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절
당
파
편의
편익
떡
떡밥
뉴스
"
편
"(으)로 총 3,904건 검색되었습니다.
[STAP 세포 논란 사실상 종결] “STAP 세포는 없다”
2014.12.21
‘연구원’으로 바뀌었다. STAP세포 의혹의 무대가 된 발생재생과학종합연구센터의 재
편
과 검증실험을 위한 ‘연구원’으로 배속된 결과다. 시모무라 하쿠분 일본 문부과학대신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한 마디로 매우 유감스럽고 STAP세포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검증 결과가 확정된 것”이라며 ... ...
동서양의 교두보 ‘보스포루스’에서 과학의 역사를 보다
2014.12.21
지구에 살았던 특이한 형태의 생명체에 대해 연구하며 쓴 30여 권이 넘는 책과 수백
편
에 이르는 글을 발표했던 경험을 집대성했다. 번역도 소홀히 하지 않아 출판사는 각기 다른 분야 전문가 3명의 공동작업을 통해 번역의 완성도를 높였다. 번역을 맡은 김성훈 씨는 치과의사, 최윤희 씨는 ... ...
[2014 올해의 여과학기술자상] 직격 인터뷰
2014.12.19
가운데 유일한 여성이다. 전자공학이라는 학문의 특성상 기술 발전의 속도가 빠른
편
이어서 한번 연구를 중단하면 다시 원래 궤도로 돌아오기가 쉽지 않다. 그는 “출산휴가와 육아휴직을 보장해주는 것과는 별개로 믿을 만한 보육시설 등을 확충해 여성 과학자의 경력 단절을 막을 수 있는 ... ...
1000분의 1초만에 안경 도수가 바뀐다고?
2014.12.19
개발은 거의 끝났다”면서 “렌즈 변형에 걸리는 시간이 1000분의 1초 정도로 매우 빠른
편
”이라고 말했다. 연구팀이 변신렌즈에 이어 최근 주목하는 아이템은 ‘변신액정’이다.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에서 문자메시지를 쓸 때 자판에서 엉뚱한 글자를 누르는 경우가 많다. 연구팀은 화면에 ... ...
‘인터스텔라’를 회고하며
2014.12.14
수상할 만한 업적을 이미 충분히 쌓은 학자”라며 “대중강연도 적극적으로 나서는
편
이어서 일반인에게도 인기도 상당하다”고 덧붙였다. 쉽게 말해 킵 손은 전문적 권위와 대중성을 함께 겸비한 오늘날 몇 안 되는 물리학자라는 뜻이었다. 천체물리는 물론 중력파 연구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 ...
줄기세포 역분화 스위치 첫 규명
2014.12.11
유도만능줄기세포 관련 논문을 각각 ‘네이처’에 2
편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1
편
을 추가로 발표하는 기염을 토했다. 이들 연구진은 ‘프로젝트 그란디오스(Project Grandiose)’라는 국제 줄기세포 연구 컨소시엄으로 유도만능줄기세포의 생성 기전을 규명하기 위해 2010년 출범했다. ... ...
대학생이 직접 쓰고
편
집하는 과학저널 탄생
2014.12.10
한국대학생연구저널(KJUR) 창간호 표지 - GIST 제공 국내 대학생들이 직접 쓰고
편
집한 과학저널이 탄생했다.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학부과 ... 한국 내 과학 분야 글쓰기 교육의 틀을 바꾸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GIST는 논문 투고자와
편
집위원을 전국 대학생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 ...
생의 진정한 목표는 꿈과 현실의 융합
동아사이언스
l
2014.12.02
백 팀장은 “자신의 존재감을 찾기 위해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는 마음으로 애쓰는 남
편
, 한 과학자의 안타까운 모습에서 희망을 봤다“고 당시를 회상했다. 안정적인 가정에서 어려움 없이 자라온 아이들도 갑자기 닥친 큰 짐을 짊어져야 했다. 하지만 비 온 뒤 땅이 굳는 법. 지속적으로 노력한 ... ...
국운(國運) 건 각축전, 아시아 국가 달탐사 경쟁 2라운드 돌입
2014.11.28
한국형 달 궤도선과 탐사선 무게는 각각 550kg 정도로 해외 탐사선의 절반 이하로 작은
편
이다. 다른 나라에서 아직 시도하지 못한 과학 탐사를 중심으로 임무를 수행할 가능성이 높다. 이승렬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은 “달 지진파 연구, 달 표면 로봇 개발 등 다양한 과제를 논의하고 ... ...
100배 빠른 인터넷 기간망 국산화 기술 개발
2014.11.26
장비가 국산화 됐다. 이 정도면 가정용 광케이블보다 100배 빠른 속도로 고화질 영화 한
편
을 4초 만에 전송할 수 있는 수준이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주로 수입에 의존하던 고성능 네트워크 장비를 국산화한 ‘차세대 광가입자망 시스템(NG-PON2)’을 개발하고, 국가 연구시험망인 코렌(KOREN)에 ... ...
이전
348
349
350
351
352
353
354
355
3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