과 검증을 통해 성공 확률은 매우 높다.북한의 엔진 작동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고체 시동기가 작동하면서 터보펌프가 돌고 이를 통해 추진제 일부가 가스발생기로 이동해 가스를 발생시킨다. 이 가스로 ... ...
자폐증을 고칠 수 없는 이유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없던 자폐증의 주요 증세인 사회적 상호작용 장애를 약물로 치료하는 데 성공한 것이다.
실험
결과는 지난해 학술지 ‘네이처’ 6월 14일자에 소개됐다. 김 교수는 “현재 개발 중인 사회적 상호작용 장애 치료제 신약 10종 중 3종이 이번 연구 내용과 관계가 깊다”고 그 의의를 강조했다. 하지만 ... ...
이전
346
347
348
349
350
351
352
353
3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