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절
당
파
편의
편익
떡
떡밥
뉴스
"
편
"(으)로 총 3,904건 검색되었습니다.
설 음식 한 끼 열량, 하루 섭취권장량 넘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5.02.19
비교적 궁합이 잘 맞는 음식이 있고 그렇지 못한 음식이 있다. 체격이 크고 마른
편
인 태양인은 폐는 튼튼한 반면 간이 약하기 때문에 생선이나 나물 종류가 좋다. 얼굴이 넓적하고 골격이 큰 태음인은 소화 기능이 뛰어나 산적이나 갈비찜 같은 기름진 음식도 괜찮지만, 과식을 조심해야 한다. ... ...
떡국의 떡은 왜 '타원형'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15.02.18
친지들간의 만남은 설을 더욱 풍요롭게 하는데요. 설을 맞이하여 4
편
을 준비했습니다. 두 번째 주제는 '떡국'입니다. '떡국'은 설이 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음식인데요. 떡국에는 과연 어떤 이야기가 숨어 있을까요? 클립아트코리아 제공 1. 떡국용 떡이 타원형이 이유 ... ...
차가 막히는 이유? 옆차로에 끼어든 당신 때문
동아사이언스
l
2015.02.17
가리는 매우 위험한 행동이다. 특히 커브 길에서 상향등을 점등한 차량이 갑작이 맞은
편
에 나타나면 밝은 빛에 잠시 눈앞이 보이지 않는 명순응 현상이 일어나기 쉽다. 또한 상향등 점등은 전방의 차량 운행에도 피해를 끼친다. 뒤차의 상향등은 앞차의 사이드미러나 룸미러 등에 빛이 반사돼 ... ...
암은 여전히 은유로서의 질병인가
2015.02.16
노력도 중요하지만 여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사실도 인식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
편
같은 호에 이 연구를 소개한, ‘암이라는 불운(The bad luck of cancer)’라는 제목의 기사도 실렸다. 기사에서 네덜란드 후브레쉬트연구소의 줄기세포‧암생물학자인 한스 클러베스는 이번 연구에 대해 “암 발생이 ... ...
[HOT100]“생명과학이 미래” 쥐 사육장에서 30종의 쥐를 길러…
동아일보
l
2015.02.16
보면 낮은 것 같지만 다수의 졸업생들이 대학원에 진학하는 학부 성격을 감안하면 낮은
편
이 아니다. 전국에 4곳뿐인 쥐 사육장은 학부의 또 다른 자랑거리다. 신약 또는 신물질의 개발 과정에는 반드시 동물실험이 필요하다. 동물실험에서 만족할 만한, 기대한 결과가 나와야 비로소 인간을 상대로 ... ...
양자를 훔친 악동들
2015.02.15
사람이었다. 처음으로 아인슈타인의 천재성을 간파한 기성 과학자이기도 하면서, 한
편
으로 빛이 입자라는 사실에 끊임없이 괴로워했다. 독일의 플랑크 동전 - 위키미디어 제공 플랑크만큼 비극적인 인생을 산 과학자도 드물다. 아내는 폐결핵으로 일찌감치 세상을 떠났다. 제1차 세계대전에 ... ...
이종사촌-친사촌, 누가 나를 구해줄까?
2015.02.13
이름’부터 손녀들의 세련된 요즘 이름까지. 김범준 성균관대 물리학과 교수는 족보 10
편
에 기록된 데이터를 분석해 1920년대부터 1994년까지 국내 여성 이름의 변천사를 분석했다. ● 여성 이름 유행, 길어야 15년 김 교수는 이 기간에 가장 유행한 이름 상위 40개를 뽑은 뒤 사용 빈도를 조사했다. ... ...
백설공주의 유전자를 찾을 수 있을까
2015.02.11
강한 지역과 약한 지역의 피부색이 다릅니다. 자외선을 많이 받는 곳에 사는 사람은 검은
편
이고 적게 받는 곳의 사람은 흽니다. 그러니까 피부색은 환경에 맞춰 적응한 결과일 뿐, 특별한 요인은 아닙니다. 더구나 인종이라는 개념 자체가 생물학적으로 서로 구분할 수 있는 개념이 아니라는 ... ...
[사이언스브리핑] 산기협 ‘2015년도 기술경영인상’ 外
2015.02.10
연구 성과가 실린 논문들을 심사해 우수한 논문을 시상하고 있다. 올해는 전 세계 총 86
편
의 논문 가운데 이 연구원의 논문이 가장 우수한 공학 논문으로 뽑혔다. ... ...
지구의 그 많은 물은 다 어디서 왔을까
2015.02.09
지구 물의 기원 시나리오다. - WHOI 제공 논문 말미에 있는 참고문헌들을 추적해 몇
편
을 보고나서야 지구 표면을 덮고 있는 물의 기원을 찾는 게 만만한 일이 아니라는 걸 알게 됐다. 실제로 많은 가설이 나와 있지만 아직 결정적인 시나리오를 재구성하지는 못한 상태다. 그럼에도 필자가 ... ...
이전
344
345
346
347
348
349
350
351
352
다음
공지사항